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7 Download: 0

회화를 motiv로 한 실내디자인 적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Title
회화를 motiv로 한 실내디자인 적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Authors
신혜진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실내디자인전공
Keywords
회화motiv실내디자인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예술은 시대의 반영이며, 미술이든 디자인이든 어떠한 형태로도 인간에게 유익한 가치와 긍정적인 자극을 제공해야 한다. 21세기로 향하는 이 시점에서 우리는 새로운 패러다임과 예술전반의 시대개념을 올바로 인식하여 우리에게 인간소외의 이원론이 아닌, 합일정신의 자연친화적인 삶을 위해 예술을 이해하고 연구해야 한다. 예술의 기능은 그 가치가 다양하고 풍부하다. 20세기에 이루어 졌던 인간소외, 물질중심 경향은 21세기로 향하는 오늘날에는 다양성 변화, 차별성에 가치를 두는 경향으로 지향하고 있다. 그래서 다가오는 시대에는 자연친화적인 인공의 미가 아닌 예술문화가 풍부한 제2의 자연미로 우리의 정신적 휴식처를 제공하여야 한다. 사람들간의 막힌 커뮤니케이션을 뚫고 건전한 삶을 유도하고 그 기대효과를 누리기 위해선 예술과의 접목이 필요하다. 이때의 공산은 차별화되고 특성화된 인간과 친화적인 장(場)의 공간으로 새롭게 변화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속에서 공간의 예술적 접목과 실내환경 디자인의 미적 창출을 위한 방법은 새로운 접근방법을 요구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시대정신에 입각하여 공간을 디자인함에 있어 본인의 회화적 motif를 적용한 전시문화 공간인 미술관을 제시한다. 그리고 그 공간이 어떻게 차별화, 특성화, 그리고 인간친화적으로 되었는가를 평가하고 파악하는데 연구의 중점이 있다. 연구의 진행과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예술의 개념, 기능 그리고 예술이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기술하였다. 둘째, 현대예술을 20세기 이후부터 고찰하고 관념적인 사조와 표현적인 작품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셋째, 예술과 디자인의 상관성을 연구하였다. - 먼저 디자인의 개념과 그 기능성에 대해 고찰하고 디자인이 갖는 예술적 배경과 그 연관성에 대해 기술하였다. 또한 공간디자인이 갖는 기본조형요소의 변형과 공간적용을 알아보고 조형예술이 공간디자인에 나타난 실제적인 사례를 분석하였다. 넷째, 이를 토대로 본인의 작품을 공간디자인에 맞도록 적용시켰다. - 본인의 작품을 분석한 후, motif를 추출하고 다양하게 변형시켜 공간디자인 요소로 구체화시켜 보았다. 다섯째, 이상에서 살펴본 이론적 배경과 회화적 motif를 추출하여 공간디자인에 적용시키는 방법의 틀을 바탕으로 대상지를 설정하여 프로그래밍 단계와 디자인 단계로 나누어 디자인 대안을 제시하였다. 여섯째, 디자인 되어진 공간을 종합하여 검토함므로써 연구의 미비점을 보완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 공간을 디자인함에 있어 회화의 motif도입이 현대의 다양하고 복잡한 사회구조속에서 환경과 예술이 분리되지 않은 자연친화적인 장(場)으로서의 공간을 창출하는데 있어서 일익을 담당함을 알 수 있다. 회화적 motif가 적용전 실내공간이 인간의 정신적 가치를 고양하고 미적 체계 하의 공간구성에서의 일례를 제시할 수 있다는 것에 그 중요성이 있다.;Art is the reflection of the era, and either fine art or design should provide the beneficial value and the positive incentive to the human being in any form. And now toward the 21th century, we should properly understand the new paradigm and the concept of the times in the general field of the art. Futhermore art should be understood and studied not by the dualism of human-alienation but by the nature-friendly unification theory. The function of art has various and sufficient values. The inclination of human-alienation and materialism done in the 20th century has been transferred to the one which has a preference for diversity, variation and distinction in this times toward the 21th century. So in the near future, our mental resort should be furnished not by the artificial beauty but by the 2nd natural beauty full of art-culture. The grafting environment on art is necessesary to make communications inefficient efficient and to induce sound life. At this time the space is renewed to the space of the distinctive, specialized and human-friendly field. In this situation, new approach-method is required to graft space on art and to make interior-environmental design aesthetic. Therefore this study based on the spirit of the times presents the gallery, the exibition-culture space, which is applied by my pictorial motif. The point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and understand how the space is made distinctive, specialized and human-friendly. The process and method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the function and the effect on human-being of art was described. Second, modern art was examined and studied, being devided the ideal trend of thought and expressive works after the 20th century. Third, I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design. At first, the concept and function of design was investigated, and the artistic background and relationship melted in design was described. Furthermore the transformation and application of the basic plastic elements was studied, and the practical examples of plastic arts shown in spatial design were analized. Fourth, on the basis of above study, I applied my work to spatial design. I extracted the motif after analizing my work, and gave shape to this motif as elements of apatial design by transforming it variously. Fifth, on the basis of the theoretical background stated above and the method of extracting and applying the pictorial motif as a visual language to spatial design, I chose the object place and offered altanative design by deviding programming stage and design stage. Sixth, I complemented the defects of study by synthesizing and investigating the designed space. By the result of the study, we can find that to apply the pictorial motif to designing space acts a part in creating the space as a nature-friendly field where art is not seperated from environment in the modem, various and complex social-structure. It has a significance that interior space where the pictorial motif is applied could enhance human mental value and offer a example of space formation in aesthetic struc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실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