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5 Download: 0

제7차 교육과정 과학과 물리 영역의 이해 및 내용분석을 위한 개념도 작성

Title
제7차 교육과정 과학과 물리 영역의 이해 및 내용분석을 위한 개념도 작성
Other Titles
Concept mapping for analyzing content and understanding of physics part in science of the 7th curriculum
Authors
오지영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물리교육전공
Keywords
제7차 교육과정물리 영역내용분석개념도 작성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sequence and rank in selection and construction of contents of Physics by constructing the interrelation of grade through concept map, in the area of physics in Science department of the curriculum. It is teachers to be use for reference as ail equipment for checking the conceptional level of students before classes and after classes, as homework an equipment of evaluation for checking conceptional changes of students. For this, it is analysis for the contents of commonly fundamental curriculum of people from grade 3 to grade 10 in detail aid made the concept map by each grade and total. Moreover, it is also drew the concept map by each chapters analysing the studying contents of 'Life and Science', 'Physics 1', 'PhysicsⅡ' in curriculum that grade 11 and grade 12 students can choose and above this, made the total concept map by each grade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commonly fundamental of people is formed as shown below without any duplication of contents to release the sudden changes from entering a school of higher grade 1. 'Forwardness of light, of 4th grade of the 6th curriculum was organized into Grade 3 of the 7th curriculum 'The play with shadow-by taking only straight of light except reaction and reflation of light considering the conceptional level of learners. 2.「An electric cell and bulb」 (Grade 4) was treated by Grade 3 of the 6th curriculum. but, according to leaners' conceptional level quantity of content has reduced, the content about comparison of light by connection of the bulb in series or parallel circuit was moved to Grade 5's textbook. 3. 「Comfortable instrument」 (Grade. 6) was moved from the chapter,「Force and an instrument」 in Grade 6 the 6th Curriculum deepening of content. 4. 「Light」 and 「ware」 (6th in Grade 7) was not treated in the middle schools during the 6th curriculum. but it was suitably organized for the conceptional of students in the 7th curriculum so that could be solved the difference of time to the conceptional study about light and wave appeared during the 6th curriculum 5. 「Electricity and Magnetism」 in the 2nd grade of middle school of the 6th curriculum, many students had some dfficulties to understand the conception of action of an electric current, therefore conception of electricity moved to Grade 8 and conception of magnetic action out of many actions of current moved to Grade 9 Secondly, considering the conceptional level of students by each grade in centrally curriculum of option, studying content were organized as shown below by reducing in partially or moving in to other grade. 1. The content about the law of preservation of momentum was referred in 'physicsⅡ during the 6th educational procedure but it has partially moved to 'physics I in the 7th curriculum by organizing the studying content easier them before. 2. The content about an atomic model was treated in 'physicsⅡ of the 6th educational procedure. but it has moved to 'physicsⅡ' of the 7th curriculum with deepened content.;과학교육에서는 국민의 기본적인 과학적 소양을 기르기 위하여 자연을 과학적으로 탐구하는 능력을 기르고 과학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며 과학적인 태도를 기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특히, 과학의 기본개념에 대한 올바르고 명확한 이해는 가장 기본적이며 중요한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는 제6차 교육과정이 현장에서 적용되는 동안 발생했던 문제점을 보완하여 제7차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제7차 교육과정에서의 학습내용은 학생들의 인지발달 수준에 따라 저학년에서는 주로 현상중심 및 활동중심으로 하며 고학년으로 올라갈수록 점차 개념중심으로 구성하였다. 따라서 교과에 포함된 내용들을 유의미한 지식으로 학습자의 인지구조 속에 포함시키고 체계적인 개념구조를 가질 수 있도록 제7차 교육과정의 학습내용을 학년별로 또, 전체맥락에서 학습주제와 개념들 사이의 구조가 잘 연결되고 있는지 살펴볼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는 유의미 학습전략의 하나인 개념도를 통하여 제7차 교육과정 과학과 물리 영역의 각 학년별 개념사이의 상호관계를 조직하여 봄으로써 물리교과 내용의 선정·조직에 있어서 그 연속성과 위계성을 파악하고, 학교현장에서 물리교육을 할 때에 보다 효과적인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것을 바탕으로 교사들에게 수업 전에는 학생들의 개념수준을 확인하는 도구로, 수업 후에는 학생들의 개념변화를 확인하는 평가도구나 과제물로 이용하는 참고자료가 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 의해 이 연구에서는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의 물리 영역에 대한 각 학년별 개념도와 전체 개념도를 작성하였다. 그리고 선택중심교육과정의 물리 영역에 대한 각 단원의 개념도를 작성한 후, 학년 별 전체 개념도를 작성하여 교육내용들 간의 연계성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그 결과 첫째,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에서는 학교급 간의 이동에서 오는 급격한 변화를 완화시키기 위하여 내용의 중복 없이 교육과정을 편성하였다는 것을 알았다. 1. 3학년의 「그림자 놀이」 에서는 학생들이 빛에 대한 개념을 어렵게 생각함을 고려하여 제6차 교육과정의 4학년에서 다루던 「빛의 나아감」 단원에서 빛의 반사와 굴절 현상은 제외시키고 직진 현상만 다루었다. 2. 4학년의 「전지와 전구」 는 제6차 교육과정의 3학년에서 다루던 부분이었으나 학습 내용을 축소하여 제7차 교육과정의 4학년으로 이동시킨 것이며 전구의 직렬 연결과 병렬 연결의 불의 밝기 비교에 관한 내용은 5학년으로 부분적인 이동을 시켰다. 3. 6학년의 「편리한 도구」 는 제6차 교육과정의 5학년 「힘과 연모」 의 단원에서 학습내용을 심화시켜 학년을 이동시킨 것이다. 4. 7학년의 「빛」 과 「파동」 은 제6차 교육과정의 중학교에서는 다루지 않던 내용이었으나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학생들의 인지수준에 맞게 편성하여 제6차 교육과정에 나타났던 「빛」 과 「파동」 의 개념학습에 대한 시간적 차이를 해소하였다. 5. 제6차 교육과정의 중학교 2학년에 편제되었던 「전기와 자기」 의 단원에서 학생들이 전류의 작용에 대한 개념을 어렵게 생각함을 고려하여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전기의 개념을 8학년으로, 전류의 여러 가지 작용 중 자기작용에 대한 개념은 9학년으로 편성하였다. 둘째, 선택중심교육과정에서는 각 학년 별 학생들의 인지수준을 고려하여 학습내용을 일부 축소하거나 학년을 이동시켜 다음과 같이 편성하였다는 것을 알았다. 1. 제6차 교육과정에서는 운동량 보존법칙에 관한 내용을 '물리Ⅱ'에서 다루었으나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학습내용을 보다 쉽게 구성하여 '물리 I '로 내용의 일부만 이동을 시켰다. 2. 원자모형에 관한 내용은 제6차 교육과정의 '물리 Ⅰ'에서 다루던 부분이었으나 학습 내용을 심화하여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물리Ⅱ'로 이동시켰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물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