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명례-
dc.creator김명례-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24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24Z-
dc.date.issued1996-
dc.identifier.otherOAK-00000002499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72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499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초등학교 '방과후 교육활동'에 대한 지도교사, 관리자, 지도하지 않는 교사의 ' 관심도'가 어떠한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여기서 '방과후 교육활동'은 보육과 교육개념을 포괄하는 '방과후 아동지도' 개념(한국여성개발원, 1996)의 일부인 학교 교육프로그램을 의미한다. (교육개혁위원회, 1995) 연구대상은 서울시내에서 방과후 교육활동을 실시하고 있는 20개 초등학교 148명의 교사와 관리자이다. 연구도구는 텍사스 대학 연구팀에 의해 개발된 관심도 질문지 (SoCQ)를 사용하였다. '관심도'란 학교에 새로운 변화가 진행될 때 변화에 대해 사람들이 갖는 관심을 Hall등(1987)이 7단계로 분류한 것을 말한다. 관심도는 지각적, 정보적, 개인적, 운영적, 결과적, 협동적, 대안적 관심으로 구분되는데 어느 관심단계에 있느냐 하는 것은 이 7단계 관심 중 상대적으로 어떤 관심에 좀 더 높은 강도를 보이느냐에 따라 결정된다. 연구결과는 질문지 개발자들이 고안한 채점방식에 따라 결과를 처리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다루어질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초등학교에서 실시하는 방과후 교육활동을 지도하는 교사들의 관심도는 어떠한가? 1-1. 방과후 교육활동을 지도하는 교사들의 전반적인 관심도는 어떠한가? 1-2. 방과후 교육활동을 지도하는 교사들의 개인별 관심도는 어떠한가? 1-3. 방과후 교육활동 경과년수에 따른 방과후 교육활동 지도교사들의 관심도는 어떠한가? 2. 초등학교에서 실시하는 방과후 교육활동에 대한 관리자들의 관심도는 어떠한가? 2-1. 방과후 교육활동을 실시하는 학교의 관리자들의 전반적인 관심도는 어떠한가? 2-2. 방과후 교육활동을 실시하는 학교의 관리자들의 개인별 관심도는 어떠한가? 2-3. 방과후 교육활동 경과년수에 따른 관리자들의 관심도는 어떠한가? 3. 초등학교에서 실시하는 방과후 교육활동에 대한 방과후 교육활동을 지도하지는 않으나 지켜보는 교사들의 관심도는 어떠한가? 3-1. 방과후 교육활동을 지도하지 않는 교사들의 전반적인 관심도는 어떠한가? 3-2. 방과후 교육활동을 지도하지 않는 교사들의 개인별 관심도는 어떠한가? 3-3. 방과후 교육활동 경과년수에 따른 방과후 교육활동을 지도하지 않는 교사들의 관심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방과후 교육활동에 대한 지도교사들의 전반적인 관심도는 '정보적 관심'이 가장 높았고, '개인적 관심'에도 비교적 높은 반응을 보였다. 관리자의 전반적인 관심도는 '정보적 관심'이 가장 높았고 '결과적 관심'과 '협동적 관심'에도 비교적 높은 반응을 보였다. 방과후 교육활동을 지도하지 않는 교사의 전반적인 관심도는 지도교사와 관리자와는 달리 거의 무관심의 단계 즉 '지각적 관심'에 머물러 있었고 '정보적 관심'에도 비교적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으나 '결과적 관심'은 아주 낮았다. 둘째, 관심이란 개인적인 것이므로 방과후 교육활동에 대한 최고의 관심도를 보이는 유형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개인별 관심도 분포를 조사하였다. 지도교사는 '정보적 관심'에 최고의 관심을 나타낸 사람이 가장 많았고 '개인적 관심'과 '대안적 관심'에도 비교적 많은 사람이 최고의 관심을 보였다. 관리자는 지도교사와 마찬가지로 '정보적 관심'에 최고의 관심을 나타낸 사람이 가장 많았고 '개인적 관심'에 최고의 관심을 보인 관리자는 없었으며 '협동적 관심'에 최고의 관심을 나타낸 사람도 비교적 많았다. 지도하지 않는 교사는 '지각적 관심'에 가장 많은 사람이 최고의 관심을 나타냈으며 '정보적 관심'에 최고의 관심을 보인 사람도 비교적 많았다. 셋째, 방과후 교육활동 경과년수에 따른 교사들의 관심을 1995년 5월 교육개혁 방안이 발표된 시점을 기준으로 1년 미만, 1년 이상∼5년 미만, 5년 이상∼10년 미만, 10년 이상의 학교 네 집단으로 나누어 결과를 분석했다. 지도교사들의 관심도는 방과후 교육활동 경과년수에 따른 네 집단 모두 '정보적 관심'에 가장 높은 반응을 보였고 경과년수 1년 미만과 10년 이상 학교의 지도교사들은 '운영적 관심'에, 1년 이상∼5년 미만, 5년 이상∼10년 미만의 두 집단은 '결과적 관심'에 가장 낮은 반응을 보였다. 관리자들은 경과년수에 따른 네 집단 모두 '정보적 관심'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운영적 관심'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나 지도교사들과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지도하지 않는 교사는 방과후 교육활동 경과년수에 따른 네 집단 모두 '지각적 관심'(무관심)에 가장 높은 반응을 보였으며 가장 낮은 관심은 '결과적 관심'이었다.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방과후 교육활동에 대한 지도교사, 관리자의 전반적인 관심도는 '정보적 관심'단계에 있었다. 이에 따라 방과후 교육활동에 대한 적절한 정보를 주기위해 보다 많은 연수형태의 지원이 주어진다면 더 높은 단계의 관심유형으로 관심이 전이될 수 있을 것이다. 전반적인 관심도를 비교해보면 지도교사와 관리자는 지도하지 않는 교사들에 비해서 대부분의 관심유형에 관심도가 높았고 전반적인 관리자들의 '결과적 관심', '협동적 관심'이 지도교사들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우리나라 교육풍토로 보아서 행정가 위주의 교육개혁의 파급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한다. 보다 높은 단계의 관심을 가진 관리자들 주도로 방과후 교육활동에 대한 관심을 증진 시키려는 노력이 공식적, 비공식적으로 있으면 교사들의 더 높은 관심을 조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전반적인 관심도에서 놓치기 쉬운 최고관심을 보인 사람들을 더 자세히 분석해 보기 위하여 개인별 관심도 분포를 조사해본 결과 '정보적 관심'을 가진 사람이 가장 많았지만 '협동적 관심'과 '대안적 관심'등 방과후 교육활동에 대한 관심이 상당히 높은 지도교사, 관리자, 지도않는 교사들이 있었다. 이들에게 학교내외에서 협동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을 함께 모이게 하고 다른 사람들과 협동해서 일하는데 필요한 기술을 개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기존의 교육프로그램을 수정할 수 있다는 사실을 수용하는 방향으로 지원을 한다면 보다 효과적인 방과후 교육활동을 이끄는 역할을 할 것이다. 방과후 교육활동 경과년수에 따른 관심도도 각 집단별로 차이가 있었다. 경과년수에 따라 1년 미만의 학교 지도교사, 관리자, 지도않는 교사들에게는 방과후 교육활동에 관한 분명하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방과후 교육활동이 급속히 실행되는 것이라기 보다 점진적으로 진행되는 것이라는 자문과 강화형태의 지원을 해주어 보다 높은 단계의 관심으로 전이될 수 있게 도와줄 수 있다. 1년 이상∼5 년 미만의 학교에는 방과후 교육활동에 관해 흥미를 일으킬 만큼 정보를 충분히 주고 이에 대해 잘아는 사람과 대화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하여 지도하지 않는 교사들의 관심을 높여주고, 지도교사와 관리자에게는 보다 정확한 정보를 주고 방과후 교육활동이 잘 되고 있는 학교를 방문하도록 지원을 한다면 더 높은 관심을 가지리라 기대된다. 5년 이상∼10년 미만, 10년 이상 방과후 교육활동을 실시 해온 학교는 대부분 사립학교로 교사들의 이동이 적고, 방과후 교육활동과 같은 특별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이 대체로 높으므로 이들에게는 적절한 정보를 주고 협동해서 방과후 교육활동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지원이 유용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방과후 교육활동'에 대한 관심도 연구결과는 첫째 현재 이를 실행중이거나 실행하려는 학교, 둘째, 보다 포괄적인 개념으로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제도화하려는 보건복지부과 교육부 담당자들에게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cerns of After School Program teachers, administrators and non-After School Program teachers toward extra curricular activities. Issues discuss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degree of After School Program teachers' concerns about extra curricular activities? 1.1 . How about the degree of general concerns? 1.2. How about their personal concerns? 1.3. How about the degree of concerns by the years of executing extra curricular activities? 2. How about the degree of administrators' concerns toward extra curricular activities being executed in the elementary schools? 2.1. How about the degree of general concerns? 2.2. How about their personal concerns? 2.3. How about the degree of concerns by the years of executing extra curricular activities? 3. How about the degree of non-After School Program teachers' concerns? 3.1. How about the degree of general concerns? 3.2. How about their personal concerns? 3.3. How about the degree of concerns by the years of executing extra curricular activities? Concerns of those three groups toward extra curricular acti-vities (after school program) were examined by SoCQ developed by the research team of Texas University and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coring method of Park and Guiffin.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concerns of After School Program teachers, administrators and non-After School Program teachers toward extra curricular activities, concerns for information was in the hightest degree, while concerns for result and management were rather low, and non-After School Program teachers barely concerned about anything to be in the perceptional stage. Second, in the case of personal concern, After school Program teachers and administrators showed lots of concerns for information, while non-After School Program teachers mostly showed highest degree of concerns for perception. Third, as for the degree of concerns by the years of executing extra curricular activities, data were analyzed by dividing four groups on the basis of the teachers' teaching experience: under one year, from one to five years, from five to ten years and above ten years. The result revealed that in the case of After School Program teachers and administrators four groups equally showed highest degree of concerns for information, while in the case of non-After School Program teachers four groups equally showed highest degree of concerns for perception. Putting all the results together, we can see that general concerns of After School Program and non-After school Program teachers toward extra curricular activities are mainly focused on information. Supports given to them are different to their concerns that flexible supporters should make supports according to teachers' concern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논문개요 = ⅵ Ⅰ.서론 = 1 A.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연구문제 = 3 C.용어의 정의 = 5 Ⅱ.이론적 배경 = 7 A. 방과후 교육활동 = 7 B. 관심도 = 16 Ⅲ. 연구방법 = 22 A. 연구대상 = 22 B. 연구도구 = 23 Ⅳ. 결과 및 해석 = 25 A. 방과후 교육활동에 관한 지도교사의 관심도 = 25 B. 방과후 교육활동에 관한 관리자의 관심도 = 32 C. 방과후 교육활동에 대한 지도 않는 교사의 관심도 = 38 D. 방과후 교육활동에 대한 관심도 비교 = 43 Ⅴ. 요약 및 제언 = 54 A. 요약 = 54 B. 제언 = 61 참고문헌 = 62 부록 = 64 ABSTRACT = 7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2637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초등학교-
dc.subject교육활동-
dc.subject교사-
dc.subject관리자-
dc.subject관심도-
dc.title초등학교 방과후 교육활동에 대한 교사와 관리자의 관심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the Concerns of the After School Program Teachers, Administrators and Non After School Program Teachers of the Elementary School Toward Extra curricular Activities-
dc.format.pagex, 76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초등교육전공-
dc.date.awarded199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