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송미희정-
dc.creator송미희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00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00Z-
dc.date.issued1996-
dc.identifier.otherOAK-00000002250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81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2506-
dc.description.abstractIn the last few years educational researchers have become increasingly aware of the need to examine interaction among students to understand the impact of cooperative small groups on learning.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grouping pattern in a cooperative learning environment on the mathematics achievement of two high school geometry classes. From the theoretical argument, I propose a series of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 First,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ing achivement between the cooperative learning group and the traditional learning group? Second, In higher parts of the cognitive domain test,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ing achivement between the cooperative learning group and the traditional learning group? Third, In lower parts of the cognitive domain test,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ing achivement between the cooperative learning group and the traditional learning group? The subject for this study consisted of four 1st grade geometry classed from high school. Each class was assigned to cooperative learning method or traditional learning method, cooperative learning method group received the cooperative learning strategy STAD (Student Teams Achivement Divisions) For a eight-weeks period, two groups studied the same content from mathematics textbook and conference. The t-test and Z-test were applied to pretests and posttest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m is a little difference in learning achievement between the cooperative learning group and the traditional learning group. 2.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in higher parts of the cognitive domain achievement between the cooperative learning group and the traditional learning group. 3. There is a little difference in lower parts of the cognitive domain achievements between the cooperative learning group and the traditional leaning group. Therefore, the conclusions through the results above are as follows; There is a little difference in learning achievement between the cooperative learning group and the traditional learning group, but in high-level achievement, Cooperative learning method is more effective.;본 연구는 소집단 협동학습 방법이 고등학교 수학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이론적배경으로는 여러 가지 수업모형과 학습집단에 대해 살펴본 후 Slavin의 견해를 토대로 협동학습의 개념, 모형과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협동학습과 전통적 학습간에 학업성취도의 차이가 있는가? 둘째, 협동학습 모형을 이용한 수업은 상위인지와 하위인지 중 어느 영역에 더욱 효과적인가?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고등학교 1학년 4개 학급을 대상으로 협동 학습 모형을 이용하는 실험집단과 전통적인 학습방법을 이용하는 통계집단으로 분류하여 8주 동안 실험하였다. 이에 적용된 모형은 Slavin의 STAD(Student Teams-Achievement Divisions) 모형을 현실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두 집단의 동질성은 사전검사와 지능지수를 t-테스트로 검증하였으며 상위인지와 하위인지의 성취도 평가의 사후테스트는 t검증과 Z검증을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하여 수업을 실시한 집단과 전통적인 방법으로 수업을 실시한 집단은 학업성취도 면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었지만 유의수준 5%의 범위에서는 있다고 볼 수 없다. 둘째,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하여 수업을 실시한 집단과 전통적인 방법으로 수업을 실시한 집단은 하위인지를 묻는 문항테스트에서는 악간의 차이가 있었지만 유의수준 5%의 범위에서는 있다고 볼 수 없으나 사위인지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토대로 하여 본 연구의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하여 수업을 실시한 집단은 전통적인 방법으로 수업을 실시한 집단과 비교할 때, 학업성취도 면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적게 나타났지만 상위인지의 내용에서는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험이 이질집단이 아닌 여학생들로만 구성되고, 그 동안 경쟁중심으로 학습해 온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단기간 실시하여 진정한 협동학습이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제한점을 감안하고 협동학습 실시 후 학생들의 설문조사 결과를 종합해 보면, 협동학습이 학생들의 학습동기를 고취시키는 것과 수업분위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학생들이 수업에 적극적으로 임하게 되는 등 긍정적인 반응을 보여 앞으로 시도해 볼 수 있는 수업모형이라고 생각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3 C. 용어의 정의 = 3 D. 연구의 제한점 = 4 Ⅱ. 이론적 배경 = 6 A. 수업모형 = 6 1. 개념 분석 모형 = 6 2. 경험 수업 로형 = 7 3. 집단 탐구 모형 = 8 4. 정의적 사고 수업 모형 = 9 5. 역할놀이 수업 모형 = 9 B. 학습집단 = 10 1. 학습집단의 특성 = 10 2. 학습집단의 형성과정 = 11 3. 학습집단내의 문제 = 14 4. 분단조직 = 14 C. 협동학습 = 15 1. 협동학습의 개념 = 15 2. 협동학습의 구성요소 = 17 3. 협동학습의 모형 = 18 4. 협동학습의 효과 = 23 D. 선행연구의 고찰 = 29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31 A. 연구대상 = 31 B. 연구의 일반적 절차 = 31 1. 연구기간 : 1995. 10. 1 ~ 1996. 10. 31 = 31 2. 지도방법 = 32 C. 가설 = 32 D. 협동학습 모형의 선정 및 시행 = 33 1. 협동학습 모형 선정 = 33 2. 지도방법 및 실험절차 = 33 E. 수업을 진행하는 동안 관찰된 점 = 41 Ⅳ. 연구결과 = 42 A. 동질성검증 = 42 B. 실험결과 = 43 Ⅴ. 결론 및 제언 = 51 참고문헌 = 53 부록 1 사후검사지-하위인지 = 56 부록 2 설문지 = 61 부록 3 협동학습전략을 이용한 수업지도안 = 62 부록 4 통계자료 = 67 ABSTRACT = 7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96748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고등학교-
dc.subject기하단원-
dc.subject학업성취-
dc.subject협동학습-
dc.title고등학교 기하단원에서의 학업성취에 대한 협동학습 효과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 71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수학교육전공-
dc.date.awarded1997.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수학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