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61 Download: 0

보완 대체 의사소통(AAC)중재의 현장적용을 위한 초등지체장애학교 교사의 태도 및 욕구조사

Title
보완 대체 의사소통(AAC)중재의 현장적용을 위한 초등지체장애학교 교사의 태도 및 욕구조사
Other Titles
(A) Survey of Teacher's Attitudes and the Needs for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AAC) Intervention in Elementary Schools for the Physically Disabled
Authors
고성아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Keywords
보완 대체의사소통 중재현장적용초등지체장애학교교사AAC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우리나라 지체장애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의 장애정도는 중증화, 다양화되어가고 있으며, 이들이 지니는 말/언어장애는 보다 효율적인 의사소통 중재를 요구하고 있다. 이에 근래에는 기존의 언어치료에 대한 대안으로 보완대체 의사소통 체계(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 AAC System)가 제시되고 있다. 교사는 중재 프로그램을 실제로 현장에서 사용하고, 교육의 성과를 결정하는 일차적 요인이 되므로 새롭게 개발된 중재 프로그램이 현장에 적용될 수 있기 위해서는 그 프로그램이 교사들에게 수용 가능하고 전형적인 교실환경에서 이용 가능한 자료들을 사용하여 실행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하며, 교사의 프로그램에 대한 수용도와 지원요구를 알아보는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AAC 중재의 현장적용을 위하여 ACC 중재의 10가지 기본개념에 대한 교사의 태도를 앎의 정도, 동의 정도, 실행 정도 및 실현가능성(태도의 네 가지 종속변인)의 측면에서 ‘주로 담당했던 학년’, ‘중도의사소통 장애학생을 맡은 기간’, ‘ACC 사용경험의 유무’ 및 ‘ACC 교육받은 경험의 유무’(네 가지 교사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중재 방안을 현장에 적용시킬 때의 어려움과,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지원에 대한 교사의 욕구를 조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전국 11개 초등 지체장애학교 교사 101명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사전 연구와 이론을 토대로 개발한 태도 및 욕구조사 설문지를 사용한 사회조사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설문지의 회수율은 83.2% (84부)이었고 최종적으로 분석대상이 된 설문지는 71부 (70.3%)였으며 자료처리는 SA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태도조사는 다변인분산분석(MANOVA)을 하였고, 욕구조사는 빈도 및 백분위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네 가지 교사 변인에 따른 AAC 중재의 10가지 기본개념에 대한 태도의 차이 중 '부모-학교 동반자 관계'의 실행정도에서 교사변인 중 '중도의사소통 장애 학생을 맡은 기간'에 따라 5% 유의도 수준에서 유의한 차가 있었다. 즉, 중도 의사소통 장애 학생을 5년 이상 맡은 교사집단이 1년 이하 맡은 집단 보다 부모와의 관계를 잘 유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부모-학교 동반자 관계'에서 중도 의사소통장애 학생을 맡은 기간에 따른 실행정도의 평가를 제외한 영역별 차의 검증에서는 교사변인인 ‘주로 담당했던 학년’, ‘중도의사소통 장애학생을 맡은 기간’,‘AAC 사용경험의 유무’ 및 ‘AAC 교육받은 경험의 유무’에 따른 AAC의 기본개념에 대한 태도에는 차이가 없었다. AAC 중재의 10가지 기본개념에 대한 교사들 반응의 평균치를 검토해본 바에 의하면, 교사들은 ‘생활연령’ 부분에 대한 합의 정도를 가장 낮게 평정하였고 의사소통 기술을 습득하는데 필요한 기술들이 선수기술로 여겨져서는 안된다는 데에 대하여 낮게 동의하였으며 현재 ‘부모-학교 동반자 관계’를 제일 실행하지 못하고 있으며, 중고도 장애학생에게 의사소통 중재를 실시하는 것의 실현가능성을 낮게 평가하는 응답경향을 보였다. 전반적인 응답의 경향은 AAC의 10가지 기본개념에 대하여 알고 있고 동의하고 있으나 현재 현장에서 때때로 실행하고 있을 뿐이며 그 실현가능성에 대하여 "그저 그렇다"거나 약간 실현가능성이 있다고 보고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중도의사소통 장애학생에게 AAC 중재를 제공하는데 예상되는 어려움으로 교사들은 시간문제, 학생의 장애상태, 교사의 구체적인 지식부족, 교과진도 방해 및 다른 학생과의 형평성 문제 같은 것을 주로 지적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현장에서 AAC 중재방법을 사용할 수 있기 위해서 학교차원에서는 보조교사의 활용 및 학교행정가의 관심과 지원을, 연구소 및 대학기관 차원에서는 현장에 맞는 중재방법, 도구의 개발과 보급 및 현장성 있는 정보의 제공을 원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근본적 문제점인 학급당 인원수 및 교과과정의 조정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현재 우리나라 초등 지체장애학교 교사들은 AAC 중재에 대하여 어느 정도 알고 있고 동의하고 있으므로 초등 지체장애 학교 교육현장에 AAC 중재를 적용하기 위하여 일차적으로 연구기관 및 대학기관에서는 교사들과, 현재까지 이루어진 장애정도와 의사소통 및 학습문제에 대한 연구결과에 대한 폭넓은 의견교환을 하고 중재의 기본개념을 현장에 실현하는데 필요한 실제적인 기술들을 습득하는 방향으로 보수교육 및 연수내용을 준비하며, 현장에서 사용 가능한 도구 및 중재방법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또한 동시에 학교차원에서는 적극적인 자원봉사자의 활용, 교과과정 운영 및 전반적인 시간 운영에서 교사의 재량권 확보가 이루어져야 하리라고 본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how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for physically disabled students appraise AAC intervention with emphasis on the basic concepts and what is needed to support this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Also research was completed to determine what is needed from the Research Institute, Universities and elementary schools to implement this program. In this study the survey was sent to one hundred and one teachers in all of the eleven elementary schools for the physically disabled throughout Korea. Of the eighty-four responses, the final analysis subject rate was 70.3% (seventy-one individuals). For the attitude survey, the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MANOVA) was used and in the needs survey,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used to analyses the collected data. A summary of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urvey are as follows: 1. Among the ten AAC intervetion basic concepts, the level of implementation to the "parent-school partnership" showed significant differnece of the teacher prolonged experiance to the students with Severe Communication Disabilities (SCD) but the remainder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neces. 2. The teachers expressed the following difficulties in using AAC intervention in the classroom Some of them included the lack of time, the students' cognitive, physical disabilities and short attention span, interruption of the basic curriculum, distractions and the limit of time to the other students. Another difficulty stated was that the teacher had a limited knowledge of and skills to present AAC. Those who responded to the survey stated that in order to do AAC in the school they need volunteers to assist them and the support and concern from the school administrators was also an important factor.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should supply practical research in the areas of the intervention methods, device development and detailed information to all schools. Also the results of this survey show that student ratio per class should be lower and curriculum adjustment is necessary when working with students in AAC intervention. In conclusion it seems as thought the teachers are ready to implement AAC intervention in the classroom. Therefore in order to implement AAC intervention in the elementary schools for the physically disabled the research institutes and universities should prepare inservice training which would provide an exchage of information in order to help the teacher understand the disabilities of his/her students. This would also be useful in the field of practical intervention and the development of methods and devices. In the schools the administrators should encourage volunteers in the classroom and permit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and time allocation at the discretion of the individual teache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