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3 Download: 0

현행(1990)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의 내용분석

Title
현행(1990)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의 내용분석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nalysis of Current Music Textbooks Published in 1990 for a Senior High School
Authors
金郁姉
Issue Date
199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Keywords
고등학교음악교과서내용분석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music curriculum has been changed five times. In the fourth correction, it was divided into 3 spheres basic ability, expression ability and appreciation ability. But in the fifth, it was divided into 2 spheres expression ability and appreciation ability. In accordance with the fifth correction, music textbook was republished. Since music textbook is the most important teaching material in the course of instructing music, and the learning contents or system is determined by the textbook rather than the teacher's guidance, the organization of knowledge should be presented systematically, and its system should have the same character as the learning materials reflecting the voluntary researching course of the learners. The objec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analyzing and examining that whether the 8 kinds of new music textbooks, which have been used since 1990 school year, are published more developingly according to the curriculum or not, and presenting problems which were contained. For the purpose, first of all, the current music curriculum and the comprehensive theory for music education on which it is based, should be examined. And the new textbooks were examined, whose contents were classified into 6 spheres in comparison with the old ones; vocal music, instrumental music, creation, appreciation, theory, and self-learning. Consequentl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1. As the whole system of textbooks is composed as one volume, it is difficult to teach and link each grade. 2. New textbooks have a little more Korean music, especially Korean lieder and folk songs, than foreign one, unlike the old textbooks. It shows the attitude of understanding Korean culture prior to accepting the foreign culture. 3. Current textbooks have both merits and demerits, but as a whole they are organized more faithful to the new curriculum than the old ones, in that they contains the musics of various periods, including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folk song of other countries. 4. The outstanding merit of new textbooks is that they have the self-learning parts. In their contents, the new textbooks were better organized than the old ones. And also they present the students with a clear object and learning activity as an unification. 5. A few problems which should be corrected, were found out. a. The contents should be treated more extensively in the aspect of region and age. b. The number of unison in lieder except for Korean folk songs is five and half times as many as that of chorus. That should be reconsidered if musical lesson is regarded as an activity of developing the expression ability through experiencing the beauty of music by cooperation. c. In the contents of music for appreciation, 3 kinds of textbooks have no oriental folk song. And also in the textbook of the qualification number 10014, the number of appreciation music is the lo- west of them all, and it has no modern music and folk song of other countries.;현행 음악과 교육 과정은 해방 이후 5차례의 개정을 거쳤다. 제4차 교육 과정은 기본 능력, 표현 능력 및 감상 능력의 3개 영역으로 구분했으나, 제5차 개정에서는 표현 능력과 감상 능력의 2개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이에 따라 음악 교과서도 재편찬되었다. 음악 교과서는 음악 교육이 이루어지는 과정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자료로서, 교사의 지도에 우선하여 학습 내용이나 학습 체계를 규정짓기 때문에 그의 내용 구성에 있어서 지식의 구조가 체계적으로 제시되고, 또 그 지식의 체계는 학생 스스로의 탐구 과정을 반영한 학습 자료와 같은 성격을 띠는 것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본 논문은 1990 학년도부터 사용하고 있는 8개 종의 고등학교 음악 교과서가 그 내용 구성에 있어서 교육 과정에 부응하여 보다 발전적으로 편찬되었는지의 여부에 대해 분석·검토하고, 그것이 안고 있는 문제점을 제시하려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현행 음악 교육 과정과 그 이론적 기저로 되어 있는 포괄적 음악 교육 이론을 개관하고, 교재 내용을 가창, 기악, 창작, 감상, 이론 및 자율 학습의 6개 영역으로 구분하여 구 교과서와 비교·검토하여 보았다. 그 결과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교과서 전체의 구성이 단일본으로 되어 있어 학년별 지도가 어려워 학습의 연계성이 힘들게 되어 있다. 2. 현행 교과서는 구 교과서와 달리 외국곡보다 한국곡(가곡과 민요)의 비율이 조금 높아 외국 문화의 수용에 앞서 우리의 문화를 먼저 이해한다는 태도를 보여 주고 있다. 3. 현행 교과서는 개개의 교과서마다 장·단점을 고루 내포하고는 있지만 전체적으로 볼 때 여러 시대의 곡과 우리의 전통 음악 그리고 세계의 민족 음악이 고르게 수록된 점에 있어서 구 교과서보다는 교육 과정에 충실하게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4. 현행 교과서의 특기할 만한 장점은 자율 학습 영역을 둔 점이다. 구 교과서에 비해 그 내용이 훨씬 잘 되어 있으며, 학생들에게 분명한 목표와 통합체로서의 학습 활동이 제시되어 있다. 5. 그러나 몇가지 시정되어야 할 문제점도 발견되었다. a. 교재 내용이 시대적·지역적으로 보다 더 광범위하게 다루어져야 하겠다. b. 한국 민요를 제외한 가곡에 있어서 제창곡이 합창곡의 5.5배나 되어 있어, 협동에 의한 음악의 아름다움을 체험함으로써 표현능력을 기르도록 제시된 음악 교육의 내용면에서 볼 때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c. 감상곡의 내용에 있어서, 3개의 교과서(검정번호 10011, 10013, 10015)에는 동양의 민족 음악이 1곡도 수록되어 있지 않았으며, 또 검정번호 10014에는 감상곡의 수가 제일 적고, 근대·현대 음악과 세계의 민족 음악이 1곡도 수록되어 있지 않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