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자혜-
dc.creator김자혜-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13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13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380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60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805-
dc.description.abstractIn teaching English as a second or foreign language, usage such as grammar or vocabulary was emphasized in the past; on the other hand, recently the focus has been shifted to communication or language function. The new sixth middle school English curriculum which was revised in 1995, reflects the same view as today's trend of communicative function. The gist of the new curriculum is that the emphasis is on communication rather than grammar, on fluency rather than correctness, and on language use rather than language usage. Language "use" is concerned with how people actually use language for a multitude of different purposes while "usage" concerns the formal patterns of language described in prescriptive grammars and lexicons. In existing tests, the accuracy of language form is important, and the contexts are not considered. Most of the existing tests follow discrete-point testing methods dividing language skills into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and elements into phonology, lexis, syntax, and culture, trying to test each skills and elements, but nevertheless do not include listening test items or direct speaking tests. Learners' speaking abilities are tested by written language form. But communicative testing is based on how to use language in certain contexts, and its focus is on learners' real language use. As a result, the criterion of communicative testing is not accuracy of language form but fluency of language use. And the most important criterion to decide the contents of communicative testing is learners' needs. The approach of communicative testing moves in the direction of criterion-referenced test, so it doesn't compare learners' abilities but only describes them to make a decision if students will or will not pass the learning course. To make a communicative classroom, the testing methods should also be communicativ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iming to devise communicative testing methods according to the new curriculum and to have students take the tests to see if the methods ran be used in real classrooms. It is hoped some further devices of communicative testing can be made through the help of this experimental study. For this purpose, first year students in a middle school took two tests based on the communicative approach to testing, a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see what type tests the students wanted to take. In addition, test forms of other middle schools were analyzed item by ite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test forms of other middle schools showed that they were composed of items of discrete-point testing not following the communicative approach, so developing new testing methods following the new curriculum is need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experimental tests were high, thus it is said that the experimental tests can be taken in a real language testing situation. Second, the results of T-test between the school tests and the experimental tes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Thus, it is said that the school tests and experimental testing methods were very different. And the results of T-test between school tests and other schools' tes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So it can be said that the school tests were the model samples of existing tests for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That is, while the experimental tests moved in direction of communicative approach, existing tests did not. Therefore, middle school teachers should make efforts to develop communicative testing methods appropriate to each school condition. Thir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ir needs, students want to develop communicative ability in the first place answering that the experimental types of test are more suitable for their communicative ability development. In conclusion, although the students' goal of studying English is to acquire communicative ability with foreigners and although they prefer direct, communicative testing methods, most of the middle school teachers still use the testing methods of indirect, discrete-point testing. It is recommended that the school teachers should develop communication-oriented tests like the ones researched in this paper, and change the classroom activities and the testing methods. As demonstrated in this paper, the definite goal of language use proficiency testing should include the use of testing items appropriate to certain situations, have its emphasis on fluency rather than accuracy, and reflect students' needs.;영어교육에 있어서 과거에는 문법이나 어휘 등 단어의 형식적인 면이 강조되었던 반면 최근에는 의사소통이라는 언어의 기능적인 측면이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1995학년도 중학교 1학년 학생들부터 적용되고 있는 새로운 6차 교육과정은 영어교육의 초첨을 의사소통에 맞추고 있다. 6차 교육과정의 핵심내용은 문법보다는 의사소통에, 언어의 형식적인 측면보다는 그 사용에, 언어의 정확성보다는 유창성에 그 강조점을 둔다는 것이다. 이러한 의사소통 중심의 수업이 진행되려면 평가도 의사소통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실제 언어 사용 능력 평가라는 궁극적인 목적을 위하여 영어 능력 평가가 상황 중심, 유창성 중심, 평가자료의 실제 언어 사용과의 부합도를 고려한 평가 중심, 학생들의 요구에 맞는 평가중심, 직접 평가 중심, 통합적 평가 중심이 되도록 평가 문항을 개발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6차 교육과정에 부합하는 의사소통 중심의 평가방안을 개발, 실시하여 그러한 방안이 실제로 적용가능한 것인가를 살펴보며, 현재의 중학교 학생들이 학습하기 원하는 영어능력이 무엇인가를 파악하여 수업의 내용과 그에 따른 평가의 방향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가를 알아보고, 또한 현재 서울 시내 각 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평가의 유형은 어떠한 것인지를 분석하여 그것이 의사소통 능력을 제대로 평가하여 주는지, 6차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평가의 지침에 맞는 것인지를 알아보며, 의사소통 중심의 평가 특성에 따르는 평가의 모형은 어떠한 것이 사용될 수 있는가를 구체적인 예시로 제시하여 그것을 바탕으로 앞으로의 의사소통 중심의 평가방안 개발 연구에 도움이 되도록 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는 중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실험 평가지를 개발, 작성하여 실험하고, 현재 서울 시내 대부분의 중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평가지가 6차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평가방안을 따르고 있는가를 분석하며, 실험집단 학생들을 대상으로 어떠한 평가 방법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가에 대한 의식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본 연구자가 연구개발한 의사소통 중심의 평가지는 타당도와 신뢰도가 높았으며, 학교 평가지와의 차이도 검증 결과 직접 평가 방법을 사용한 듣기와 말하기에서 큰 차이를 나타내 평가의 방법이 전환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이 나타났다. 둘째, 타학교 평가지를 분석한 결과 의사소통 중심의 평가 방안의 특성과 6차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평가 지침에서 많이 벗어나 듣기와 말하기의 직접평가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과거와 같이 언어를 항목별로 나누어 평가하는 분리형 평가방법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생들의 의식을 조사한 결과, 학생들이 학습하기 원하는 영어능력은 외국인과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능력이었으며 이러한 능력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영어능력을 직접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의사소통 중심인 본 연구의 실험 평가지와 같은 유형의 평가가 적합하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6차 교육과정의 학습목표는 의사소통 능력 개발에 있는데, 현재 대부분의 학교에서는 기존의 분리형 간접 평가방안을 아직도 사용하고 있어서 의사소통 능력을 개발시키기에 적합한 의사소통 중심의 평가방안을 원하고 있는 학생들의 요구와 괴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의사소통 중심으로의 학습내용 전환과 이에 부합하는 타당한 평가를 위해서 본 연구의 실험 평가지와 같은 의사소통 중심의 통합적 유형의 평가지를 각 학교에서 활발히 연구개발하여 기존의 시험 방향을 개선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본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4 A. 평가의 제 문제 = 4 B. 언어평가의 역사적 변천 = 10 C. 의사소통 능력의 평가 = 16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 25 A. 연구 방법 = 25 B. 연구 자료 = 27 C. 연구절차 = 41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56 A. 실험 평가지와 학교 평가지의 비교 = 56 B. 학교 및 실험 평가지 문항 분석 = 66 C. 설문 결과 분석 = 72 D. 의사소통 중심의 평가 모형 = 79 Ⅳ. 결론 = 85 참고문헌 = 88 부록 = 91 ABSTRACT = 10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01532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중학생-
dc.subject영어능력-
dc.subject의사소통-
dc.subject언어평가-
dc.subject평가모형-
dc.title중학생 영어능력의 의사소통적 평가 모형 개발을 위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Communicative Approach to English Testing Methods for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dc.format.pagevii, 112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dc.date.awarded1996.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