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0 Download: 0

롱 셀러(Long seller)상품개발을 위한 캐릭터 이미지분석에 관한 연구

Title
롱 셀러(Long seller)상품개발을 위한 캐릭터 이미지분석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Characters leading consumers
Authors
백희라
Issue Date
1998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제품디자인전공
Keywords
롱 셀러Long seller상품개발캐릭터이미지분석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In the modern society, changing from the literal age to the image, age visual things occupy more than anything else. These visual outcomes not only reflect daily reality but also show the aspect of positively changing and resturucting it. Accordingly, it is necessary for us to put an academic revaluation on the studies of character, one of visual communication design factors as a masscult product and then to set up a theory through these studies : systematioc analysis on character, translation of imagination in unconsciousness, the variety of the media. Besides, new prpoduction - consumption mechanism followd by information revolution has made quality of almost every product equalized except high-tech products like medical applianes. This situation indicates that consumers' standards to select propducts are changed from resonableness, and functionalism to sensibility, interest and amusement. As our society is getting complex, the moderns tend to prefer humanity and sensibility to complicated technology. In this situatin, character has been loved and considered as high value-added products thanks to its originality, attraction, amusement, familiarity, visual reality and diversity. In addition to this industrial aspect, the desire to possess and to use character products appears as a new ideology affecting world culture and capital initiative. Though impotance of character is highlighted as a main factor of social communication industries like this, there are a lot of problems understimation of character, the tack of connection among character industries, the deficiency of planning, business and characrer marketing even after creating a new one. That is, we need to cultivate specialists who are able to control all the process from pre-production and production to post-production. We also have to add the value of character products by improving designs based on the studies of main consumers' spending type and their spending enthusiasm. Lastly, it is necessary to have a correct understanding of basic paradign in character industry. This study recognizes one-dimension character image as the medium which represents consumers' various desires in the multicultural age as well as the tool of closely approaching a product. Some tangible characters are chosen and analyzed to find such symbolic value as consumers' desire or their spending pattern.;문자시대에서 이미지 시대로 변화한 현대사회에서 시각적인 것은 그 어느 때보다 큰 비중과 의미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시각적인 결과물들은 일상의 현실을 반영하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적극적으로 변화시키고 재구성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오늘날 대중문화 상품으로서의 visual communication design의 요소 중에 하나인 캐릭터에 대한 새로운 분석, 욕망의 매개체로서의 관심, 잠재의식속에 발현되어진 상상력에 관한 해석, 매체의 다양성 등에 관한 연구가 학술적으로 재평가되고 보다 체계적인 분석을 통한 이론적 정립이 요구되고 있다. 더욱이 정보혁명에 의한 생산과 소비의 새로운 메카니즘은 의료기기나 일부 고도의 조작성을 요하는 제품을 제외한 모든제품의 기술과 품질의 평준화를 이루웠으며 이런 시대적 상황은 소비자들이 물건을 고르는 관점도 합리성, 기능제일주의의 관점에서 감성위주, 혹은 흥미, 유희적가치 등으로 전이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사회구조가 복잡해짐에따라 현대인들은 복잡한 테크놀로지보다는 인간적이고 감성적인 것을 요구하는 성향을 띠게 되는 것이다. 이런 상황 속에서 캐릭터는 독창성, 주목성, 유희성, 친근감, 가상세계의 현실화, 항상성, 다양성, 대리만족과 같은 본질로 인해 인간의 관심과 애정을 받고 있으며 21세기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서 인지되고 있다. 이제는 산업의 차원을 넘어 귀엽다는 단순한 의식과 곁에 두고 소유하고 사용하는 것 자체가 즐겁도록 감각에 호소하는 감정이 세계의 문화와 자본의 주도권에 크게 영향을 주는 새로운 이데올로기로 작용하는 것이다. 이처럼 사회적 커뮤니케이션 산업의 일환으로서 캐릭터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우리는 캐릭터에 대한 저급한 인식 및 각 캐릭터 산업간의 연계구조의 미비로 시너지효과의 전반적 창출이 소규모로 진행되는 등의 문제점과 캐릭터 창출이후의 기획 및 비지니스, 캐릭터마케팅 등이 미비한 상태이다. 즉, 기획인력을 보강하여 사전제작단계(pre-production)와 제작단계 (production), 사후제작단계(post-Production)로 이어지는 전 단계를 총괄관리 해 낼 수 있는 전문인의 양성과 캐릭터의 주소비계층의 소비유행 및, 소비욕구를 통한 캐릭터 디자인의 강화를 유도하여 상품가치를 증대시켜야 할 것이며 또한 캐릭터 산업을 바라보는 기본인식의 패러다임이 전환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캐릭터산업의 1차원적인 이미지로서의 캐릭터를 단순히 친밀감의 대상의 도구로서가 아닌 복합문화주의 시대의 다양한 소비욕구를 대표하는 매개체로 인식 하였으며 이를 증명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캐릭터를 선정하고 분석하여 소비자의 욕구, 소비패턴 등의 상징적가치를 발견 해야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