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3 Download: 0

장애유아의 일반유치원 통합에 대한 장애유아 어머니와 비장애유아 어머니의 태도 비교연구

Title
장애유아의 일반유치원 통합에 대한 장애유아 어머니와 비장애유아 어머니의 태도 비교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mothers' attitude for the kindergarten mainstream of preschool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uthors
김미정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Keywords
장애유아일반유치원어머니비장애유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최근에 이르러 장애아동의 조기 특수교육에 대한관심이 사회적으로, 교육적으로 활발히 일어나고 있고, 이에 따른 장애아동의 통합교육에 대한 관심도 함께 대두되고 있다. 성공적인 통합을 위해서는 행정적 사회적 여건 조성과 협조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도 아동의 통합교육프로그램 참여를 결정하는 부모들의 이해와 배려가 우선적으로 전제되어야 한다. 즉, 아동발달과 교육활동에 있어서 부모역할은 중요할 뿐 아니라 장애아동들을 위한 서비스 결정에 가장 중요한 위치에 있기 때문에, 부모들의 통합에 대한 태도는 통합을 위한 중요한 변인이 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울 시내에 있는 특수아동 조기교육 기관 및 일반 유치원에 다니는 장애아동과 비 장애아동의 부모를 대상으로 통합에 대한 태도를 비교하고, 여러 변인에 따른 통합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여, 그 결과로부터 장애아동과 비 장애아동 모두에게 성공적인 통합 교육 실시를 위한 질 높은 통합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 시내에 있는 특수아동 조기교육 기관 및 일반 유치원에 다니는 만3세 이상의 장애아동과 비 장애아동의 어머니 149명을 대상으로 '통합에 대한 부모 태도 척도'( Green & Stoneman ,1989)를 사용하여 두 부모집단이 나타내는 통합에 대한 태도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처리는 장애아동 부모와 비 장애아동 부모의 통합에 대한 태도를 비교하기 위해 연구문제에 따라 t검증과 이원변량분석, 일원변량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통합교육 전반에서 두 집단 모두 약간의 부정적인 경향을 나타내고 있는데, 장애아동 부모집단이 비 장애아동 부모집단 보다 유의하게 더 부정적인 태도를 나타내고 있다. 2. 변인에 따른 두 부모집단의 태도를 비교한 결과를 보면, ‘아동연령’ ‘교육수준’ 변인과 부모집 단간에 유의 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고 있고, ‘부모 연령’ ‘총수입’ ‘통합 경험 기간’ 변인과 부모집단간에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각 변인에 따른 주효과도 나타나지 않았다. ‘부모가 인식하는 아동의 장애정도’ 변인에 따라서는 장애아동 부모집단의 태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통합경험’ 변인에서는 주 효과가 나타났는데 통합경험이 있는 집단이 통합경험이 없는 집단보다 더 부정적인 태도를 나타내고 있다. 하위영역별로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하위영역 ‘비 장애아동에 대한 영향’에서, 장애아동 부모가 비 장애아동 부모보다 통합에 대하여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고, 부모의 태도가 부모집단과 부모연령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2) 하위영역 ‘전체적인 태도’ ‘학업/교사 관심’ ‘장애아동에 대한 영향’에서, 장애아동 부모가 비 장애아동 부모보다 통합에 대하여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고, 부모의 태도가 부모집단과 아동연령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3) 하위영역 ‘행동문제’ ‘비 장애아동에 대한 영향’에서, 장애아동 부모가 비 장애아동 부모보다 통합에 대하여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고, 부모의 태도가 부모집단과 부모 교육수준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총수입과 부모집단간에는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고, 총수입에 따른 주효과도 나타나지 않았다. 즉, 가족의 총수입이 많고 적음이 통합에 대한 부모의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5) 통합경험과 부모집단간에는 통합경험에 따른 주 효과가 있었는데, 하위 영역중 ‘전체적인 태도’ ‘학업/교사 관심’ ‘장애아동에 대한영향’에서 통합경험이 있는 집단이 통합경험이 없는 집단보다 더 부정적이었다. 6) 통합경험 기간과 부모집단간에는, 모든 하위영역에서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고 통합경험 기간에 따른 주효과도 나타나지 않았다. 즉, 통합기간이 통합에 대한 부모의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7) 부모가 인식하는 아동의 장애정도에 따른 장애아동 부모집단의 태도에서는, 모든 하위영역에서 부모가 인식하는 아동의 장애정도가 부모의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장애아동의 일반유치원 통합에 대해 장애아동 부모와 비 장애아동 부모가 생각하는 잇점과 단점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잇점으로, 장애아동부모는 장애아동의 학습적인 면과 사회성의 향상, 그리고 정상적으로 살아갈 준비에 대한 기회 등을 지적하고 있고, 비 장애아동 부모는 비 장애아동이 장애아동에 대해 가지고 있는 편견과 거부반응이 없어져서 장애아동을 이해하고 배려하는 마음이 싹틀 것이고, 자신을 사랑하고 타인을 배려하는 마음을 가지게 될 것 등을 통합교육의 잇점으로 지적하였다. 단점으로, 장애아동 부모는 장애아동이 비 장애아동으로부터 받는 따돌림, 열등감, 소외감과 교사의 전문성 부족, 비 장애아동 부모들의 편견과 이해부족, 통합교육 프로그램의 문제 등을 지적하였고, 비 장애아동 부모는 장애아동으로 인한 프로그램의 수준저하, 통합 프로그램의 문제(교사문제 포함), 비 장애아동이 장애아동의 안좋은 행동을 모방할 것 등을 지적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이상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하여, 선행 연구 결과와 우리나라 장애아동의 일반유치원 통합교육 프로그램 실시에 따른 장애아동 부모와 비 장애아동 부모간 태도에 있어서의 유사점과 차이점들을 논의하였으며, 이에 따라 앞으로 통합교육 프로그램이 좀 더 발전적인 방향으로 계획, 운영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There are increasing concerns about mainstream of handicapped children as there are rising controversy regarding special education of handicapped children in preschool age. For successful mainstreaming, parental understanding is the most crucial factor as well as social and administrative role. Parents play critical part not only for children development and educational activities, but for social considerations to them, which suggests that parental role is the most important variables to successful mainstream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mfomations to develop mainstream program for successful mainstreaming of both handicapped and nonhandicapped children by comparing handicapped and nonhandicapped children parental attitudes in special preschool center or kindergarten. This study compares data surveyed from 149 of 3 years or order at special preschool center or kindergarten. The PATMS was used for survey. The data was analyzed by T-test, one-way ANOVA, two-way ANOVA.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Both group showed negative attitudes. Parents with nonhandicapped children showed less negative attitudes. 2. With regard to results of attitudes of both parents group by variables,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were found in both groups by variables such as 'children age' 'education level', whil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were not found by 'parent age' 'total income' 'periods of mainstream' and Main effects by each variables were not found.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found in parents' attitudes by the handicaping conditions of children, which there were main effects by 'experience of mainstreaming'; group with experiencds showed less negative attitudes. Findings obtained by sub-categorie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In sub-category 'impact on the nonhandicapped child', parents of handicapped children showed more negative attitudes toward mainstream than parents of nonhandicapped children, parents attitudes were shown to be effected by interactions between parents group and parent age. 2) In sub-category 'global attitudes' 'academic/teacher attention' ' impact on handicapped child', parents of handicapped children showed more negative attitudes toward mainstream than parents of nonhandicapped children, parents attitudes were shown to be effected by interactions between parents group and children age. 3) In sub-category 'behavioral problems' 'impact on handicapped child', parents of handicapped children showed more negative attitudes toward mainstream than parents of nonhandicapped children, parents attitudes were shown to be effected by interactions between parents group and education level. 4) Between total income and parents group, significant interaction effets were not found. Main effects by total income were also not found, which means level of income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parents' attitudes. 5) Between mainstream experience and parents group, significant interaction effets were not found in all sub-categories, while there were main effects by mainstream experience. Among sub-categories, group with no mainstream experience showed less negative attitude in categories 'global attitude' 'academic/teacher attention' 'impact on handicapped child'. 6) Neither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nor main effects by mainstream experience period were found by mainstream experience period and parents group, which means mainstream experience period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parents' attitudes to mainstream. 7) No significant effects were found by handicaping conditions of children. Results obtained from reviewing benefits and drawbacks of which parents of both groups think are as follows: For benefits, parents with handicapped children pointed out promoting independency on academic side and preparations for normal life for handicapped children. Parents with nonhandicapped children pointed out the fact that nonhandicapped children will learn thoughtful considerations to handicapped children in stead of prejudices and rejections against them. For drawbacks, parents with handicapped children pointed out the possible alienation and sense of inferiority. Parents with nonhandicapped children pointed out inadequate program including teacher training academically lowering on program, nonhandicapped children' copying of inadequate behavior of handicapped children. In conclusion, this study is to provide informations for better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mainstream by comparing previous surveys and attitudes of parents on mainstreaming in kindergarte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