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1 Download: 0

걸음마기 유아의 어린이집 초기 적응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Title
걸음마기 유아의 어린이집 초기 적응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Other Titles
(A) Ethnographic Study on Early Adaptation of in Day Care Center
Authors
우현경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Keywords
걸음마기유아어린이집적응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1, 2세 영아가 어린이집에 입소하여 적응하는 과정을 문화기술적(ethnographic)연구방법을 통하여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시에 위치하는 비교적 규모가 큰 어린이집에서 1, 2세 영아들이 다니는 한 학급을 선정하였다. 연구 대상은 신입원아 11명과 재원아 10명, 신입원아의 보호자 및 3명의 탁아 교사였다. 1997년 2월 28일부터 1997년 7월 7일 동안에 총 29회 참여 관찰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놀이실 상황을 녹음하였고, 현장 약기(field jottings)와 녹음된 내용을 바탕으로 현장기록(field-records)을 작성하였다. 또한, 주 1-3회의 교사들을 면접하여 전사본을 만들었다. 반 운영에 관련된 문헌 수집은 관찰이 진행되는 동안 이루어졌다. 수집된 사례는 Bogdan과 Biklen(1992)이 제시한 대로 부호화하고 범주화한 뒤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신입원아가 보호자와 함께 놀이실에 머무는 초기 적응 기간 동안 신입원아와 재원아의 행동 특성에는 차이가 있었다. 신입원아는 보호자를 안전 기지(secure base)로 삼아 놀이실 내에서 자신의 영역을 넓혀갔으며 규칙과 일과를 예측하지 못하였고, 관찰, 모방, 탐색 행동을 보였다. 재원아는 일과와 규칙에 적응된 행동, 놀이에 몰입된 행동, 신입원아를 모방하거나 경계하는 행동, 도움행동을 보였다. 둘째, 초기 적응 과정에서 보호자의 역할과 교사의 역할을 비교해 보았을 때, 보호자는 영아에게 정서적 기반을 제공하던 자신의 영향력을 줄여갔으며, 교사는 영아와 새로운 관계를 발전시켜갔다. 즉, 보호자는 안전 기지의 역할, 기본적인 도움제공, 역할 줄이기의 행동을 보였고, 기관의 프로그램에 대한 이해를 높여갔다. 교사는 신입 원아와의 관계 형성을 위해 적응시간을 순차적으로 늘이기,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기, 영아의 요구에 민감히 반응하기, 놀잇감과 놀이를 통한 간접적 접촉 시도의 책략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영아는 양육적인 교사의 도움행동에 의존하여 교사와 새로운 애착 관계를 형성하였다. 교사와 보호자와의 협력적 관계 형성은 영아의 적응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했다. 셋째, 또래 및 교사와의 놀이는 영아의 적응에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하였다. 영아는 놀이를 통해 자신의 정서를 표현하고 불안한 감정을 해소하였으며 교사 및 또래와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였다. 안정되게 적응한 영아는 놀이에서 주된 역할을 맡아 참여했으며, 놀잇감의 위치와 놀이 방법을 인식하여 몰입된 놀이행동을 보였다. 넷째, 영아의 적응 과정에서 교사는 일관되고 구체적인 규칙을 제시하여 한계 설정하기, 영아의 관심을 전환하여 분쟁을 사전에 예방하기, 놀이를 통한 간접적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하기, 직접적인 규칙 제시와 행동의 본을 보이기, 대안 제시하기, 인과 관계 알게하기, 친구의 입장 이해시키기등의 훈육 방법과 일과 적응에 관한 순차적 훈육을 사용하였다.;The purpose of this ethnographic study is to explore the behavior of infants and toddlers and the role of adults during the early adaptation period in day care center. The subject were one, two-year-olds infant class. That were 11 new students, 10 reentered students, new student's conservator and three caregivers. In this study, cases were gathered through particifant observation between February 28 and July 7. Minute field-notes were made out field- jottings and recording. Interview and gathering the literature were performed continuously in this time. The cases were analyzed after coding and categorization by Bogdan & Biklen(1992)'s methodology. The results were as followed. 1. There were difference between new students'behavior and reentered students'behavior. New students showed behaviors of observation, modeling, exploration and depending on their conservator. Reentered students acted adaptable behavior. 2. Conservator reduced the role of secure base gradually. Caregivers made up friendly close relationship with new students. New students made secure attachment to caregivers who showed caregiving behaviors and positive social-emotional inputs. 3. Free-play with peers and caregivers effected positively new students's adaptation. 4. During the early adaptation period, caregivers used some discipline strategies that was consistent and clear rules, to refocus a infant's concern, solving the trouble indirectly with play, reminding about rules, modeling good behavior, offering acceptable alternatives, telling the connection between doing and effec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