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5 Download: 0

돌과 나무의 이미지를 조형화한 도자 주전자 연구

Title
돌과 나무의 이미지를 조형화한 도자 주전자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Ceramic Kettles Formed after Stone and Tree Images
Authors
이현경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도자디자인전공
Keywords
나무조형화도자 주전자도자 디자인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Nature has long been an ideal source of men's incessant expression desire, while moving and affecting us much. Various forms of nature are re-created by artists' forming behaviors, and thereby, its fundamental power of life and order are reduced to its essence. In other words, nature is imaged by individuals' subjective views to look varied, while the scope of its expressions is expanding. The researcher wants to express a kettle by using her subjective forming language and by selecting as symbolic sources the stone and tree, elements of nature. Since the kettle has some organic components, it becomes an object drawing attention and attraction visually; it has a power of life and movement for itself, which means that its images can be varied much. So, the researcher has decided to choose the kettle as theme of this study. On the other hand, stones and trees are frequently selected as sources of other art genres, because they are not simply inorganic structures but extensions of nature or micro-nature aesthetic enough to be re-created by art activities. Forming such elements of nature into an image of kettle may allow us to enjoy "the aesthetics of pleasure", and with such a conception in mind, this study was aimed at forming a kettle with the clay by using the images of stone and trees in an effort to deliver researcher's emotion to others. To this end, it was attempted to select the images of stone and tree as themes of expression and thereby, combine their forms and various organic elements to express the image of life in an artistic way. In other words, the objects viewed with the visual sense were re-created or re-organized to express the harmonious order of nature with the clay.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understand the symbols of stone and tree as well as their aesthetic characteristics, relevant literature was reviewed, and thereupo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the kettle showing various organic elements were examined, and the actual modem ceramic artworks expressing the kettle were studied to get some insight into researcher's emotional inside world in order to create ceramic kettles. To this end, the researcher attempted to simplify the images of stone and tree and adapt them to the form of kettle in order to expand and express the images derived from nature. In order to highlight the characteristics of earth and surface mass, the brownish clay was used for 10 pieces of ceramic artworks. In particular, in order to express the mass of nature intact, such techniques as plate forming, coiling and emptying-out were combined to be adapted to each work. On the other hand, in an effort to keep the rough mass of earth - not smooth and refined - the researcher tried to decorate the crude works with a make-up earth before glazing them by using emersion, spraying, partial splashing method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s; the materials of glazing were ash, membrane ash and iron glazes. Then, the works were fired primarily in 0.5 cubic meter kiln at 800 degree C for 7 hours, and fired secondarily in 0.5 cubic meter kiln at 1,250 degree C for 10 hours. In this process of forming kettles after stone and tree images, the researcher could not but experience various trials and errors, and thus, could be aware of the forming process, while having some aesthetic experiences. Namely, this study was useful in that it helped to awaken the researcher of her inside consciousness of forms and encouraged her to explore other new forms of kettle in the futu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researcher would like to experiment and create more ceramic works by solving the problems addressed through this study, and furthermore, would like to combine diverse natural sources with a modem sense to explore a more creative and unique world of ceramic art.;자연은 예로부터 인간의 끊임없는 표현 욕구의 이상적 소재이며 인간에게 많은 감동과 영향을 주고 있다. 자연의 여러 형상들은 예술가의 조형행위를 통해 재창조되고 그 근원적인 생명력과 질서를 표현하여 자연의 본질로 환원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자연은 개인의 주관에 의해 이미지화 되고 다양한 표현양식이 되어 그 영역도 점차 확대되어 가고 있다. 본 연구자는 자연의 한 요소로서 무한한 상상력을 지닌 돌과 나무를 소재로 선정하여 주관적인 조형언어로 주전자를 표현하고자 한다. 주전자는 유기적인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어 시각적으로는 주위와 흥미를 끄는 대상이며, 그 자체가 생명력과 움직임을 지니고 있어 다양한 이미지 변화의 가능성이 있기에 본인이 형상화 하고자 하는 조형 주전자의 이미지와 부합된다. 돌과 나무가 모든 예술 분야에서 소재로 선택되어지고 있는데 이는 돌이 자연의 무생물적 구조물에 그치지 않고 확대된 소 자연으로서 본질적 미와 더불어 예술활동에 의해 창조될 새로운 차원의 지고한 미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것을 주전자로 조형화 하는 과정에서 시각적으로 대자연을 느낄 수 있는 '시각의 기쁨'을 주고 연구자의 주관적 감성을 통해 점토로서 감흥을 전달하여 돌과 나무의 이미지를 조형화한 도자 주전자로 형상화시키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돌과 나무의 이미지를 표현주제로 정하여 형태의 움직임과 여러 가지 유기적인 요소들의 결합에 의해 생명력의 이미지를 조형적으로 표현하고자 하였으며 시지각을 통하여 본 대상물의 재현적 조형과 변형, 재구성을 통한 조형을 구체화 시켜 조화로운 자연의 질서를 흙을 통해 표현해보고자 한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돌과 나무의 이미지를 이해하기 위해 일반적 고찰과 조형적 특징을 사진자료와 문헌을 통해 고찰하는 동시에 유기적인 여러 요소를 지닌 주전자의 구조적 특징 및 변천과정을 알아보고 현대 도예에 표현된 예술작품의 실례를 제시 연구함으로서 본인의 감성적인 내면세계를 조형물로 발전시켜 보고자 한다. 조형과정은 돌과 나무의 이미지를 간결 단순화시켜 주전자 형태에 맞게 변형시킴으로서 자연으로부터 얻어낸 심상을 확대 심화하여 표현하고자 한다. 작품 제작 방법으로는 흙의 물성과 표면질감의 특성을 살리기 위해 갈색 조합토를 사용하였고 작품10점의 성형방법은 자연의 질감을 그대로 표현하려고 판성형, 코일링, 속파기 기법 등을 복합 병행하여 이미지를 조형화 하였고 각각의 형태에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였다. 모든 작품을 매끈하고 정갈하게 꾸며지지 않는 모양에서 거칠거칠하게 흙 질감 그대로의 표정을 살리기 위해 화장토로 분장 한 후 작품 특성에 맞게 담금시유, 분무시유, 일부 뿌리기 방법으로 재유, 막재유, 철유로 시유하였다. 1차 소성은 0.5㎥ 가스 가마에서 최고 온도 800℃로 10시간 동안 소성하였고, 2차 소성은 0.5㎥가스 가마에서 최고 온도 1250℃로 9시간 환원염 소성하였다. 작품 제작과정에서 돌과 나무의 이미지를 주전자로 조형화 하기 위해 여러 시행 착오를 통해 문제점을 직접 체득하였고, 나아가 조형에 맞는 방법을 재인식하게 되었으며, 미적 경험을 체험하는 가운데 본 연구자의 내면에 존재하는 조형의식을 발전시킴으로 하여 보다 새로운 조형 주전자의 개발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본다. 이와 같은 것을 기반으로 본 연구자는 작업에서 나타난 미흡한 점을 창의적 작품활동과 실험 연구를 통해 보다 쉽게 접할 수 있는 다양한 자연의 소재를 현대적 감각으로 잘 조화시킴으로써 좀 더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조형세계를 앞으로 더욱 모색하고 추구하고자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도자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