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3 Download: 0

아동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Title
아동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Other Titles
On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Children Career-Maturity
Authors
이은경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초등교육전공
Keywords
진로성숙도아동Career-Maturity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학생들의 자아개념·학업성적·사회경제적 수준 등의 변인과 진로성숙도와의 상관관계를 연구하여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기초 자료를 얻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서울 시내에 소재한 초등 학교 4학년과 6학년 각각 2개 학급씩 2개 학교를 무선 표집하였으며, 검사 도구는 진로성숙도 검사지, 자아개념 검사지 등이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자아개념·학업성적·사회경제적 수준 등과 진로성숙도와는 어떤 상관이 있는가? i) 학업성적·자아개념·사회경제적 수준 등의 변인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상대적 기여도는 어떠한가? ii) 학업성적과 진로성숙도의 하위 요인과는 상관이 있는가? ⅲ) 자아개념과 진로성숙도의 하위 요인과는 상관이 있는가? iv) 사회경제적 수준과 진로성숙도의 하위 요인과는 상관이 있는가? Ⅱ. 자아개념·학업성적·사회경제적 수준 등과 진로성숙도와의 관계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ⅰ) 학업성적·자아개념·사회경제적 수준 등의 변인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상대적 기여도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ⅱ) 학업성적과 진로성숙도의 하위 요인과의 관계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iii) 자아개념과 진로성숙도의 하위 요인과의 관계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iv) 사회경제적 수준과 진로성숙도의 하위 요인과의 관계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Ⅲ. 학업성적·자아개념·사회경제적 수준 등과 진로성숙도와의 관계는 학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ⅰ) 학업성적·자아개념·사회경제적 수준 등의 변인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상대적 기여도는 학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ii) 학업성적과 진로성숙도의 하위 요인과의 관계는 학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iii) 자아개념과 진로성숙도의 하위 요인과의 관계는 학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iv) 사회경제적 수준과 진로성숙도의 하위 요인과의 관계는 학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 아동의 진로성숙도 수준을 보면 태도 면에서 평균 75.7점이 나와 비교적 양호하나 능력 면에서는 평균 52.0점으로 미숙함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진로성숙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 둘째, 진로성숙도를 높이는데 가장 기여도가 큰 변인은 학업성적이며 이는 학년과 성별에 따라 차이가 없다. 학업성적을 주지 교과와 기능교과로 나누었을 때 기능 교과의 관련이 더 많다. 셋째, 학업성적 다음으로 자아개념도 진로성숙도와 상관이 있다. 이 결과를 남녀별로 나누어 보았을 때 남학생의 경우에 상관이 더 많으며, 학년이 올라갈수록 자아개념과의 관계가 더 많다. 넷째, 사회경제적 수준과 진로성숙도와의 관계는 부분적으로 상관이 있으나 전체적으로 볼 때 사회경제적 수준의 높고 낮음은 진로성숙도와 상관이 없다. 이 결과를 성별과 학년에 따라 나누어 보았을 때도 상관이 없어 차이가 없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초등 학생의 진로성숙도를 높이기 위해 기존 교육과정에서의 교육뿐만 아니라 새로운 교육과정의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진로성숙도를 높이기 위해 아동의 학업성적에 따른 다양한 진로 교육의 교재가 있어야겠으며, 특히 학업성적이 낮은 아동을 대상으로한 심층적인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학업성적 중 기능 교과의 영향이 더 크므로 기능 교과의 인지적 영역에 진로성숙을 향상시키기 위한 내용을 보강하면 효과적이다. 넷째, 자아개념도 진로성숙도와 상관이 있으므로 긍정적 자아개념을 형성하는 교육이 실시되어 자아에 대한 긍정적 자신감을 길러 준다면 진로 교육의 효과를 더 극대화할 수 있다. 다섯째, 진로성숙도를 높이기 위해 사회경제적 수준을 고려할 필요는 없다. 여섯째, 선행 연구를 살펴볼 때 여러 변인과 진로성숙도와의 관계에 있어서 결과가 일치되지 못하는 부분이 많은데 그 원인을 분석하는 연구가 있어야겠다. 일곱째, 본 연구에서는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중 학업성적·자아 개념·사회경제적 수준 만을 연구하였는데, 이 변인들만으로는 진로성숙도를 모두 설명할 수 없으므로 좀 더 다양한 변인들을 고려한 연구가 진행되어야겠다. 여덟째, 본 연구의 대상이 서울 시내에 국한되어 있으므로 이를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지역을 전국에 고루 확대하여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elf-concept, academic achievement, social-economic level, etc. which affect 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reer-maturity, and obtain basic data of career education program. The concrete issue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kind of relationship is there between self-concept, academic-achievement, social-economic level and career-maturity? Second, is the relation ship between self-concept, academic-achievment, social-econoic level and career-maturity different according to sex? Third, i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cept, academic-achievement, social-economic level and career-maturity different according to a grad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looking into the career-maturity of a child studied, he/she gets average 75.7 points in terms of attitude, which is relatively good, while 52.0 points in terms of ability, which shows immaturity. Therefore, he/she needs an education to improve the ability of career-maturity. Second, the most important factor which is contributive to raise the career-maturity is a school performance, which says that it is not different according to a grade and sex. When it is classified into main and functional subjects, it is more related to the latter. Third, self-concept is also related to career-maturity next to a school performance When we divide this result into he/she in case fo boy-students, they have more relation to it. The more they are high grade, the more they are related to self-concept. Fourth, social-economical level is partly related to the career-maturity, but on the whole, high or low social-economical level has nothing to do with the career-maturity. When we divide this result into sexes and grades, there is no difference for having no relations among them. Based on the above results, I would like to suggest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diversity a conventional career education to raise 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reer-maturity. Second, to do this, it needs various contents of the career education which considers a child's school performance to raise the career-maturity.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develope a program for a low-performed child to improve his/her career spirit and attitude. Third, as a functional subject affects more from a school performance, it is more effective to have an actual skill-centered education, supplementing the contents of career-maturity to the functional subjects. Fourth, as self-concept is related to career-maturity, the career education can be maximized in its effectiveness if an education to form a positive self-concept will be executed to raise a positive pride on self. Fifth, it is not necessary to consider a social-economical level to raise the career-maturity. Sixth, when we consider preceding studies, there are many results of no according these factors with career-maturity, so it is necessary for studies to analyze the cause. Seventh, this study only on the factors of academic-achievement, self-concept and social economic level among factors influencing career-maturity, cannot explain completely the career-maturity, it is necessary for studies to investigate the other variable factors. Eighth, because the object of this study limited to Seoul City area, to generalizing, it is necessary for succeeding studie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studies of limiting to Seoul City and expanding to the whole nation are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