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6 Download: 0

플럭서스(fluxus) 예술에 나타난 사회성에 관한 연구

Title
플럭서스(fluxus) 예술에 나타난 사회성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Sociality in Fluxus
Authors
김기미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Keywords
플럭서스예술사회성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플럭서스(Fluxus)는 1950년대 말부터 서서히 번져나가기 시작한 새로운 예술에의 욕구와 그 움직임을 대표하는 예술 운동으로, 사회변화를 모색하려는 아방가르드 예술가들이 공동체를 이룬 것이다. 이들은 현대 미술을 순수하고 시각적인 것에 국한시키려는 기존 미술개념과 당시 서구 사회에 팽배해 있던 상업주의에 대한 거부, 그리고 다다의 반항정신에 뿌리를 두고 있었다. 그래서 기존질서의 파괴, 반 예술적 행위로 단순하게 이해되어 왔다. 그러나 이들은, 예술을 단순한 오브제 제작에서 예술가와 관객의 직접적인 소통으로, 삶과의 통합으로, 그리고 예술의 대중화라는 사회적인 면들을 새롭게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것은 예술 활동이 본질적인 인간활동이기 때문에 나타나는 것이므로, 본 논문은 프럭서스가 가졌던 예술의 문제의식을 살펴보고 그들의 행위에 나타난 사회적 의미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는 문헌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플럭서스의 기본 개념과 전개 과정을 서술하고, 다음으로 플럭서스 예술의 사회적인 면을 개념화시킨 대표적인 작가로, 조지 마키우나스, 요셉 보이스, 존 케이지의 사상과 활동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여기에서는, 예술의 대중소통으로서 값싸고 복제 가능한 마키우나스의 출판물이나 보이스의 열려진 예술 교육, 그리고 케이지의 예술의 평준화 작업을 통해서 예술의 대중화나, 일상적인 생활을 예술화하려 했던 그들의 사회적 예술 개념을 찾을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플럭서스의 사회적인 면이 드러나는 행위를 중심으로 스코어 이벤트, 우편 예술, 그리고 오브제와 정서적인 존재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스코어 이벤트에서는,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쉬운 악보로 퍼포먼스 함으로서 관객과의 직접적인 소통을 이루려 하였고, 특수하거나 공식적인 장소가 필요치 않고 열려진 공간에서 행위를 한 우편 예술에서는 누구나 접할 수 있는 우편으로 예술의 대중화를 시도하였으며, 오브제와 정서적인 존재에서는 일상적인 오브제를 예술적인 느낌을 가질 수 있도록 정서적인 존재로 부각시킴으로서 예술을 특별한 곳에서 찾지 않고 우리의 삶 속에서 생각하고 느끼는 것이라는 걸 알게 하였다. 결론적으로 플럭서스는 현상에 대한 전면거부가 아니고 사회 속에서, 실질적인 삶 속에서 예술을 찾고 그 예술적, 사회적 실천 형식의 강화로서건, 대안으로 서건, 또는 그 두 가지 모두의 방향에서건, 사회적 개인적 감수성의 변화를 바라는 사람들에게 개념적이면서도 실제적이고 구체적 작업의 모델을 제공하였다. 그리고 그것이 플럭서스가 지향하고자 했던 현실적인 삶 속에서의 예술의 가능성을 활성화 시키고 극대화 시키는 것이라 할 수 있다.;Fluxus is art movement representing a desire and activities of new art form that has slowly started to spread since the end of 1950. It is the movement of Avant-garde artists who desire to bring about social change within the community. The movement can be simply understood by destruction of existing orders and anti-artistic activities. It tries to restrict the art concept to something pure and visual. It tries to defy the dominant culture with strong political tendency in the rich spirit of Dada. The movement exposed a social aspect of the conventional art, which is now known as direct conversation between artists and attendants. It has matured into unification of life or popularization of art from simple object production. The basis of such development is the premise that the art is essential human activities with a strong link between art and society. The thesis herein is to discover the sociality in the Fluxus based on its form and literature. First, the history of Fluxus and basic concept are examined with in-depth focus on the studies of George Maciunas, Joseph Beuy, and John Cage. Second, the actual form of the Fluxus art will be examined, which will include Score Event, Mail art, and Humor. The in-depth examining as in above reveals that the popularization of art with reference to the routine life is the underlying theme of the Fluxus. Through performance, the Fluxus tries to bring about a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the actor and the attendants. It is an art form which anyone can partake at public place or otherwise. Furthermore, the Flwus has the humor side, which tries to criticize the established culture with re-examination of the simple routines in life. In conclusion, Fluxus is an art form which tries to extract art within society with renewed discovery of the link between art and reality of life. Underlying such goal, there is the ulterior motive of social change within society. In the process, Flwus gave tangible words to the artist who desire to change the personal and social sensibility with socie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