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선희-
dc.creator이선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36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36Z-
dc.date.issued198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440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20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4409-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ren's concept of Friendship and Popularity in the peer group. Specifically, three major Questions were raised 1. Will there b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friendship concept and children's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sex, housing, father's education and mother's job etc.? 2. Will there be any differences in response between popularity in the peer group and friendship concept? 3. Will there b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opularity and Children's friendship concept? To measure children's friendship concept and popularity, four Kinds of pictures developed by Furman and Bierman (1983), and Moreno's Sociometric Status test methods were us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171 children among E and W Kinder-gartens which are located in Taegu city, were asked to participate in this program. To testify the research hypothesis, researcher processed the data using SPSS on CYBER CDC 170-815, under significance level of 5%, chi-square analysis was used,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atriy was deriv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With demographic data, generally to sa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ut in accordance with sex, father's education and mother's job, there were some discriminations. 2. Children's different social status had shown a little significant different responses toward friendship concept. Most Children were respondent positively to Support but negativity to physical characteristics. Star-type had strong responses toward affection, isolated-type toward propinquity and common activity respectively. 3. According to the Pearson Correlation matrix table, some significant causal relation or similarity were shown between demographic data and friendship concept.;어린이는 성장하면서 가족의 테두리를 점차 벗어나 또래들과 접촉하게 되고 이 접촉 범위는 확대 되면서 그들 나름의 또래집단이 구성된다. 또래집단내에서도 여러요인이 변수로 작용하여 인기형, 고립형, 배척형의 집단으로 나누어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또래 집단내에서의 인기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서 어린이의 인적사항과 어린이의 친구관계 개념을 분석하고 그들 사이에는 어떤 상호작용을 하는지를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위와 같은 연구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집단내에서의 인기도는 인적사항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1-1. 집단내에서의 인기도는 어린이의 성별, 나이, 거주지별, 형제자매수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1-2. 집단내에서의 인기도는 아버지의 연령, 직업, 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1-3. 집단내에서의 인기도는 어머니의 연령, 학력, 직업의 유, 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집단내에서의 인기도와 친구관계 개념간의 반응은 어떠한가? 2-1. 집단내에서의 인기도와 애정에 대한 개념에서의 반응은 어떠한가? 2-2. 집단내에서의 인기도와 원조의 개념에서의 반응은 어떠한가? 2-3. 집단내에서의 인기도와 일상활동의 개념에서의 반응은 어떠한가? 2-4. 집단내에서의 인기도와 근접성의 개념에서의 반응은 어떠한가? 2-5 . 집단내에서의 인기도와 신체적 특성에 대한 개념에서의 반응은 어떠한가? 3. 집단내에서의 인기도에 따른 인적사항과 친구관계 개념간에는 어떤 관련성이 있는가? 이상의 문제를 연구조사하기 위하여 대구직할시의 2개유치원 4개반 원아 171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인기도를 측정하기 위한 Moreno의 사회 측정 검사와 Furman과 Bierman의 도구를 참고하여 본 연구자가 작성한 그림과제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를 이용하여 경북대학교 소재 CYBER CDC 170-815로 처리하였다. 빈도 분포표 (Frequency)를 구하고 x^(2)검증과 적합도 검정 (Goodness of fit test)으로 차이 검증을 하였고 Pearson의 상관관계 계수를 구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집단내에서의 인기도는 어린이의 성별에서 α<.005 수준에서 차이가 있었다. (x^(2)= 24.42) 아버지의 학력과는 α<.005 수준에서 유의한 차가 있었다. (x^(2)=16.99) 어머니의 적업 유, 무와도 차이가 있었다. (x^(2)=18.76) 2. 집단내에서의 인기도는 애정의 개념에서 인기아인 경우 α<0.5수준에서 반응의 차가 있었다. (x^^(2)=4.16) 원조의 개념에서 인기아가 x^^(2)=8.16, 배척아가 x^^(2)=23.15, 고립아가 x^^(2)=7.11로 α<.005 수준에서 반응의 차이가 있었다. 일상활동의 개념에서 고립아가 α<.05 수준에서 반응의 차이가 있었다. (x^^(2)=4.76) 근접성의 개념에서도 고립아가 α<.05 수준에서 반응의 차이가 있었다. (x^^(2)=7.11) 신체적특성의 개념에서 인기아, 고립아, 배척아 모두 α < .005 수준에서 반응의 차이가 있었다. (x^^(2)=10.66, x^^(2)=7.11, x^^(2)=10.70) 3. Pearson의 상관관계 행렬표에 의하면 인기아인 경우 애정적 개념에서는 어머니의 직업에 따라, 원조의 개념에서는 아버지의 나이, 어머니의 나이 또한 형제자매수에 따라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으며 일상활동의 개념에서 어린이의 나이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고립아인 경우 원조의 개념에서 거주지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으며, 근접성의 개념에서는 아버지의 직업과 신체적특성의 개념에서는 어린이의 나이, 아버지의 나이, 어머니의 나이, 어머니의 직업과 정적인 관계가 있었다. 배척아인 경우 원조의 개념에서 어린이의 나이와 다소상관이 있으며 일상활동은 아버지의 학력, 아버지의 직업, 어머니의 교육정도와 상관이 있고 근접성의 개념은 형제자매수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의 의의 및 목적 = 1 B. 문제의 제기 = 3 C. 연구의 제한점 = 4 Ⅱ. 이론적 근거 및 선행연구 = 5 A. 유아기의 사회성 발달과 또래들의 역할 = 5 B. 친구관계의 발달 = 9 C. 친구관계에 영향을 주는 요인 = 17 D. 사회성 측정 = 19 Ⅲ. 연구방법 = 22 A. 연구의 대상 = 22 B. 연구도구 = 25 C. 연구절차 = 27 D. 자료의 처리 = 28 Ⅳ. 결과 및 해석 = 29 Ⅴ. 요약 및 결론 = 47 참고문헌 = 51 부록 = 56 ABSTRACT = 6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8449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집단내-
dc.subject인기도-
dc.subject친구관계-
dc.subject유아교육-
dc.title집단내에서의 인기도와 친구관계 개념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ren's Concept of Friendship and Popularity in the Peer Group-
dc.format.page6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유아교육분야-
dc.date.awarded1986.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