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7 Download: 0

구개측으로 맹출된 측절치의 순측 이동시 호선 직경 증가에 따른 치아 이동 양상

Title
구개측으로 맹출된 측절치의 순측 이동시 호선 직경 증가에 따른 치아 이동 양상
Other Titles
Three-dimensional analysis of palatally erupted lateral incisor according to different wire sizes
Authors
김혜원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임상치의학대학원 임상치의학과임상교정치의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Orthodontists often experience insufficient root torque when treating the palatally erupted lateral inciso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crown moves labially while the root remains in its original position.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displacement according to the wire. Three-dimension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Calorific machine system and the Rapidform 2004™. Central incisor and cuspid were placed in the ideal arch form and connected to mini-implant (OSAS 1.6×8.0mm Seoul,Korea). Three arch wires(group 1: 014 NiTi, group 2: 016x022 NiTi, group 3: 017x025 SS) were used and each experiment was repeated five times. Three-directional tooth displacements were obtained in each group by measuring the positional changes of the steel balls, which were inserted to the teeth as reference point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with one-way ANOV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value of the crown labial movement was observed as below.016 × 022 NiTi >017 × 025 SS > 014 NiTi. 2. The value of the root labial movement was shown as below.017 × 025 SS > 016 × 022 NiTi > 014 NiTi. 3.. The value of the crown intrusive movement was observed as below.017 × 025 SS > 016 × 022 NiTi > 014 NiTi. 4. The lateral incisor was not moved bodily and the uncontrolled tipping movement was found between 014 NiTi and 017×025 SS In conclusion, 017 × 025 SS in .018 slot was not effective for the correction of root inclination of the palatally erupted lateral incisor. The effectiveness of bodily movement has no relation the size of the wire. More studies are reviewed to evaluate the effect of reversed bracket position, torque bend and torque spring.;본 연구에서는 018 슬롯 브라켓에서 호선 직경 증가에 따른 치료법이 실제로 치근의 토오크에 얼마만큼의 효과를 발휘하는지 알아보기로 하였다.이를 위해 Calorific Machine(국내특허번호; 178105 Ewha womans Univ., Seoul, Korea)과 치아모형의 3차원적 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Rapidform 2004™(아이너스기술, Seoul, Korea)를 이용하여 비교하고 평가하였다. 중절치와 견치는 이상적 악궁의 형태를 따르도록 하고 측절치는 구개측으로 위치시킨 후 중절치와 견치는 미니임플란트 (OSAS 1.6×8.0 mm)를 이용하여 움직이지 않게 고정시켰다. 세 종류의 호선(014 NiTi, 016×022 NiTi, 017×025 SS)을 삽입하여 치아를 이동시키고 실험은 5회씩 반복하여 실행하였다. 실험 전후에 모형을 1 mm 단위의 computerizing tomography로 촬영하였고 이를 V-Works 4.0™(CyberMed Inc., Seoul, Korea)을 이용하여 3차원 데이터로 변환한 후, 모형에 식립된 표지점을 기준으로 Rapidform 2004™를 이용하여 중첩하였다. 실험 전후 치관과 치근에 부착한 금속구(metal ball)의 변화량을 X축 변위(수평 변위), Y축 변위(수직 변위), Z축 변위(전후방 변위)로 계측하였고, 치아 이동 거리도 측정하였다. 실험 전후 개개 치아 이동량이 세 호선간의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기 위하여 일요인 분산분석 모형(one-way ANOVA)을 이용하였고 Scheffe방법으로 사후 검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치관의 순측 이동량은 016×022 NiTi > 014 NiTi > 017×025 SS 순 이었으나 치근의 순측 이동량은 017×025 SS > 016×022 NiTi > 014 NiTi 순이었다. 치관의 압입량은 017×025 SS > 016×022 NiTi > 014 NiTi 순 이었다. 측절치의 치체 이동은 일어나지 않았고 014 NiTi와 017×025 SS 사이에 비 조절성 경사 이동이 일어났다. ( p < 0.05 ) 이상의 결과로 볼 때 구개측으로 맹출한 측절치를 순측으로 이동시킬 때 018 슬롯 브라켓 부착 시 017×025 SS 와이어는 치근의 토오크 개선에 미미한 효과를 보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치의학대학원 > 임상교정치의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