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5 Download: 0

도제 장식 타일 소품에 관한 연구

Title
도제 장식 타일 소품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of Decorative Ceramic Tiles : Using the Mosaic Technic
Authors
주세정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도자디자인전공
Keywords
도제장식타일소품모자이크기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Since the beginning of civilization, human beings have always strived to create a pleasant environment in their habitation. To fulfill this need, human beings have created a variety of conditions. As civilization advanced and society more developed, such needs became further increased. In the past only a certain class of people could enjoy such luxury but this is changing today and more people are striving for a comfortable way of life. These conditions have also been reflected in art through pluralism and an integration of different genres. The result of this has brought environmental art into the limelight. In ceramics, such influences created a genre known as environmental ceramics. This is a transition in ceramics but it is not a means to break away from existing concepts in ceramics but it is rather a way of creating new aesthetical development in our environment. Ceramics is a way of expressing the qualities found in clay and an artist includes one's emotion into these qualities. It provides abundant ways of showing our expressions. When we look at the historical aspects of ceramics, relief-works were extensively incorporated in making furniture, vessels and other objects. Today, it has widened its boundaries by being used in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The study aims to combine aesthetics with function by creating an interior space with decorative tiles. Small objects can be made into tiles to enrich an interior environment. Research was done on relief-works and tiles. Through it, an assessment was made on the different types of tiles and relief decorations. The decorative methods used in tiles have been examined to compare the methods incorporated in making 3 dimensional forms. Furthermore, materials used for both methods have been combined for experimentation. The works of artists working in this field have also been examined. Although tiles have been used for this study, they have been altered for decorative purposes and materials have been combined to create different effects. Most of the clay work has been made in 2 dimension and they can be divided into the following three categories: 1) 15 by 15 cm tiles have been cut to experiment with textures. 2) Button and cube shapes have been created. 3) Seven different wooden frames have been slip-casted. Some of the tiles have been cut when they were leather hard. This dryness was most manageable in handling the clay. A porcelain clay body was used for the tiles. A variety of coloured slips were mixed to create different effecst. Two types of slip were used - high temperature and low temperature. The high temperature slips were fired for 8 hours to 900 degrees celsius in the first firing. The second firing was an oxidized firing, reaching a temperature of 1250 degrees celsius. The firing prolonged for 9 hours. for the low temperature slips, the first firing reached a temperature of 1250 degrees celsius in 12 hours. The second firing was oxidized and it reached a temperature of 1030 degrees celsius in 8 hours. The study has shown that ceramics can been used extensively to decorated our environment. Clay has always remained close to us throughout history and it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bring comfort to our lives. We can integrate and harmonize all these valuable qualities to be incorporated in our living conditions. Only then, will our environment become a pleasant place for us to live in.;환경을 좀 더 쾌적하고 아름답게 영위하려는 인간의 욕구는 인류의 역사와 함께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인간은 미(美)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각계각층에 걸쳐 부단한 노력을 해 왔으며 문명이 진화되고 사회가 발달할수록 미적 욕구는 더욱 더 증폭되어 과거 특수한 계층에서만 누렸던 미에 대한 향유는 현재로 오면서 확대되어 가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추세와 함께 현대 미술의 흐름은 다원화, 통합화의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공예 역시 시대적 요구에 따라 과거의 공예의 흐름에서 파악할 때 예전 공예의 범주에서 벗어나려는 의도라고 보는 시각보다는 심미성과 함께 시대적 특성과 목적에 부합되는 기능성을 추구하는 도예 개념의 발전적인 확장의미로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도자에 의한 장식은 흙이 가진 특별한 물성을 살려 가장 다양한 표현이 가능하고 흙만이 가진 독특한 감수성을 풍부하게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역사적으로 표면장식은 과거 가내(家內) 물건이나 가구, 기물 등의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목적으로 널리 이용되어 왔고 오늘에 와서는 생활과 밀접한 관계로 그 표현 영역이 확대되어 가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그러한 장식적 특성을 잘 살린 도제 장식타일을 제작하여 생활 환경 조성에 있어 실용적 기능과 미적 조형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소품을 제작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 목적을 위해 이론적 배경으로는 장식성과 모자이크에 관한 개념을 일반적인 고찰을 통해 알아보고 본 작업의 장식모체(裝飾母體)인 타일에 관한 일반적인 고찰을 통하여 그 종류와 실용도, 활용추세와 범위에 대해 서술하였다. 또한 현대 공예의 흐름에 있어 장식타일의 역할과 발전방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타일과 모자이크작품사례를 통해서 선행작품들 중 타일장식표현기법의 작품과 장식성과 실용성을 겸비한 작품, 혼합재료를 활용한 작품의 사례들을 제시했다. 최근 혼합재료를 사용한 작업이 활발히 진행중인데 본 연구는 바로 그 점에 주목하여 모자이크기법을 응용하여 타재료를 사용하되 도제 타일장식 부분을 중심으로 미적으로나 기능적으로 상호 보완할 수 있는 디자인에 중점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도제타일을 응용하여 주로 평면을 장식할 목적이므로 그에 적합한 세 가지의 장식타일의 원형을 설정했다. 첫째, 다양하고도 재미있는 표현이 가능한 질감을 가진 소재들을 부착하여 표면질감을 표현한 타일(15X15)과 둘째, 단추와 큐빅, 셋째, 나무소재 액자 틀 7종이다. 이를 원형으로 하여 석고 틀을 제작하고 이장주입성형방법과 가압성형방법으로 제작하였다. 타일의 경우에는 좀 더 다채로운 조합을 위해 레더하드 상태에서 다양하게 커팅을 하였다. 태토는 다양한 발색을 위해 백색소지 중 슈퍼화이트를 사용했고 유약은 다양한 안료와 산화물의 발색을 위해 투명유를 시유하였다. 소성방법은 고화도용 안료를 사용한 것과 저화도용 유약을 사용한 것, 두 가지로 구분되는데 고화도 안료의 경우 0.5㎥도염식 가스가마에서 마침온도 900℃까지 8시간 1차소성 후, 2차소성은 산화염으로 1250℃까지 9시간 소성하였고 저화도 유약의 경우 같은 조건에서 마침온도 1250℃까지 12시간 1차소성 후, 2차소성은 1030℃까지 8시간 소성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우리의 주변 환경에 도제 타일로써 장식이 활용될 수 있는 범위가 매우 광범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본래 도예가 역사적으로 인간의 생활과 깊은 관련을 맺어온 점을 상기해 보았을 때 도자는 우리의 환경을 구성하는 다른 어떤 소재보다도 인간에게 친숙한 물성을 내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의 주변 환경에 도자만이 가질 수 있는 이러한 특성과 장점을 적용시킬 수 있는 범위를 넓혀 봄으로써 생활 속에 도제 장식타일의 사용 범위가 좀 더 폭넓게 활용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길 바라며 다채로운 시각의 도자 제작이 활성화되어 우리의 환경을 아름답게 승화시키는데 일조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도자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