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6 Download: 0

경도 정신지체 학생의 과제수행 행동과 학업성취 향상을 위한 자기감독의 효과 연구

Title
경도 정신지체 학생의 과제수행 행동과 학업성취 향상을 위한 자기감독의 효과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the Effect of Using Self-monitoring for Improving On-task behavior and Academic Performance of Students with Mild Mental Retardation :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uthors
서선진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Keywords
경도 정신지체 학생과제수행 행동학업성취 향상자기감독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많은 경도 정신지체 학생들이 일반적으로 보이는 주의력 결핍과 외부의존성은 낮은 학업성취를 이끌 뿐 아니라 성공적인 학교생활에도 장애가 되기 때문에 이를 극복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제공이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의 외부관리 프로그램은 의존성 문제를 지속시킬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행동 변화과정에 학생을 직접 참여시키는 실현가능한 대안을 필요로 한다. 여기서 경도 정신지체 학생이 보이는 주의력 결핍과 외부 의존성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자기관리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도 정신지체 학생의 과제수행 행동과 학업성취의 향상을 목적으로 그들에게 자기감독 기법을 사용하도록 훈련한 후 이 기법의 사용이 학생의 과제수행 행동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 학업성취에 있어 주의집중 자기감독 기법과 수행 자기감독 기법간의 효과성을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 고학년 특수학급에 재학중이고 시간제 특수교육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으며 주의력 결핍과 외부 의존성의 문제를 보이는 경도 정신지체 학생 세 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초선과 실험처치, 유지검사가 실시되었는데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와 엇갈림 처치 설계를 함께 사용하여 주의집중 자기감독 기법과 수행 자기감독 기법의 효과를 측정, 비교하였다. 이 중 실험처치에서는 주의집중 자기감독과 수행 자기감독이 1일 2회기로 엇갈림 처치되었다. 유지검사는 실험처치가 종결된 2주 후 4회기동안 실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 모두는 주의집중 자기감독 기법을 통하여 과제수행 행동과 학업성취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둘째, 대상자 모두는 수행 자기감독 기법을 통하여 과제수행 행동과 학업성취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셋째, 주의집중 자기감독 기법과 수행 자기감독 기법이 과제수행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할 때, 대상자 모두에게서 주의집중 자기감독 기법이 수행 자기감독 기법에 비해서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3명 중 2명의 대상자에서 주의집중 자기감독 기법이 수행 자기감독 기법에 비해 학업성취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1명의 대상자에서는 수행 자기감독 기법이 주의집중 자기감독 기법보다 학업성취에 더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왔다. 다섯째, 유지검사에서 대상자 모두는 높은 수준의 과제수행 행동과 학업성취를 나타내었다. 즉, 주의력 결핍의 문제를 가지고 있고 외부에 의존적인 경도 정신지체 학생들에게 자기감독 기법을 사용하였을 때 과제수행 행동과 학업성취 수준이 향상되며 실험처치가 종결된 후에도 과제수행 행동과 학업성취 수준은 유지되었다. 교사의 감독이나 강화가 주어지지 않아도 학생 스스로 자신의 행동과 학습을 관리할 수 있는 자기감독 기법은 보다 긍정적인 방향으로 경도 정신지체 학생들의 행동과 학업성취를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자기감독 기법은 학생의 능동적인 참여를 촉진하여 자연스러운 방식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므로 앞으로 경도 정신지체 학생들을 위한 행동 및 학습분야에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self -monitoring on attention and academic performance of students with mild mental retardation and to compare the effects of two types of self-monitoring: self-monitoring of attention and self-monitoring of performance. In this study, three students with mild mental retardation were selected from self -contained classroom who had inattention and external control problem. Using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and alternating treatment design, the percentage of on- task behavior, percentage of correct problems of math task using both self-monitoring techniques were measured. During the training session, target students were trained to use two self-monitoring techniques: self-monitoring of attention and self-monitoring of performance for the independent seatwork. Follow-up obsevation was implemented 2 weeks after withdrawing the interventi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1. Self-rnonitoring of both attention and performanc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level of on- task behavior and academic performance. 2. Between the self-monitoring techniques on on- task behavior, self-monitoring of attention was higher in its effect. 3. Between the self-monitoring techniques on academic performance, self-monitoring of performance was higher in its effect on two subjects. 4. Increased level of on-task and academic performance were maintained after withdrawal of the interven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self-monitoring can be a powerful intervention on students with mild mental retardation to manage their behavior and learning independentl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