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1 Download: 0

제6차 교육과정의 중학교 환경 교과 운영 현황과 개선 방향

Title
제6차 교육과정의 중학교 환경 교과 운영 현황과 개선 방향
Other Titles
(The) present situation and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the "Environment" subject in secondary school of the current 6th curriculum
Authors
이혜선
Issue Date
199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환경교육전공
Keywords
교육과정중학교환경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제 6차 교육과정에 의해 1995년부터 신설된 중학교 「환경」교과의 운영 실태를 파악하고 요구와 문제점을 분석하여 제 7차 교육과정에서 더욱 심도 있는 환경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선점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문헌조사를 통해 「환경」교과의 현황을 살펴보고, 설문조사를 통해 전국의 중학교 환경 교사 60명의 교과 운영 실태, 환경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 및 「환경」교과에 대한 의견과 요구를 조사하였다. 아울러 전국에서 「환경」교과를 배우는 중학생 606명과 배우지 않는 중학생 621명에 대해 「환경」(관련)교과에 대한 흥미, 지식과 실천면의 변화, 「환경」교과 선택 의지와 환경 교과서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고 비교 분석하였다. 문헌조사 결과 「환경」을 선택하는 중학교와 환경 교사 부전공 자격연수를 이수한 교사는 매년 늘어나고 있으나 설문조사 결과로는 중학교 환경 교사 중 환경 교사 부전공 자격연수를 이수하지 않은 교사가 65%로 과반수를 넘고, 교과 지도에 자신이 없다는 응답이 60%, 「환경」교과를 계속 담당하기를 희망한다는 응답이 57%였다. 특이할 만한 점은 「환경」교과 지도에 대한 자신감이나 담당희망이 부전공 자격연수 이수여부나 전공과목 그리고 환경관련 연수경험과는 무관한 것으로 분석된 것이다. 교과 운영에 있어서 교사들은 임의로 교과서의 단원을 선정하는 것에 64%가 부담을 느끼고 있었으며 그에 대한 대안으로 5개 정도의 필수단원이 제시되는 것을 74%가 바람직하다고 응답했다. 한편 환경교과 지도 시에 '적절한 참고자료의 부족, 교사의 활동경험 부족' 과 같은 어려움을 느끼며, 교과서의 지식·정보 부분의 수준에 대해서는 65%의 교사가 학생들이 이해하기에 다소 어렵다고 응답했으나, 학생들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로는 학생들은 적당하다고 반응하였다. 교과서의 활동부분 지도는 '장소, 장비 등 여건 부족, 활동시간 부족, 지도방법 미숙' 과 같은 어려움이 있으며 사진·삽화·그래프는 70%가 만족하지 못했고, 개선점으로 사진은 '설명 부족, 선명치 못함, 작은 크기', 삽화는 '설명 불충분, 너무 단순화됨, 낮은 수준', 그래프는 '낡은 통계자료, 부정확, 통일성이 없는 단위와 간격' 을 들었다. 환경을 배우는 중학생과 배우지 않는 중학생간에는 환경(관련)교과에 대한 흥미와 환경교과를 배울 필요성, 환경교과 선택의지와 필수과목으로 정할 필요성 등 대부분의 문항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 p < 0.05 )로 환경을 배우는 학생들이 높은 응답율을 보인 한편 환경을 배우는 학생들은 지식면에서는 앞서지만 실천면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환경관련 활동으로 두 집단 모두가 견학, 비디오 시청, 환경보전 실천방법을 하고 싶어했다. 한편 환경을 배우는 중학생 중에서는 1학년이 거의 모든 문항에서 2, 3학년 보다 긍정적인 반응을 보여 교육 효과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교과는 다학문적, 간학문적인 내용과 학생 중심의 체험 활동을 중시하는 특성을 지니므로 환경교육에 대한 교사의 열정을 바탕으로 한 폭넓은 지식과 지도 경험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연구 결과로는 무자격교사가 절반을 넘고 부전공 자격연수 내용도 환경 교사들의 다양한 전공에 비해 획일적이어서 지도에 대한 자신감을 얻는데 도움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확인되어 현재 「환경」을 담당하는 무자격교사들에 대한 부전공 자격연수의 우선 실시와 함께 전공별, 수준별로 연수 내용이 다양화되며 자신감이나 만족도가 향상될 수 있는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지도방법에 대한 심화 연수가 필요함을 시사 받았다. 또한 내용의 변화가 많은 「환경」교과의 특성상 6년 주기의 교과서 정규개정 외에 매년 최신 통계 자료 수록과 바뀐 내용 변경, 부적절한 내용 삭제 등 교과서를 세심하고 지속적으로 수정, 보완해 나가는 작업과 아울러 학생들의 관심과 동기를 최대한 유발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며 1학년에서 「환경」을 선택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임을 확인하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esent situation and to analyze the needs and problems of the 「Environment」 subject in secondary school of the current 6th curriculum and to indicate the directions of improvement environmental education. The first step of this research was to review the related literature and to investigate the problems of present situation of the 「Environment」 subject and environmental education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number of secondary schools that selected 「environment」 subject and the teachers who have 「environment」 certification of a second-major has increased yearly but it shows much difference by regions. The second step was questionnaire surveys on 60 「Environment」 teachers in secondary school chosen in consideration of region from all over the country to investigate their opinions, needs and things that need improvement concerning teaching the 「environment」 subject management, the environment textbook and the environment teachers' guidebook. According to the survey, 65% of 「environment」 teachers are not certificated and 50% of 「environment」 teachers have no self-confidence of teaching environment, subject. And most of 「environment」 teachers thought it was difficult to select the modules out of environment textbook and 74% of 「environment」teachers responded positively to the idea of having 5 compulsory modules instead of choosing themselves and teachers had difficulties such as the lack of appropriate reference materials and instructive experience of their own instructive experience of active researches. 70% of those surveyed were not satisfied with the pictures, illustrations and graphs in the textbook. The third step of this research was the questionnaire survey on a students group(606) learning the 「environment」 subject and a students group(621) without the 「environment」 subject in secondary school to investigate their interests and preference for the subject and their knowledge and practice of the environment conservation. The group learning 「environment」 subject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those of the group without 「environment」 subject in most items. In respect of the environmental knowledge, the average score of the students group learning the subject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But in respect of the environment conservation practice, there is almost no difference of the result between the two groups. Both groups want field studies and watching the video tapes on environment conservation. And among the students having 「environment」 subject, the first year students achieved the highest score, and it revealed that the teaching was most effective to them. The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of 「environment」 subject education based on thes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uncertifiable teachers currently teaching 「environment」 subject should be given priority to the second-major certificate training program ; which are diverse in contents according to differences of majors and levels. Second, specific and practical re-training programs for the certificated teachers teaching the subject are needed. Third, considerable and continual adjustment of the textbook yearly is required in addition to regular curriculum amendment. Fourth, the more efficient and actual teaching · learning methods of「environment」 subject education that can attract students' interest must be developed Fifth, it is most desirable to have first year students select the subject rather than second, or third year students do.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환경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