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89 Download: 0

사연있는 인형(Persona doll) 이야기 활동이 유아의 장애인 인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사연있는 인형(Persona doll) 이야기 활동이 유아의 장애인 인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persona-doll activity on children's awareness and attitude toward the handicap
Authors
정희정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Keywords
사연있는 인형Persona doll이야기 활동장애인 인식유아교육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persona-doll activity on children's awareness and attitude toward the handicap.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purpose are as follows: 1. How does persona-doll activity effect children's awareness of the handicap? 1-1. How does it effect children's awareness of the handicap? 1-2. How does it effect children's awareness that cause the handicap? 2. How does persona-doll activity effect children to be aware of ability of the handicapped? 2-1. How does it effect children to be aware of physical ability of the handicapped? 2-2. How does it effect children to be aware of language ability of the handicapped? 2-3. How does it effect children to be aware of social ability of the handicapped? 3. How does persona-doll activity effect children's attitude toward the handicap? For this study, 30 five-year-old children were selected at H kinder- garten located in Seoul. The material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questionnaire, partly modified from Diamond & Hestenes(l996), and the photographs depicting the handicapped. The reliability of both the questionnaire and photographs were verified by professionals related. The questionnaire consists of 6 items identifying : the handicap, the cause of handicap, physical ability of the handicapped, language ability of the handicapped, social ability of the handicapped, attitude toward the handicapped. The photographs consists of 5 items : 2 of physically and visually handicapped, 1 of auditory handicapped. The data collected from children's response to the above research materials were analyed by frequency and co-rel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in general children are most aware of physical handicap, and visual, auditory handicap are followed. Through this persona-doll activity children's awareness were improved and clarified, and they were more effected by the sensory factors. Children's awareness about the cause of handicap were mostly accidental reason like injury, and this didn't make big difference from the real fact. Second, related to each handicap, children's awareness about the ability of the handicapped were accurately improved after the persona- doll activity. Social ability had a distinctive statistical change while physical and language ability didn't make a big difference. Third, children's attitude toward the handicapped had a distinct change to be friendly after the persona-doll activity. Children's attitude were more friendly to the physical handicap, and visual, auditory handicap are followed. The results were in the same order with the awareness of handicap stated above, and this refers that children's attitude is related to their awareness of the handicap. These results give the following suggestions to the current early childhood education. First, Anti-bias activity about the handicap should be progressed focusing the children to have accurate awareness of the handicap. Second, when progressing the anti-bias activity about the handicap, it is desirable to tell the community rather than the physical difference of the handicapped.;본 연구의 목적은 반편견 교육과정의 문학적 접근 방법 중 사연있는 인형(Persona doll) 이야기 활동이 유아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이에 따른 구체적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사연있는 인형 이야기 활동이 유아의 장애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1-1. 유아의 장애여부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1-2. 유아의 장애원인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2. 사연있는 인형이야기 활동이 장애인의 능력에 대한 유아의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2-1. 장애인의 신체능력에 대한 유아의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2-2. 장애인의 언어능력에 대한 유아의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2-3. 장애인의 사회능력에 대한 유아의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3. 사연있는 인형 이야기 활동이 유아의 장애인에 대한 수용적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시내 소재한 H 유치원 5세 한 학급의 유아 30명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는 Diamond와 Hestenes(1996)의 연구에서 사용한 것을 기초로 조금 보완된 질문지와 각 장애를 잘 나타내는 컬러사진 자료였다. 장애인에 대한 인식검사 질문지는 유아교육 전문가 2인과 경력 7년 이상의 유아교육 교사 3인에게 내용 타당도를 검증 받았다. 그리고 질문지와 함께 사용된 컬러사진 자료는 유아교육교사, 유아교육학과 교수, 초등학교 1학년생, 2학년생, 대학생 각 2인에게 안면 타당도를 구하여 적합하다고 판단된 것을 사용하였다. 장애인에 대한 인식검사 질문지는 장애 여부 인식을 묻는 질문, 장애의 원인을 묻는 질문, 장애인의 신체능력에 대한 인식을 묻는 질문, 장애인의 연어능력에 대한 인식을 묻는 질문, 장애인의 사회능력에 대한 인식을 묻는 질문, 유아의 장애인에 대한 수용적 태도를 묻는 질문 등 6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질문지와 함께 사용된 컬러사진 자료는 지체장애인에 대한 사진 자료 2부, 시각장애인에 대한 사진자료 2부, 청각장애인에 대한 사진 자료 1부로 총 5부의 사진을 사용하였는데 가능한 웃는 표정의 사진을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주관적 응답의 분석, 각 사전·사후의 결과에 대한 빈도 분석, 사전·사후의 상관관계 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는 일반적으로 지체장애를 가장 잘 인식하며, 시각장애, 청각장애 순으로 인식하였는데 사연있는 인형 이야기 활동을 통해 그 인식의 수준이 높아지고 명확하여졌다. 그 과정에서 유아는 장애를 인식할 때 시각적인 단서에 주목하여 인식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장애의 원인으로는 부상이나 사고와 같은 후천적 원인에 의한 것으로 인지하고 있으며 이것은 실제적인 장애의 원인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장애인의 신체, 언어, 사회능력에 대한 인식은 각각의 장애여부 인식과 연관되어 사연있는 인형이야기 활동을 후에 뚜렷한 변화양상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신체, 언어능력에 대해서는 사연있는 인형이야기 활동전·후에 통계적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으나 사회능력에 대해서는 유아들의 인식의 변화에 대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셋째, 유아의 장애인에 대한 수용적 태도는 사연있는 인형 이야기 활동 이후에 현저하게 수용적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체장애, 시각장애, 청각장애순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장애인식과 같은 순서로 장애인에 대한 수용적 태도가 장애인식과 연관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연구 결과가 유아교육 현장에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에 대한 반편견 교육활동은 유아가 장애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지니도록 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이루어져야한다. 둘째, 장애에 대한 반편견 교육활동을 실시할 때에는 장애인의 신체적 차이점보다는 일반인과 같은점을 인식하도록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