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92 Download: 0

학교수준 교육과정 개발(SBCD)에 대한 정신지체 학교 교사들의 인식조사 연구

Title
학교수준 교육과정 개발(SBCD)에 대한 정신지체 학교 교사들의 인식조사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cognition Survey of Teacher at the Primary Grade Part of Special School of Metal Retard about the School-Based Curriculum Development(SBCD)
Authors
신영옥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Keywords
학교수준교육과정개발정신지체학교교사인식조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1989년에 개정된 특수학교 새 교육과정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각 학교의 실정, 지역의 특성. 학생 실태, 학부모 의견 등을 충분히 감안하여, 그 학교에 적합한 학교단위 교육과정(학교 수준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해당 감독청에 제출하여 승인을 얻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 정신지체 각 개별 학교에서는 학교의 교직원을 중심으로 그 학교 실정에 맞는 학교 단위 교육과정(학교 수준 교육과정)을 계획하고 편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989년 새 교육과정의 운영지침에 따라 각 개별학교에서 교육과정을 계획, 편성하는데 주요 역할을 한 교사들을 대상으로 초등부 정신지체 학교의 학교 수준 교육과정 개발실태를 파악하고, 학교 수준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해 봄으로써. 계속적으로 좀 더 바람직한 학교 수준 교육과정 개발을 가능케 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얻고자하는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는 초등부 교사 400명의 연구 대상 (단순 무선 표집) 중에 292명(국공립:130명. 사립: 162명)이 응답하였다. 학교 수준 교육과정 개발에 참여하여 실태에 응답한 교사는 159명 (국공립: 56명, 사립 : 103명)이었으며, 인식에 응답한 교사는 271명 (국공립:118명 사립:153명)이었다. 질문지 회수율은 73%이었다. 연구 도구로는 학교 수준 교육과정에 관한 이론과 선행 연구들을 참조하여 본 연구자가 직접 만든 설문지 (실태 25 문항, 인식 16 문항)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로 응답의 경향을 파악하였고 자유 기술형 문항은 반응이 유사한 유형끼리 분류하여 주요 견해를 파악하였다 우선 순위 문항은 순위에 비중을 정하기 위하여 순위의 비중×응답 수를 하였으며 `비중×자료수의 합 (Σ Ni)'으로 순위를 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교사들이 인식한 학교 수준 교육과정 개발 실태 1) 교사들이 참여한 학교 수준 교육과정 개발의 활동 유형은 구 교육과정을 수정ㆍ보완하고 선택하는 활동(50%), 새로운 교육과정을 만들고 구 교육과정 중에서 선택하는 혼합유형(31%), 새로운 교육과정을 만드는 창의적인 활동(19%)이었다고 응답하였다. 교사들의 참여범위는 부분적으로 교과목 영역에 참여(80%)하였으며, 지도자는 주임교사(50%이상)가 수행하였다. 참여 범위와 지도자에 관한 의사결정 형태는 협의 형태보다는 학교장의 지시나 업무분담의 형태(50%이상)이었다고 응답하였다. 교사들이 참여한 학교 수준 교육과정 개발 과정에서 지도자, 학교장, 감독관청의 역할에 대해서는 단순히 업무분담이나 진행계획, 개발된 내용이나 중요사항을 점검, 검토하는 역할(50%이상)이었다고 응답하였다. 2) 학교 수준 교육과정 개발에 학부모, 지역사회 인사, 전문가, 행정가 등의 외부인사 참여는 85%이상이 참여하지 않았다고 응답하였고 많은 외부인사들이 참여하지 못한 가장 큰 이유로는 학부모와 지역사회인의 경우는 학교의 적극적인 노력 부족, 참여를 계획할 시간 부족 등이었고, 전문가, 행정가의 경우는 감독관청의 지원부족 때문이었다고 응답하였다. 3) 학교 수준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교내 지원체제 조직으로는 전체적인 학교 교육과정 위원회(48%) 교과목 협의회(18%), 평가 협의회(8%)가 있었다고 응답하였다. 지원체제의 역할로 교사들에게 학교 수준 교육과정 개발에 대해 제공된 연수나 교육은 교육과정 개발의 필요성 및 당위성을 인식시켜 주었을 뿐 실제적인 도움이 되지 않았다고(80%) 응답하였다. 4) 개발된 교육과정 내용의 평가는 교내 인사들의 평가 협의회(55%), 해당 감독기관(19%)을 통해서 이루어졌다고 응답하였고, 평가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14%)는 응답도 있었다. 지역의 특수성은 관련 문헌을 통해 지역의 자연, 사회, 인물 환경 등을 파악하여 참고(59%)하였다고 응답하였고, 전혀 참고하지 않았다는 응답도 26%나 되었다. 학교 수준 교육과정 개발과정에서 가장 중점을 두었던 방향은 학생의 특성과 능력에 따른 개별화 교육계획 (LEP)이었으며 교사들이 교육과정을 개발함으로써 얻은 큰 잇점은 개별화 교육계획이 과거보다 용이해졌고, 학생들에게 필요한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으며, 교사들의 전문성 향상과 자기 만족감 등이었다고 응답하였다. 개발과정 중 가장 큰 어려움은 교사들의 전문적인 지식 및 경험 부족, 과중한 근무 부담과 시간 부족, 참고자료 부족 등이었다고 응답하였으며, 교육과정 개발 과정 중 가장 부족하고 미흡했던 부분은 개발된 교육과정 그 자체를 평가하는 부분이었다고 응답하였다. 2. 학교 수준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1) 학교 수준 교육과정 개발에 참여했던 교사들의 참여 동기는 단순히 행정적인 지시(47%), 정신지체 학교에서는 당연하므로(22%) 등의 응답이 있었고, 학교 수준 교육과정 개발에 대해서는 개념 정도 알고 있다(55%), 잘 알고 있다(37%), 잘 모르겠다(8%)고 응답하였다. 학교 수준 교육과정 개발은 정신지체학교에서 반드시 필요하다(64%), 필요하지만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32%)고 응답하였고, 참여의지에 대해서는 앞으로도 계속적으로 참여하기를 원한다(64%), 잘 모르겠다(23%), 원치 않는다(13%)고 응답하였다. 또한 지도자는 단순한 지시나 업무 분담 형태로 결정된 주임교사가 수행하기보다는 교사들의 협의 형태로 결정된 교사가 수행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2) 교사들이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개발의 활동 유형은 전문가나 연구기관에서 이미 만들어진 교육과정을 수정. 보완, 선택하는 활동과 혼합유형 활동(이미 만들어져 있는 교육과정 중에서 선택하는 것과 새로운 교육과정을 만드는 활동)이었다. 3) 참여형태에 대해서는 교내 인사, 전문가, 지역사회 인사, 행정가 등이 참여(59%) 해야 된다고 응답하였고, 학부모 참여는 학부모의 이해부족으로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응답 경향을 보였으며, 지역사회인으로는 일반학교 교장, 교사들, 지역의 주민들이 참여해야 된다고 응답하였다. 전문가에게는 교과목 개발과 관련된 전문적인 지식과 교육과정 개발의 절차 및 운영에 대한 도움을 받고 싶다는 응답경향을 보였다. 4) 학교장 역할에 대해서는 관련 행정기관, 지역사회 단체, 학부모 등의 대외적인 섭외 및 운영과 관련된 관리적인 역할을 요구했으며, 교사들이 갖추어야 할 요건으로 새로운 교육과정을 설계, 구성하는 기술, 기존의 교육과정을 평가하는 기술 등의 순으로 응답하였고, 필수 조건으로는 교사의 전문적인 자질, 교사의 업무 경감과 시간적 여유 등으로 응답하였다. 참여한 교사들이 참여과정에서 교사가 갖추어야 할 요건과 필수조건 중 가장 부족했던 점은 새로운 교육과정을 설계, 구성하는 기술과 교사의 전문적인 자질이었다고 응답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볼 때 교사들이 참여한 교육과정 개발은 학교 수준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준비와 전문적인 지원체제가 부족했음을 알 수 있다. 교육과정 개발의 주체자인 교사들의 전문적인 자질 부족 및 그에 따른 연수나 교육의 도움 정도가 매우 미약했으며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충분한 논의나 협의회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 단순히 행정적인 지시에 의한 교육과정 개발이었음을 시사해 주고 있고, 학교 수준 교육과정 개발에 대해서 부정적이거나 회의적인 태도와 의지를 보인 교사(40%) 들이 적지 않았다. 따라서 앞으로 계속적으로 학교 수준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교내외적인 충분한 준비와 교사들의 전문적인 자질을 향상시키고 학교 수준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바른 인식과 적극적인 의지를 심어 줄 수 있는 전문적인 지원체제가 갖추어져야 되겠다.;The goal of this study is to try to obtain the basic data to enable more cesirable school-based curriculum development continuously, by grasping the actual state of school-based curriculum development and examining and analyzing the recongnition of teachers with the opinion of teachers about the school-based curriculum development. Study subjects were 400 teachers at the primary grade part in the mental retard school, and this researcher analyzed the response of questionnaire of 292 persons with 73% of collection rate of response. As for the study instrument, this researcher used the questionnaire which this researcher made directly(25 question items of actual stare, 16 question items of recognition) by referring to the theory and study precedent. As for the collected data handling the response tendency was grasped with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in the question items of free description type main opinion was grasped by classifying by the types that the reaction is similar. And the question items of priority order were handied with the total of number of relative importance data of oder, so as to fix the relative impotance about order. The result obtained in this study is as follows: 1. Actual State of School-Based Curriculum Development(SBCD). 1) In the activity type, most teachers responded to the activity type to correct supplement and choose the old curriculum about the development of partial subject realm. 2) As for the participation range of teachers, the decision-making form to decide the leaders was the form of instruction or business apportionment. And, most teachers responded that the role of leaders, principals, and authorities supervising the affairs was the simple role to inspect and investigate the business apportionment or the progression plan the developed contents or the important fact. 3) The participation of outside people(parents of students, society personage, specialists, and administrators) was extremely minority within 20%. And, they responded that the reason that many people failed to participate was because of the positive effort lack of school and time lack. 4) Most teacher responded that there was the whole curriculum committee as the intramural support system. And, there were many responses that the research study or education supplied to teachers wasn't a practical help. 5) Most responded that the evaluation of developed curriculum contents was made through the evaluation of intramural people and that they referred to the relevant literature about the specialty of area But, there was the response that the achivement was not made at all. 6) They responded that the direction that they laid emphasis on mast was the individualization education, and that the most lacking part was to evaluate the curriculum itself. 7) They said that the big difficulty in the coruse of development was the lack of professional knowledge and experience of teachers, and that the big advantage was that the individualization education became easie than the past. 2. Recognition and Opinion of Teachers. 1) Most responded that the motive of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SBCD was based on the adminstrative instruction to follow the management guideline of new curriculum in 1989 simply. And about SBCD, they knew the concept or so. And most responded that SBCD must be made, as it must be necessaryt in the mental retard, and that they want to participate in the future. 2) Teachers responded that the activity type of development which they think proper was the activity of correct, supplement and choose the curriculum which was already being made, and that the diverse socity personages such as intramural people, parents of students, people of community specialists and administrators etc. must attend with the participation form. And about the role of principals, they demanded the role of administrative leader toward outside. 3) Most responded that the requirement that the teachers must have for the successful SBCD is the technique to design the new curriculum, and that the essential condition is the professional quality of teache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