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25 Download: 0

하악 제 1소구치 발치공간 폐새시 견인 루프에 부여된 gable bend양에 따른 치아이동 양상

Title
하악 제 1소구치 발치공간 폐새시 견인 루프에 부여된 gable bend양에 따른 치아이동 양상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magnitude of the gable bends on the tooth movement pattern in the space closure after extraction of mandibular first premolar
Authors
양은선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임상치의학대학원 임상치의학과임상교정치의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하악 제 1소구치가 발치된 증례에서 bull loop을 견치 후방에 제작하여 6전치 견인(en-masse)시 gable bend(이하 게이블 벤드라 함)를 어느 정도 부여할 때 하악 전치부의 해부학적 제한안에서 효과적인 치축조절과 후방 이동량을 극대화 할 수 있으며 동시에 구치부 고정원 상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지를 3차원으로 확인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양악 치조성 전돌로 밀집 없이 배열된 하악 왁스 모형에서 제 1소구치를 제거하고 bull loop가 형성된 .016″× .022″스테인레스 스틸 호선에 10°, 15°, 20°의 게이블 벤드를 부여한 후 6전치를 후방견인(en-masse) 하였다. Calorific Machine^(ⓡ)(이하 칼로리픽 머신이라 함)을 이용 치아에 열을 가해 인공 치조골부 상에서 발치공간을 폐쇄하였다. 발치공간 폐쇄 전후의 모형을 CT로 촬영한 후 Rapidform 2004™을 이용 3차원 모형으로 전환하고 인공 치조골부에 식립 된 금속 표지물을 V-Works 4.0™으로 중첩하여 치관과 치근의 수평, 수직, 전후방 이동량을 측정하여 통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전치부에서 근원심과 구치부의 협설측의 치아이동 양상은 게이블 벤드 양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며, 게이블 벤드의 양이 증가 할수록 전치부와 구치부의 정출량은 감소하였다. 시상면상 이동에서 게이블 벤드의 양이 10° 일 때 중절치는 비조절성 경사 이동양상을 보이나, 15° 이상 증가할수록 치체 이동양상을 보였다. 게이블 벤드의 양이 증가할수록 전치부의 후방 이동량은 증가하였고 구치부의 고정원 상실은 감소했으며 이 양상은 10°와 15°, 20° 간에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소구치 발치 후 전치부의 견인시 정출량의 감소, 고정원 유지, 전치부의 치체 이동을 위해서는 견치 후방에 부여된 게이블 벤드의 양은 15° 이상이어야 한다고 본다.;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al study was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magnitude of the gable bends in case of extraction of mandibular first premolar for the maximum retraction of the anterior teeth, and for the minimum anchorloss of the posterior teeth. In bimaxillary dentoalveolar protrusion arranged without crowding, the extracted space of the first premolar in Calorific machine^(ⓡ) was closed with 016″× 022″ SS arch wires which was combined with the gable bends of 10, 15, 20 degrees. The closed aspect of extracted space was transformed into three-dimensional modeling data by using CT. Superimposition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displacement of teeth in three directions. The statistical analysis such as one way ANOVA and Scheff post hoc test were used to find the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hree groups.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pattern of tooth movement in mesiodistal and buccolingual direction was not different according to the magnitudes of the gable bend. 2. As the magnitude of the gable bends increased, the amount of anterior and posterior tooth extrusion decreased. 3. As the magnitude of the gable bends increased, sagittal movement of anterior part was the bodily movement. 4. As the magnitude of the gable bends increased, the amount of anterior tooth retraction increased and anchorloss of posterior tooth decreased.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magnitude of the gable bend should be above 15° for the decrement of extrusion and anchorloss and for the bodily movement of anterior tooth in case of anterior tooth retrac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치의학대학원 > 임상교정치의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