View : 1195 Download: 0

중학교 영어 교과서 분석

Title
중학교 영어 교과서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f the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 on the basis of the learning task analysis by teachers
Authors
이은진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어학교육전공영어교육분야
Keywords
중학교 영어영어 교과서학습 과업영어교육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현행 중학교 영어 교과서에서 6차 교육 과정에 제시된 목표와 내용이 얼마나 반영되어 있으며 실제 수업에서 얼마나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학습 과업을 중심으로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대상으로는 현재 중학교 1, 2학년에서 사용되고 있는 3종의 영어 교과서가 선정되었고 교재 분석자는 2명의 연구자 집단과 분석 대상이 된 교과서를 실제로 사용하고 있는 42명의 교사 집단으로 구성되었다. 언어 기능별로 분류된 학습 과업은 네 개의 영역 - 언어 기능별 활동, 활동 유형, 수업 조직 유형, 구성 요인 - 을 바탕으로 분석되었다. 우선 교과서의 집필 방향을 알 수 있었던 교사 집단과 연구자 집단의 일치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분석된 교과서의 학습 과업에는 교육 과정의 의도가 전반적으로 잘 반영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말하기 과업에는 교육과정에서 의도된 언어 기능별 활동이 가장 잘 제시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1,2학년 듣기 과업은 초보적인 청해 활동들로 구성되어 있었던 반면 읽기 과업은 1학년에서부터 심화된 독해 활동들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쓰기 과업에는 조작적인 문형 연습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여 의사 소통 중심의 작문 능력을 개발하기에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자에게 요구되는 응답 형태에 따라 활동 유형을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분석된 교과서에는 언어 기능별 학습 과업에 따라 한정된 활동 유형이 제시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듣기와 읽기 과업은 이해 활동 유형 중심으로, 쓰기과업은 표현 활동 유형 중심으로, 말하기 과업은 표현 활동 유형과 상호 작용 유형 중심으로 한정되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교과서에는 학습 과업 수행을 위한 수업 조직 유형이 한정적인 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듣기, 읽기, 쓰기 과업 수행을 위해서는 대체적으로 전체 학습유형으로 한정되어 있었다. 그러나 말하기 과업은 전체 학습, 2인 1조 활동, 소규모 집단 활동으로 수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넷째, 학습 과업을 구성 요인에 따라 분석해 본 결과, 학습 과업의 목적이 가장 잘 교육 과정의 의도를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말하기 과업의 구성요인 중 활동, 교사와 학생의 역할이 가장 긍정적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다른 학습 과업들은 활동, 교사와 학생의 역할 측면에서 개선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연구자집단의 분석과 교사 집단의 분석 중 일치되지 않는 결과가 나타났는데 그 원인으로는 첫째, 연구자 집단은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를 바탕으로 한 객관적인 분석을 의도한 데 대해 교사 집단은 자신의 실제 수업 경험을 통한 교과서에 대한 이해를 분석에 반영시켜 주관적 견해를 포함시켰기 때문인 것으로 볼 수 있었다. 둘째, 교사 집단이 교과서에 반영된 교육 과정의 의도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한 경우가 있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에 의하면 개정된 영어 교과서는 6차 교육 과정의 개정 방향에 따라 상황에 적절하고 유창한 영어를 학습할 수 있도록 집필되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러나 교과서에 제시된 학습 과업 중에는 그 의도가 교사들에게 구체적으로 이해되지 못하는 내용이 있었으며, 교사들에 의해 실제 수업에서 정확히 이해되고 효율적으로 적용되도록 구성되지 못한 내용들이 있었다. 그러므로 앞으로의 교과서 집필시에는 교과서의 학습 과업에 교육 과정의 의도가 구체적으로 표현되고 실제 수업 현장에서 정확히 이해되고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지를 고려하여야 하리라고 본다. 더불어 교사용 지도서의 집필과 현직 교사의 연수 또한 새로운 교과서의 집필시 중점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리라고 본다.;This study evaluated the present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by analysing the learning tasks. By doing this, research was conducted on how well the objectives and the contents of the revised curriculum were implemented to the textbooks and how effectively English teachers interpreted the textbooks during the actual classroom teaching. For this study, the three English textbooks were chosen, which were most widely used by the first and the second graders of the middle schools in Seoul. The analyzers consisted of the two from researchers' group and forty two from the teachers' group, who are currently teaching the analyzed textbooks in middle schools. The learning tasks were classified by the four language skills, listening skill, reading skill, speaking skill, and writing skill. They were analyzed on the basis of four domains: activities for the four language skills, activity types, classroom setting modes, and components of the learning task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generally the learning tasks in the analyzed textbooks reflected the standard curriculum. Among the loaming tasks, the speaking tasks particularly reflected the speaking activities suggested by the curriculum. On the other hand, the listening tasks consisted of unvaried and low-leveled listening activities in both graders' textbooks, while the reading tasks contained the high-leveled reading activities from the first graders' textbooks. In the writing tasks, there were more repetitious practice drills on language forms than the developmental process which led to more creative writing.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activities performed by the learners' response pattern, the learning tasks were very limited in the analyzed textbooks. For instance, the listening tasks and the reading tasks were confined to the comprehension-based activities, the writing tasks to the production-based activities and lastly the speaking tasks to the production-based and the interaction-based activities. Third, the confined classroom setting modes were suggested for performing the teaming tasks. For most of the listening tasks, the reading tasks, and the writing tasks, the textbooks only suggested whole class works, while for most of the speaking tasks, pair works and small group works as well as the whole class works were suggested. In the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tasks, pair works and small group works would also be advantageous in learning English skills. Fourth,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components of the learning tasks, the goals of the learning tasks did in fact reflect the intention of the curriculum. Specifically, the components of the speaking tasks, such as goals, activities and teacher and learner roles were evaluated affirmatively. The other learning tasks, however, were needed improvements specially on the components such as activities and teacher and learner roles. In addition, some of inconsistent analysis resulted from teachers' and researchers' group. This cause could be from some teachers not fully understanding the intention of the curriculum clearly and from their interpreting the content of the learning tasks based on their actual teaching experiences. Consequently, the revised textbook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written to achieve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however, that some parts of the textbooks did not reflect the intention of the curriculum clearly. They did not show the methods on how to interpret and how to change them to fit the actual classroom settings. Therefore, the future writing of the new textbooks should clearly show the intention of the curriculum and suggest ways they can be interpreted and used effectively and differently in the actual classroom settings. In addition, the importance of the teacher's guides and in-service teacher training should be also considered seriously, when the new textbooks are writte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