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4 Download: 0

環境 敎育에 관한 硏究

Title
環境 敎育에 관한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f The Environmental In The Social Studies
Authors
金廷恩
Issue Date
199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사회과교육전공일반사회교육분야
Keywords
환경교육사회교육초등학생중학생사회과 교육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학교 교육의 중요한 기능 중의 하나가 환경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는 민주 시민을 길러 내는 것이라 할 때,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환경 교육 영역이 체계화 된다면 장기적으로 생활의 질 향상에 큰 공헌을 할 수 있다. 本 硏究는 오염되어 가는 환경을 개선하여 환경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초·중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다뤄지는 환경 교육의 실태를 조사하여 앞으로 환경교육 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 데 있다. 중학교 사회과 교육과정 중 환경에 관련된 내용 분석과 학생들에 대한 질문지 응답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환경 교육의 체계가 이룩된 다음 사회 교과로 분산된 것이 아니라 사회교과의 체계대로 환경 내용이 다뤄지고 있어 내용이 중복되거나 관계없는 내용으로 敎授되고 있다. 2. 환경 교육 영역 중에서 많이 다뤄진 영역은 자원 환경, 인공 환경, 산업화와 도시화, 자원 영역인데 이들 영역들은 초·중학교 거의 모든 학년에서 다뤄지고 있다. 반면 환경오염, 환경보전, 환경정화, 환경의 질 향상에 관한 내용은 매우 빈약하게 나타나고 있다. 3. 환경에 대한 중학생들의 이해도는 전반적으로 상당히 높은 편이다. 학생들은 주로 대중 매체를 통해서 환경 문제에 접하게 되고 그 심각함을 인식하고 있으나 환경 문제에 대한 정확한 지식은 갖고 있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4. 학생들은 환경을 보호하고 개선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갖고 있으나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행동은 실천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회과 교육에서 환경 교육의 실효를 거두기 위해서는 1. 사회과 교과서에 반영되는 환경 교육 내용을 재조직해야 한다. 2. 환경파괴로 인한 實例를 과감하게 취급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접근방법도 함께 제시하여 학생들의 관심을 높여야 한다. 3. 환경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환경을 보호하고 개선하는 방법에 관한 실질적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4. 학생들이 환경 교육 목표에 도달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구체적인 평가 방법이 모색되어야 한다.;One of the important functions in formal education is to teach the students how they should contribute to improve the environment. If the field of environmental education is systematized in the social studies, which will contribute to make the quality of life higher in the long ru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blem of the environment-education in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order to improve the contaminated environment. This study analyzed the new textbooks(the social studies) so as to investigate the content of environmental education, and examined the responses in each content by using a questionnaire with 320 students of the 3rd year in the middle school. The results may be summarized; 1. Because the environmental education that wasn't systematized links on the society subject, the contents of the text-books are overlapped and are taught with no correlation . 2. It is true that the environmental education contents in the social studies text of primary and middle school are treated very profoundly except the second year in the middle school. And most parts of them consist of nature and human environment, which are almost dealt in the primary and middle school text. On the contrary, the rests are deficient. The analysis-results of questionnaire from the students are as follows; 1. The students know the environment problems are very serious, but they are short of what pollutes the environment. 2. Most students have gained the knowledge of environment problem through mass communication system like TV, radio, newspaper and so on. Therefore we need to systematize the content of environment education. 3 . The students are concerned about how to protect and improve the environment, but they don't show the real action to protect the environment. The proposal for the improvement 1. The environment education in the society subject text-books is to be reorganized. 2. The actual example of environment destruction is to be dealed, and a way of the solution is to be showed. 3. How to protect and improve the environment is to be taugh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