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2 Download: 0

특수아동의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변인에 따른 일반교사의 태도 연구

Title
특수아동의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변인에 따른 일반교사의 태도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Regular Teachers' Attitude toward Mainstreaming according to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Authors
김현숙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Keywords
특수아동통합교육교사변인일반교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최근 우리 나라의 특수교육은 특수아동을 일반아동과 함께 최대한 적절하게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통합교육을 추구하고 있다. 성공적인 통합을 위해서는 행정적, 재정적, 교육과정적, 사회적 지원도 중요하지만, 교사와 아동의 상호작용에 지대한 영향을 주는 교사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이해와 협조가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초등학교에 통합된 특수아동의 원적학급 교사들의 통합에 대한 태도는 어떠하며 교사 변인에 따른 태도의 차이 유무를 살펴보고 변인들 중 통합에 대한 태도를 가장 잘 설명해 줄 수 있는 영향력이 있는 변인이 무엇인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특수교육을 전공한 특수교사가 배치된 서울 시내 공립 초등학교의 원적학급 교사 420명을 대상으로 '통합에 대한 태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처리는 t 검증, 일원 변량 분석, 상관 관계 분석, 중다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사후 검증을 위해 Scheffe' 방법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통합교육 전체에 대해 일반교사들은 비교적 중립적인 태도를 나타내었으며, 하위영역중 다른 영역에 비해 통합의 개념에서는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으나 학업적 기대 영역에서는 부정적인 태도를 나타냈다. 2. 교사 배경변인들은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의 태도에 영향을 주며 변인 중에서 특수아동 지도시 성공감 지각 변인이 통합에 대한 교사의 태도를 가장 많이 설명해 주는 영향력이 있는 변인으로 규명되었다. 3.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통합교육 전체에 대해 여교사들이 남교사들보다, 저학년 교사들이 고학년 교사들보다, 교직경력 10년에서 20년 미만인 교사들 혹은 20년에서 30년 미만인 교사들이 교직경력 10년 미만인 교사들보다, 그리고 특수아동 교육경력 1년에서 2년 미만의 교사들이 특수아동 교육경력 1년 미만의 교사들에 비해 약간 부정적인 태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특수교육 관련 연수경험이 없는 교사들이 자격연수나 자율연수를 받은 교사들보다, 특수교육 관련과목을 이수하지 않은 교사들이 이수한 교사들보다, 특수아동 지도시 성공감 지각이 낮은 교사들이 성공감 지각이 보통 혹은 높은 교사들보다, 그리고 특수교사가 제공하는 정보의 유용성을 낮게 평정한 교사들이 보통 혹은 높게 평정한 교사들에 비해 통합교육 전체에 대해 약간 부정적인 태도를 나타내었다. 하위영역별로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 하위영역중 교사의 전문성과 교사의 시간 및 인내의 요구에서 남교사들이 여교사들에 비해 덜 부정적인 태도를 나타냈다. 나. 하위영역중 학업적 기대에서 고학년 교사들이 저학년 교사들보다, 교직경력 10년 미만인 교사들이 10년에서 20년 미만 교사들에 비해 덜 부정적인 태도를 나타냈다. 다. 하위영역중 통합의 개념에서 특수아동 교육경력 1년 미만 혹은 3년 이상인 교사들이 1년에서 2년 미만의 교사들보다, 자율연수를 받은 교사들이 연수경험이 없는 교사들보다, 관련과목을 이수한 교사들이 이수하지 않은 교사들보다, 성공감 지각이 높은 교사들이 성공감 지각이 보통 혹은 낮은 교사들에 비해 긍정적인 인식을 나타냈다. 라. 하위영역중 행동적 기대에서 남자교사들이 여자교사들보다, 자격연수나 자율연수를 받은 교사들이 연수경험이 없는 교사들보다, 관련과목을 이수한 교사들이 이수하지 않은 교사들보다, 성공감 지각이 보통인 교사들이 성공감 지각이 낮은 교사들보다, 특수교사가 제공하는 정보의 유용성을 보통 혹은 높게 평정한 교사들이 낮게 평정한 교사들보다 특수아동에 대한 행동적 기대를 더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들에 의할 때 다음과 같은 시사점들이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일반교사의 특수교육에 대한 이해와 전문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직전교육과 현직연수가 좀 더 적극적으로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통합된 특수아동 지도시 일반교사의 성공감 지각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ttitudes of regular teachers in the primary schools toward mainstreaming education, the difference in the teachers' attitude according to variables related to teachers, and to investigate which variables are the most influential ones for offering the best explanations for such attitudes. For this purpose, 420 regular teachers were selected from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seoul. The questionnaire used in this study was ATMS developed by Larrivee and Cook(1979) : the sub-categories of ATMS was consisted of (1) concept of mainstreaming, (2) professionalism of teachers, (3) demands of teachers' time, (4) academic expectation, and (5) behavioral expectation.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and scheffe' post hoc test was used to compare the pairs of groups.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1. In overall attitudes toward mainstreaming, regular teachers showed relatively neutral attitudes. Among sub-categories, regular teachers showed positive attitude toward concept of mainstreaming but negative attitude toward academic expectation. 2. Background variables of teachers affect attitudes toward mainstreaming and teachers' perception of degree of success in dealing with the exceptional children appeared to be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s of the nine considered. 3. In overall attitudes toward mainstreaming, significant difference appeard in the regular teachers' attitude according to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the variables are as followed: In overall attitudes toward mainstreaming, female teachers, teachers in charge of the lower grades, teachers of 10-19 year teaching experience or teachers of 20-29 year teaching experience, and teachers from 1 year to less than 2 years with experience of teaching exceptional children showed somewhat negative attitude. And in overall attitudes toward mainstreaming, teachers who had not received inservice training, teachers who had not taken courses related to special education, teachers with lower perception of success, and teachers who lowly rated utility of supports from special teachers showed somewhat negative attitude. The findings obtained by sub-categorie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 Among the sub-categories, male teachers showed less negative attitude toward professionalism of teachers and demands of teachers' time than female ones. b. Among the sub-categories, teachers in charge of the upper grades, teachers of less than 10-year teaching experience and teachers who highly perceived with perception of success showed less negative attitudes toward academic expectation. c. Among the sub-categories, teachers of less than 1-year or above 3 years with experience of teaching exceptional children, teachers who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service training, teachers who had taken courses related to special education and teachers who highly perceived with perception of success showed positive attitudes toward concept of mainstreaming. From the results mentioned above, the implications can be presented like this: It is necessary to provide regular teachers with pre-service and in-service training which intend to increase teachers' understanding and speciality on special education. And further study should be carried to develop the program to elevate the teachers' perception of success on teaching mainstreamed exceptional childre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