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4 Download: 0

부모의 언어통제 유형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 및 친사회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Title
부모의 언어통제 유형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 및 친사회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LATION OF THE PARENTS' VERAL CONTROL MODES TO CHILDREN'S SOCIALL COMPETENCE AND PROSOCIAL THINKING
Authors
도혜숙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Keywords
부모언어통제사회적 능력친사회적사고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lucid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verbal modes and chidren's social competence and prosocial thinking. For this study, following questions have been selected: 1. How is the verbal control modes of father and mother? (1-1) How is the verbal control modes of parents and is there any difference in parents' verbal control modes according to the sex of parents? (1-2) Is there any difference in parents' verbal control modes according to the sex of children? 2. How is the social competence of children according to the verbal control modes of parents? (2-1) Is there any difference i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ccording to the verbal control modes of parents? (2-2) Is there any difference i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ccording to the verbal control modes of fathers? (2-3) Is there any difference i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ccording to the verbal control modes of mothers? 3. How is the prosocial thinking of children according to the verbal control modes of parents? (3-1) Is there any difference in children's prosocial thinking according to the verbal control modes of parents? (3-2) Is there any difference in children's prosocial thinking according to the verbal control modes of fathers? (3-3) Is there any difference in children's prosocial thinking according to the verbal control modes of mothers? 4. Is children's social competency and prosocial thinking influenced by the degree of congruence in verbal control modes between father and mothe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4 children of 4 and 5 year-old and their 268 parents of 4 kindergarten in Seoul and Kyeongki-do. As the research instruments, 「The questionnaire for measuring parents' verbal control modes」 「The questionnaire for measuring children's social competency」 「The test of the prosocial thinking of children」were used. Chi-square test, one-way Anova, and Duncan test were employ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Parents control their children mostly by position-oriented mode and least by imperative mode.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fathers' verbal control mode ad mothers' verbal control mode. Fathers' verbal control mode showed less person-oriented control than mothers' verbal control mode, and fathers' control mode for boys differed significantly from the one for girls. Fathers' control mode for boys showed more imperative mode than for girls, and fathers' control mode for girls showed more person-oriented and position-oriented mode than for boys. 2. The social competency of children made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verbal control modes of parents. Is was discovered that social competency of children was higher when their father used person-oriented mode than when used position-oriented mode and when used position-oriented mode than when used imperative mode. The social competency of children was higher when their mother used the person-oriented mode than when used imperative mode. But the social competency of boys made no difference according to the verbal control mode of mothers. 3. The prosocial thinking of children made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verbal control mode of parents. It was discoverd that prosocial thinking of children was higher when their parents used the person-oriented mode and position-oriented mode than when used imperative mode. 4. The negative impact of fathers' imperative mode in combination with the mothers' person-oriented mode on their children's social competency and prosocial thinking was greater than other combinations of fathers' and mothers' verbal control mode.;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언어통제유형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 및 친사회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보고자 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부모의 언어통제 유형은 각각 어떠한가? 1-1. 부모의 언어통제 유형은 어떠한가 ? 1-2. 부모의 언어통제 유형은 자녀의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가? 2. 부모의 언어통제 유형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능력은 어떠한가? 2-1. 부모의 언어통제유형에 따라 유아의 사회적 능력은 차이가 있는가? 2-2. 아버지의 언어통제 유형에 따라 유아의 사회적 능력이 차이가 있는가? 2-3. 어머니의 언어통제 유형에 따라 유아의 사회적 능력이 차이가 있는가? 3. 부모의 언어통제 유형에 따라 유아의 친사회적 사고는 어떠한가? 3-1. 부모의 언어통제유형에 따라 유아의 친사회적 사고는 차이가 있는가? 3-2. 아버지의 언어통제 유형에 따라 유아의 친사회적 사고는 차이가 있는가? 3-3. 어머니의 언어통제 유형에 따라 유아의 친사회적 사고는 차이가 있는가? 4. 아버지와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의 일치 여부는 유아의 사회적 능력 및 친사회적 사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경기 지역에 위치한 유치원 4곳의 만 4,5세 유아 134명과 그들의 부모 268명 이였다. 연구 도구로는 부모의 언어통제유형 측정을 위한 질문지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 측정을 위한 교사 평정용 질문지, 그리고 유아의 친사회적 사고 검사가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 분석을 위해 평균, 빈도, 백분율을 구하고 x^(2) 검증과, 변량분석, Duncan 검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아버지와 어머니는 모두 지위적 언어통제유형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그 다음으로 인성적 언어통제유형을 사용하며, 그리고 명령적 언어통제유형을 가장 적게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아버지의 경우 어머니에 비해 명령적, 지위적 언어통제유형을 더 많이 사용하며, 어머니는 아버지보다 인성적 언어통제유형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버지의 언어통제유형은 유아의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였는데, 남아에게는 여아에게 보다 명령적 통제와 지위적 통제를 더 많이 사용하였으며, 여아에게는 남아보다 인성적 언어통제유형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부모의 언어통제유형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능력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아버지의 경우 인성적 언어통제유형을 사용할 때 유아의 사회적 능력이 가장 높았으며, 명령적 통제를 사용할 때 보다는 지위적 통제를 사용할 때 사회적 능력이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의 경우 어머니가 인성적, 지위적 언어통제유형을 사용할 때 명령적 유형을 사용할 때 보다 유아의 사회적 능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남아의 사회적 능력은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에 따라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부모의 언어통제유형에 따른 유아의 친사회적 사고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아버지, 어머니 모두 유아들에게 명령적 언어통제유형을 사용할때 보다는 인성적, 지위적 언어통제유형을 사용할 때 친사회적 사고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부모의 언어통제유형의 일치 정도에 따른 차이는 아버지가 명령적 언어통제유형을 사용하고 어머니가 인성적 언어통제유형을 사용하는 그룹이 다른 모든 그룹들 보다 가장 낮은 점수를 보여, 부모의 대립적인 통제유형 사용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 및 친사회적 사고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