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8 Download: 0
교정용 미니 임플란트 식립 부위에서의 피질골 두께와 치근간 거리
- Title
- 교정용 미니 임플란트 식립 부위에서의 피질골 두께와 치근간 거리
- Other Titles
- Cortical bone thickness and root proximity at orthodontic mini-implant sites : A study using 3-dimensional reconstructed CT images
- Authors
- 임주은
- Issue Date
- 2007
- Department/Major
- 임상치의학대학원 임상치의학과임상교정치의학전공
- Publisher
- 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 Degree
- Master
- Abstract
- 본 연구의 목적은 전치에서 구치에 이르는 상·하악 치아간의 피질골 두께와 치근간 거리를, 치조정으로부터의 높이와 각도 부여에 따라 측정함으로써 교정용 임플란트(미니 임플란트) 식립시에 참고할 수 있는 해부학적 지도와 임상적 지침을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해 성인 28명(남자 14명, 여자 14명)의 CT를 촬영하였고 V-works 4.0™을 이용하여 이를 3차원 영상으로 전환하였다. 상, 하악 중절치에서 제2대구치에 이르는 모든 치아 사이를 치간 접촉점을 지나면서 교합 평면에 수직이 되도록 잘라 90° 단면을 형성한 후 치조정으로부터 2, 4, 6, 8 mm 높이에서 0, 15, 30, 45°의 각도를 주어 피질골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또한 치조정으로부터 2, 4, 6, 8 mm 높이에서 교합 평면에 평행하게 잘라 90° 단면을 만든 후 V-works 4.0™내 거리 계측 도구를 이용해서 치근간 거리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피질골의 두께는 상악에서 1-1, 1-2 사이가 각각 평균 1.34 ± 0.05 mm, 1.65 ± 0.29 mm로 다른 부위에 비해 작은 값을 가지고 있었다. 하악은 5-6과 1-1 사이, 6-7과 1-1, 1-2, 2-3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P <.05), 전치부에서 구치부로 갈수록 두꺼워지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상악과 비교했을 때 전치부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3-4 사이 이후에서는 하악의 피질골이 유의하게 두꺼운 값을 가졌다 (P <.05).
각도를 부여했을 때 치조정으로부터 2 mm 높이를 제외한 대부분의 위치에서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피질골의 두께가 지수 함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4~6 mm 높이에 식립시 상, 하악 모두에서 30~45° 이상의 각도를 부여해야 피질골 보유량(engage 양)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근간 거리 측정 결과 상악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차이를 설명할 수는 없지만- 2-3, 5-6 사이가, 하악에서는 4-5, 5-6, 6-7 사이가 치근 손상 없이 미니 임플란트를 식립하기에 적절한 위치라고 볼 수 있었다. 하악 1-1과 1-2 사이는 미니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충분한 치근간 거리를 제공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cortical bone thickness and root proximity at orthodontic mini-implant site and so to provide an anatomical map and clinical guidelines for mini-implant placement.
CT images were taken from 28 subjects (male 14, female 14) and reconstructed by V-works 4.0™ into three-dimensional images. From central incisor to 2nd molar, buccal inter-radical cortical bone thickness and distance between the roots were measured at 2, 4, 6, 8 mm height from alveolar crest. Cortical bone thickness at 4 angles (0° , 15° , 30°, and 45°)were also measured.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1. In maxilla, cortical bone thickness between 1 and 1, 1 and 2 were 1.34 ± 0.05 mm, 1.65 ± 0.29 mm respectively, which were somewhat relatively thin compared with the other site.
In mandibl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5-6 and 1-1, 6-7 and 1-1, 1-2, 2-3 (P <.05) respectively. Cortical bone thickness in mandible was increased gradually from anterior to posterior region and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maxilla except 1-1, 1-2, 2-3 (P<.05).
2. In proportion as angulation increases, cortical bone thickness increased exponentially an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except at 2 mm height from alveolar crest. At 4~6 mm height, more than 30~45° angulation in maxilla and mandible may be effective in increasing cortical bone-implant contact.
3. Inter-radical space between 2 and 3, 5 and 6 in maxilla (although statistical differences could not be explained) and inter-radical space between 4 and 5, 5 and 6, 6 and 7 in mandible are considered as appropriate sites for mini-implant implantation without root damage. Clinically, when give an insertion angle at orthodontic implant site, operator must consider whether cortical bone thickness is enough to cover mini-implant and whether it can provide enough space for tooth movement without root damage. Individually different anatomical variations must be considered also. Because root proximity between lower incisors can not provide enough spaces for mini-implant, implantation at these site must be avoided if possible, and if needed, operator must implant at the site which is as far as possible from alveolar crest with sufficient insertion angle.
- Fulltext
- Show the fulltext
- Appears in Collections:
- 임상치의학대학원 > 임상교정치의학전공 > Theses_Master
-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Export
- RIS (EndNote)
- XLS (Excel)
- X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