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강경희-
dc.creator강경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49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49Z-
dc.date.issued1996-
dc.identifier.otherOAK-00000002183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69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183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사와 학부모들이 영재교육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인식을 분석하여 영재교육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확보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에서의 영재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초등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영재교육의 실태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세째, 초등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영재교육의 효과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은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서울시와 경기도에 위치한 초등학교 교사 193명과 학부모 135명이다. 사용된 설문지는 교사와 학부모용의 2종으로 되어있으며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영재 교육 프로그램 운영현황과 영재교육에 대한 의견 조사를 위하여 작성한 설문내용을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내용을 수정하여 교사용 24개, 학부모용 17개의 문항으로 재구성하였으며 초등학교에서의 영재교육의 필요성 및 효과에 대한 인식영역과 실태분석영역으로 설정하였고, 본 연구의 결과는 백분율(%)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와 학부모는 아동 재능의 조기개발, 학습효율의 극대화 등을 위하여 영재 교육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사회적 요구보다는 재능의 조기개발이라는 개인적 요구 수준을 충족시키는데 동의하고 있다. 둘째, 현재 초등학교 영재교육은 학교와 학부모 및 지역사회의 협조 체계가 미흡하고 교사들은 영재교육을 과중한 업무 부담으로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양한 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보급이 매우 필요한 실정이다. 세째, 학부모들이 교사들보다 초등학교에서의 영재교육의 효과에 대하여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두 집단 모두 영재교육 지도교사 연수의 필요성에 동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저학년부터의 영재교육의 실시에 대하여 많은 수의 교사와 학부모가 의견을 같이하고 있으며 자연(과학), 산수(수학) 순으로 영재교육 과목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론에 따라 초등학교에서의 영재교육 발전을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교육의 성공은 영재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정확한 인식에서 출발한다. 따라서 영재교육의 정확한 인식을 위한 활성화 방안으로 개인의 능력 개발, 지식산업사회의 요구, 교육의 수월성 추구 등을 위한 사회적 공감대의 형성이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둘째, 영재교육에 대한 다양한 형태의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학교 안에서뿐만 아니라 학교 밖에서 이루어지는 영재교육까지 포함한 연구 영역의 확대와 영재 교육 정책 및 영재교육 제도, 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등 여러 분야에 걸쳐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세째, 영재교육의 발전을 위해서는 국가 차원에서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영재교육 전문교사 양성을 위한 연수, 초등학교 저학년부터의 영재교육 실시 등 많은 투자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 이러한 분야를 대상으로 한 영재교육 관련 연구들이 요청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cure a basic materials which can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special education for the gifted by analyzing the perception of education for the talented which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parents have, to progress on effective education based on the importance of education for the gifted. The question of study to achieve this goal are in the following: 1. How do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parents perception of necessity of special education? 2. How is the actual condition of special education for the gifted implemented at elementary school? 3. How do the teachers and parents perception of the effect of the special education implemented at elementary school? The questio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193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135 parents of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and Kyung-Ki do. The questionnaires I used were made up of two kinds, one for teachers(24, questions), the other for parents(l7, questions), and recognition and analysis of actual condition about special educatiojn necessiry and effect. The result of the research was analyzed with percentage, and inspected- with difference of recognition between the parents and the teachers. The result of his study could summarised as follows. 1. Mo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parents have a necessary for the early development of children's talent and maximization of learning effect, and they agree to satisfy rather individual needs than social needs. 2. The result of special education at the elementary school need more support from schools, parents and community, teachers feel overburdened with chargin of special education for the gifted, and they also need various programs for special education for the gifted. 3. Most parents think more positively about the effect of special education for the gifted at elementary school than teachers, and each group agreed with the necessity of special teachers training. Most of parents and teachers also agreed with the enforcement of special education for the gifted from low-grade students, and favored science, math as subjects for the special education. On the basis of the result above, I'd like to Suggest for special education for the gifted as follows. First, the success of special education for the gifted starts from the exact perception on its necessity. According to building up a social sympathy, such as individual development, the demand of the society of intelligent industry, and the pursue of educational ease, as a device for the right perception on special education for the gifted is desirable. Second, we should study a variety of special education for the gifted. Also, special education for the gifted not only in school, but also outside school, the expansion of study area, the policy and system for special education for the gifted, and the development of various programs for special education should be done. Third, we need national support in policy and system for the development of special education for the gifted. There fore, trainning to raise expert teachers in special education for the gifted, special education from the low the gifted, special education from the low graded students, and mary other investment should follow too: Accordingly, studies on special education for the gifted with these objects are in need in the futur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인식 = 1 B. 연구의 목적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영재교육의 필요성 = 4 B. 영재의 정의 = 6 C. 영재의 특성 = 7 D. 세계 여러 나라의 영재교육 = 10 E. 우리 나라의 영재교육 현황 = 16 F. 영재교육과정 = 17 G. 영재교육에 있어서 교사와 학부모의 역할 = 18 H. 선행연구 고찰 = 20 Ⅲ. 연구의 방법 및 절차 = 22 A. 연구의 대상 및 표집 = 22 B. 연구 대상자의 특성 = 23 C. 연구도구 = 24 D. 자료처리 = 25 Ⅳ. 연구결과 = 26 A. 영재교육의 필요성 = 26 B. 영재교육의 실태와 현황 = 29 C. 영재교육의 효과 = 41 Ⅴ. 요약 및 결론 = 46 참고문헌 = 51 부록 = 54 ABSTRACT = 6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5876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초등학교-
dc.subject영재교육-
dc.subject교사-
dc.subject학부모-
dc.title초등학교 영재교육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eachers and Parents's perception of special education at elementary school-
dc.format.pagevi, 65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초등교육전공-
dc.date.awarded199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