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전선주-
dc.creator전선주-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13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13Z-
dc.date.issued1991-
dc.identifier.otherOAK-00000002311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95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118-
dc.description.abstract1980년대에 와서 외국어 습득에서의 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강조함에 따라 학습자들의 보편적 화용원칙들을 중심으로 한 화용적 담화지식에 대한 연구도 점차 활발해 지고 있다. 특히 J.R. Searle의 간접화행론을 토대로 하여 G. Leech는 발화가 간접적일수록 더 공손하다는 공손격률을 주장하기도 했다. 또한 공손표현도 사회적, 문화적 배경에 따라 다양하다는 것도 많은 학자들에 의해 제기되었다. 이 중에 Juliane House and Gabriele Kasper는 공손말씨가 필연적으로 사용되는 요청과, 불만에서의 간접화행 전략을 통해 공손표현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J. House and G. Kasper의 연구를 토대로, 영어를 모국어로 하는 원어인들을 기준으로 하여 한국인 영어학습자들의 영어 공손표현에 대한 습득정도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 실험을 위해 E여자 대학교 영어전공 1학년생과 부전공 3학년생으로 구성된 한국인 학습자 집단 90명과 Michigan대학교 학생으로 구성된 원어민 집단 10명을 선정하여 총 100명을 실험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에게 요청과 불만을 유도하는 20문항의 상장들이 묘사된 설문지를 제시하여 구어체로 응답을 쓰게 하였다. 이들의 자료를 화행실험연구 분석방법인 Cross - Cultural Speech Act Realization Project(CCSARP)를 통해 분석하였다. 대상자들의 화행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불만화행 전략은 두 집단 모두 비교적 직접적인 단계(제 6단계)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나 두 집단이 선택한 전략 단계는 상장에 따라 서로 달랐다. 2. 요청화행 전략은 두 집단 모두 관례적인 간접단계(conventional indirect level)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나, 한국인 학습자들이 원어인들 보다 부탁을 구하는 요청화행에서 직적 단계를 더 많이 사용하였다. 3. 요청과 불만화행 전략에서 한국인 학습자들은 모국어의 가치체계와 사회적 변수에 따른 민감도에 영향을 받아 화용상의 간섭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원어민들이 실용주의적, 이성적 가치관과 사회적 친밀도에 민감한 반면 한국인 학습자들은 감정적 가치관과 사회적 집단성에 민감하였다. 4. 두 집단 모두 공손말씨의 사용빈도는 거의 비슷하였으나, 그 종류의 선택에서 다른 차이를 보였다 한국인 학습자들은 원어인들에 비해 발화력의 정도를 완화시키는 역할을하는 공손말씨들인 downgraders중에서는 Please를, 발화력을 중대시키는 역할을 하는 공손말씨들인 upgraders 중에서는 aggressive interrogative를 각각 과잉사용하여 화용상의 오류를 범하였다. 결국, 이 실험은 한국의 영어교육 현장에서 교사들이 학생들에게 영어 사용 국민의 문화적 가치체계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시킴과 아울러 간접성과 공손 말씨의 적절한 사용을 통한 공손표현의 다양성등을 교수방법에 적용시킬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The notion of communicative competence in second language education has called for the research of the learner's pragmatic knowledge since the late 1970s. This paper attempts to reveal the differences of politeness expressions in English between Korean students and native speakers, on the basis of Juliane House and Gabriele Kasper's precedent-making study illustrating the indirect strategies and the modality markers in complaint and request speech acts. In addition, social variables and cultural value systems are considered for this study. for the investigation, questionaires including a total of twenty described situations were presented to ninety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ten native English speakers. The data elicited from their written responses was analyzed by the Cross-Cultural Speech Act Realization Project (CCSARP) method. The data yielded the following results: 1. In the case of complaint, Level 6, belonging to relatively direct locution. is the most frequently selected level in both groups. However,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directness level within the same situation. 2. In the case of request, both groups most frequently selected the conventional indirect levels. However, Korean learners selected direct levels more frequently than natives did, especially in the case of favor requests. 3. Both groups selected different directness levels in the same situation affected by the different sensitivity of their own cultural value systems and social variables. In other words, a Korean learner's pragmatic interference may be a reflection of his specific cultural background. 4. Both groups selected a similiar number of frequencies in the use of modality markers. However, the two groups selected different kind of frequencies in the use of them. In other words, Korean learners' pragmatic errors are mainly caused by the over-generalization of "please" among the downgraders which play down the impact the speaker's utterance is likely to have on the hearer, In addition, they overuse aggressive interrogatives among the upgraders which increase the force of the impact an utterance is likely to have on the hearer. It seems to be advisable for English teachers in Korea to explicitly point out to the learners that the variable modality markers are an integral part of the English cultural system, and should neither be used nor interpreted by reference to the Korean cultural system. More effective teaching of the politeness expressions in English may minimize native cultural interference and pragmatic errors in modality markers and thus prevent impolite, ineffective, or inappropriate speech acts on the part of the learners. This study was limited to complaints and requests in English, so further comprehensive studies of speech acts concerning apologies, thanks, and refusals are suggested to give an overall picture of Korean students' speech acts in English.-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3 A. 간접화행과 공손원칙의 관계 = 3 B. 공손표현의 언어적, 문화적 특수성 = 8 C. 간접화행의 전략 : J.House and G.Kasper의 연구 = 15 1. 불만 화행의 전략 = 16 2. 요청화행의 전략 = 17 3. 공손말씨 (Modality Markers) = 19 Ⅲ. 한국인 학습자의 공손표현의 실제 = 24 A. 실험대상 및 자료의 수집 = 24 B. 실험 결과 및 논의 = 26 1. 불만화행 전략 분석 = 26 2. 요청화행 전략 분석 = 32 3. 사회적 변수에 따른 분석 = 37 4. 공손말씨의 사용분석 = 42 Ⅳ. 결론 = 52 참고문헌 = 54 부록Ⅰ = 56 부록Ⅱ = 58 ABSTRACT = 6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6710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한국인-
dc.subject영어학습자-
dc.subject영어-
dc.subject공손표현-
dc.title한국인 영어학습자의 영어 공손표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요청과 불만의 간접화행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Study on English Politeness Expressions of Korean Students: Indirect Speech Act in Complaint and Request-
dc.format.pagevii, 6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어학교육전공영어교육분야-
dc.date.awarded1992.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