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현숙-
dc.creator이현숙-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23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23Z-
dc.date.issued1991-
dc.identifier.otherOAK-00000002439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06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4392-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matic fantasy play on children's problem-solving ability. Following questions were set to achieve the study purpose. 1. Is there any difference in divergent problem-solving task between the thematic fantasy play participant group (experiment group) and comparative one? 2. Is there and difference in divergent problem-solving task according to sex n experiment group? 3. Is there any difference in convergent problem-solving task between experiment group and comparative one? 4. Is there any difference in convergent problem-solving task according to sex in experiment group? To probe these questions, the subjects were 37 children who attended n 's' kindergarten is Seoul (56-71 months old). The experiment tools which used for divergent tasks were modified Pepler & Ross's tools. The convergent tasks tool modified the same tool as Pepler & Ross's. The subject were divided into two group randomly. The experiment group children were participated in thematic-fantasy play 10 times in classroom during the comparative group were doing outdoor play. After these treatments, the tests on taskⅠ,Ⅱ were helded. In divergent problem-solving task was to naming about construction on wood block and LEGO block building. the name frequency was recorded as fluency and the particularity of name was recorded as originality. In convergent problem-solving task was to setting out each six pieces puzzle which were form puzzle and color puzzl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n the fluency and originality of the divergent problem-solving taskⅠ(wood block construction), experiment and comparative group were different significantly. Also, in the fluency and originality of the divergent problem-solving taskⅡ (LEGO block construction), experiment and comparative group were different significantly. 2.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fluency and originality according to sex: 3. The differences in convergent problem-solving task are as follows: The experiment and controlled group were not different significantly in convergent problem-solving taskⅠ(form puzzle). Most of two group children were should highly rate of right answer.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P<.05) in rate of right answer in convergent taskⅡ(color-puzzle). 4.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rate of right answer in convergent taskⅠ according to sex. Also,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ate of right answer in convergent taskⅡ according to sex. According to these results, t might be said that thematic fantasy play for children is more effective in divergent problem-solving than convergent problem-solving.;본 연구는 유아의 주제 공상극 놀이(thematic-fantasy play) 경험이 문제해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설정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주제 공상극 놀이에 참가한 집단은 비교 집단에 비해 확산적 문제해결 과제에 차이가 있는가? 2. 주제 공상극 놀이에 참가한 집단은 유아의 성에 따라 확산적 문제해결 과제에 차이가 있는가? 3. 주제 공상극 놀이에 참가한 집단은 비교 집단에 비해 수렴적 문제해결 과제에 차이가 있는가? 4. 주제 공상극 놀이에 참가한 집단은 유아의 성에 따라 수렴적 문제해결 과제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내 5유치원에 다니는 유아 37명이다. 실험도구는 Pepler & Ross(1981)의 연구에서 사용된 확산적 과제를 응용 제작하였으며 수렴적 과제는 그대로 제작 사용하였다. 실험 절차는 유아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무선배정하여 10회에 걸쳐 유치원 일과 중 실외놀이 시간을 이용하여 교실에서 주제 공상극 놀이를 하였다. 실험처치후에 과제 Ⅰ,Ⅱ를 실시하였다. 확산적 문제해결 과제는 나무블럭과 레고블럭으로 과제물을 구성한 후 명칭을 붙여보게 하여 명칭의 빈도수를 유창성(fluency)으로, 그 명칭의 독특함을 독창성 (originality)으로 기록하였다. 수렴적 문제해결과제는 형태퍼즐 (form puzzle)과 색깔퍼즐 (color puzzle)로 구성되어 있고 각각 6개의 퍼즐 조각을 퍼즐판에 맞추게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주제 공상극 놀이집단, 비교집단간의 확산적 문제해결에서의 차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확산적 문제해결 과제Ⅰ(나무블럭 구성물)의 유창성에 있어 두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확산적 문제해결 과제Ⅰ(나무블럭 구성물)의 독창성에 있어 두 집단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확산적 문제해결 과제 Ⅱ(레고 블럭 구성물)의 유창성에 있어 두 집단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확산적 문제해결 과제 Ⅱ (레고 블럭)의 독창성의 경우에도 두 집단간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즉, 주제 공상극 놀이경험은 유아의 확산적 문제해결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주제 공상극 놀이에 참가한 집단의 성별에 따른 확산적 문제해결에서의 차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확산적 문제해결 과제Ⅰ(나무블럭 구성물)의 유창성에 있어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확산적 문제해결 과제Ⅰ(나무블럭 구성물)의 독창성에 있어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확산적 문제해결 과제 Ⅱ (레고블럭 구성물)의 유창성에 있어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확산적 문제해결 과제 Ⅱ (레고블럭 구성물)의 독창성에 있어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즉 주제공상극 놀이에 참가한 남녀간에는 확산적 문제해결에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3. 주제 공상극 놀이에 참가한 집단, 비교집단간의 수렴적 문제해결에서의 차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수렴적 문제해결 과제Ⅰ(형태퍼즐)의 경우 실험, 비교집단 모두 높은 정답 반응율을 보였으며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수렴적 과제 Ⅱ(색깔 퍼즐)의 경우 실험, 비교집단의 정답반응율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이로 미루어 보아 주제공상극 놀이 경험은 유아의 수렴적 과제중 색깔퍼즐 해결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4. 주제 공상극 놀이에 참가한 집단의 성에 따른 수렴적 문제해결의 차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수렴적 과제 I(형태퍼즐)의 경우 정답 반응율에 있어서 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수렴적 과제 Ⅱ (색깔 퍼즐)의 경우 정답 반응율에 있어서 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즉 주제공상극 놀이에 참가한 남녀간에는 수렴적 문제해결에서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유아의 주제 공상극 놀이 경험은 수렴적 문제해결보다는 확산적 문제해결에 효과적인 도움을 주는 활동임들 알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6 C. 용어 정의 = 7 Ⅱ. 이론적 배경 = 9 A. 극놀이의 종류와 기능 = 9 B. 놀이와 문제해결 = 19 C. 관련 연구 = 24 Ⅲ. 연구방법 = 31 A. 연구 대상 = 31 B. 실험 도구 = 32 C. 연구 절차 = 34 D. 자료 처리 = 38 Ⅳ. 결과 및 해석 = 39 Ⅴ. 논의 및 결론 = 48 A. 논의 = 48 B. 결론 = 50 참고문헌 = 52 부록 = 56 ABSTRACT = 6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8270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주제-
dc.subject공상극-
dc.subject놀이-
dc.subject유아-
dc.subject문제해결-
dc.title주제 공상극 놀이 경험이 유아의 문제해결 증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Thematic-Fantasy Play on Improving Children's Problem-Solving-
dc.format.pagevii, 6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유아교육분야-
dc.date.awarded1992.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