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0 Download: 0

한국 민중교육론 정립을 위한 소고

Title
한국 민중교육론 정립을 위한 소고
Other Titles
(A) STUDY FOR THE ESTABLISHMENT OF MINJUNG EDUCATION THEORY
Authors
이미화
Issue Date
198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종교교육분야
Keywords
한국 민중교육론정립소고종교교육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논문은 민중신학적 입장에서 한국민중교육론을 정립해 보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한국민중교육론 형성의 사회경제적, 신학적, 교육적배경과 그 필요성 그리고 기존의 교육론을 비판적으로 검토·분석함으로써 그 정립을 시도해 보았다. 1960년대 이후 추진되어온 한국사회의 경제개발정책은 한국사회전반에 여러가지 급격한 변화를 초래케 하였다. 경제개발 과정에서 나타난 한국경제의 파행성은 '저임금-저곡가-이농-빈민화-저임금'의 악순환을 가져옴으로써, 기충민중들의 삶은 계속적인 소외와 가난의 연속이었다. 이것은 1970년 노동자 전태일분신사건, 광주대단지 빈민사건 등으로 폭발적으로 표출되었다. 이와 함께 정치권력의 집중으로 독재권력체제가 성립되고, 그 폭력적 민중수탈과 억압으로 한국 사회전반은 격동의 시기를 맞게 된다. 독재권력의 횡포로 그 피해층이 점차 늘어갔으며, 이들은 반독재 민주화운동으로 하나가 되고, 독재권력에 대항하여 싸워나가는 과정속에서 한국사회의 변혁의 주체로서 '민중'을 발견하게 되었다. 특히 한국기독교는 민중선교 (산업선교, 특수선교)를 통해 기층민중의 삶의 현장에서 함께 경험하고 고통받는 과정속에서 '민중신학' 의 태동을 보게 되었던 것이다. 이와 함께 한국사회에서는 '민중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전개되었으며, 지금도 계속적인 모색과정에 있다. 1980년대 이후 한국사회 변동속에서 민중신학 역시 이론적 모색을 계속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모든 기독교 교육론은 정리된 신학 위에서 정립되는 것이므로, 민중신학에 근거한 한국민중교육론의 정립에 우선하여 민중신학의 체계와 내용의 심화는 중요한 과제가 아닐 수없다. 이러한 민중신학의 과제와 함께 한국민중교육론은 '70년대 민중선교의 경험속에서 그 역할과 위치를 부여받게 되었으며, 현재 고양되고 있는 한국사회의 변혁운동으로서 민중운동의 각 현장에서 그 필요성이 절실하게 요청되고 있다. 그러므로 한국민중운동의 신학적·이념적 근거로서 그 본래적인 목적을 둔 민중신학에 근거한 한국민중교육론은 '이 땅의 민중의 주인됨' 을 지향하는 동일한 목적하에 전반적인 체계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서 지금까지 논의되어온 민중교육론의 고찰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게 되었다. 한국민중교육론은 한국민중운동과 동일한 목적을 지향함과 동시에 그 실천에 있어서 민중교육선교에 참여하는 기독자로서 신앙고백이 첨가되어 있는 기독교민중교육론이다. 그 체계와 내용을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었다. ① 한국민중교육론의 목적은 궁극적으로 하나님의 정의와 사랑이 실현되는 하나님 나라의 건설에 있으며, 그 나라의 주인인 민중의 참 주인됨을 위한 이 사회체제변혁을 추구한다. 이를 이루기 위하여 새로운 공동체 형성에 목적을 둔다. ② 한국민중교육론의 내용은 민중 자신의 삶의 경험속에서 얻어진 신앙의 고백을 통하여 스스로의 힘을 발견하고, 자신들의 문제현실을 해결해 나가는 데 필요한 초보적인 욕구에서부터, 문제해결을 위한 과학적 현실인식 및 비판의식과 행동참여에 이르는 과정에 단계적으로 필요한 모든 내용을 포함한다. ③ 민중교육의 교육과정은 민중의 삶, 전 과정이다. 또 민중의 자리에서 사회전반에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민중의 삶의 모든 소재와 방식이 방법적으로 응용되어야 한다. ④ 교육의 지도적 위치에 있는 '선각자' 의 역할을 규정함에 있어서 민중교육론은 민중이 민중 (후진 대중)스스로를 지도 교육한다. 그러므로 지식인이 교육 지원에 참여할 경우, 철저하게 민중속으로 녹아지고 해체되는 투철한 헌신성과 성실성을 요구하고 있다. 또 점차적으로 선진적 민중이 민중 스스로 (후진 대중)를 지도, 교육하는 모습은 민중교육이 지향하는 궁극적인 형태일 것이다. 그러나 여기서 교육의 주체로서 '하나님의 영' 이 고백되어야 한다. 민중속에서 활동하시는 하나님의 거대한 영을 확인함으로써, 민중에 대하여 무한한 신뢰를 가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⑤ 민중교육의 방법은 민중 스스로의 주체적인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면서, 이를 기초로 하여 (비판적)문제제기식 방법, 대화, 토론식 방법, 실천과 이론의 계속적인 프락시스 방법을 통해 이루어진다. ⑥ 민중교육의 결과에 대한 측정은 민중의 삶이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가, 개인의 의식적 변화뿐만 아니라, 집단적으로는 이 땅의 민중운동이 얼마나 고양되었는가에서 나타날 것이다. 또한 민중이 그속에서 얼마나 주체적으로 참여하고 있는가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가능할 것이다. 여기서 민중운동과 민중교육론의 유기적 관련성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역사적 ·실천적 요구속에서 민중교육의 전문화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This study aims to establish Korea Minjung Education Theory from the Minjung Theological point of view. By critically reviewing and analysis the Korean Social economic, theological , educational background, inevitable necessity of Korea Minjung Education and existing Korea Minjung Educational Theories made clear the themes for the establishment of Korea Minjung Educational Theory.. The economic development polices pursued from the sixties onward brought about drastic changes across the board society . In this process , due to the irradicality in Korean economy, lower class masses were alienated continuous by the vicious cycle of low wager-'lower prices for grains -farm learning - expanded poverty class mass - lower wages.' The discontentment and resistance of the masses (Minjung) were heightened by incidents such as self-incendiary of Jun Tae-il and uprise of the urban - poor in Kwang ju in 1970. Compled with such movements, the establishment of dictatorship by the centrali-ation of political powers pushed the whole of Korean society into an era of turmoil. As the oppressiveness of power becomes more imminent, more and more sectors of the society suffered damages. These factions met under the democratic anti-dictorship movement and discovered "Minjung" as the entity of social chaarges in Korea through experience . Christianity in Korea in especially notable in it togetherness with the lower- class masses through Minjung missions and sufferings . Minjung Theology was thusly borne and saw the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Korea Minjung education theory in the actual practice aspects. There of the , discussions and debates on Minjung were actively pursued in Korea society in general . However, they are still in disarray with little development made since 1980. Minjung Theology is no exception. It is still in the theoretical exploration stage . As all Christian Education theories are based on ordery organized theology, to systematize and enrich the contents of Minjung Theology prior to establishing Korea Minjung Education Theory based on Minjung theology can not be a task of little importance. Along with such task , Korea Minjung Education Theory gained it role and position within the expencences of Minjung Missions in the seveaties and is needed very much at every Minjung Movement gaining in position activity which is rapidly as the movement for change of Korean society. Therefore, Korea Minjung Education Theory based on Minjung Theology which in turn has originally aimed to provide theological and ideological support for Korea Minjung Movement should have an overall system under the same goal of pursuing the idea that "the master of this land is Minjung." Based on the foregone argument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obtained . Korea Minjung Education Theory has the same goals and objecties as Korea Minjung Movement. At the same time , in it practice . It is a Christian Minjung education theory which includes Christians confession of faith as aparticipant of Minjung education mission. The system and it s contents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goal of Korea Minjung Education Theory ultimately lies in the building of KingdomofGod where His justice and love prevail . And to seek social charges to let Minjung. The masters of this land become the real true master. Toward this end, formation of new community is sought as a goal. 2 . The content so f Korea Minjung Education Theory encompasses all that is necessary from discovering power through the confession of faith acquired from self-life experiences of Minjung and necessary elementary needs to solve their own on had problems to scientific recognition of situation , concious critique and activity participationstages. 3 . Curriculum for Minjung Education is the whole of Minjung's life process. All of Minjung's life elements, materials and patterns are to be applied in order to let them comprehend the knowledges of society in general from the Minjung's perspectives. 4 . In perscribing the role of "The enlightened", Minjung Education tend to refrain from the conventional top-down cramming ways and when intellectuals participate in educational supports they are demanded of absolute self-scrifice and sincerity to melt into Minjung completely. Also, gradually , the front running Minjung group leading and educating Minjung (follower group) will be the ultimate form that Minjung Education is airming for. Here, Minjung education theory makes clear that the neucleus of edcation is the Spirit of God. By confirming the grand Spirit of G in activity amongs Minjung, one develops complete and total trust for Minjung. 5 . Methods of Minjung Education are critical problem raising , dialogue and discussion and praxis of practice and theory methods founded on the induced participation of Minjung on its own accords. 6. Measurement on the results of Minjung Education can be made by inspecting or detesting how the life of Minjung has changed not only the conciousness change of individuals but also as groups on how much did Minjung movement of this land has exhanced. It can also be made by detecting how self-propelled and self- aware is Minjung in its paticipations. In the above, one can readily identify the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Minjung Movement and Minjung Education. And these historical and practical demands reveal the urgent needs to professionalize Minjung Edu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종교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