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6 Download: 0

高句慮 古墳壁畵 紋樣을 응용한 陶製 裝身具 硏究

Title
高句慮 古墳壁畵 紋樣을 응용한 陶製 裝身具 硏究
Other Titles
Ceramic accessories applied some patterns of the frescoes in the ancient tnmbs of Kokuryo dynasty
Authors
조재희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요업디자인전공
Keywords
고구려고분벽화도제 장신구집안지역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인류역사 초기의 장신구는 신체를 아름답게 장식하기 위한 목적, 악령을 퇴치하기 위한 주술적 목적에 의하여 만들어졌다. 이후 사회의 형성 및 발전과 더불어 장신구는 사회적 지위를 나타내는 신분의 표상으로 한층 발달하였다. 현대의 복잡한 생활양식에 따라 장신구의 개념과 기능 또한 다양해졌다. 제작자들은 끊임없이 새로운 아이디어와 형태를 개발하고, 착용자들은 자신의 표현수단으로서 더욱 개성있는 선택을 하게 되었다. 금속, 유리, 목재, 플라스틱 등과 함께 점토를 사용하여 재료의 표현성, 기술, 형태, 크기, 착용방법을 다양화시키고 있다. 우리나라는 선사시대의 유적에서 옥석을 갈아 만든 管玉이나 짐승뼈로 만든 목걸이 등의 장신구가 발견되며, 삼국시대에 이르러서는 고도의 공예기술로 만든 화려한 금ㆍ은ㆍ금동제의 장신구가 제작되어 사용되었다. 그러나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있어서는 정치적, 사회적 제약상 삼국시대나 통일신라시대의 화려한 장신구와는 달리 다소 소박한 면을 보여 주고 있다. 개화기 이후 서구 장신구의 유입은 우리나라의 장신구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즉 장신구의 종류, 재료, 착용방법, 디자인 등 여러 면에서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는 전통 장신구의 소멸을 재촉하였고, 다른 한편으로는 서구문화의 일방적인 수용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반성과 전통문화를 계승발전시켜야 한다는 과제를 가져다 주었다. 본 연구는 전통의 현대적 계승이라는 현대도예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실마리를 찾기 위하여 집안지역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나는 다양 전통문양을 응용하여 현대적 이미지의 도제 장신구를 조형화시켜 보고자 하였다. 현재 남아 있는 고구려의 벽화고분은 80여기 정도이고, 이중 우리가 實見할 수 있는 것은 집안지역의 벽화고분 20여기 정도이다. 그 대표적인 것으로는 長川 1號墳, 三室塚, 角抵塚, 舞踊塚, 通溝 四神塚, 五塊墳 4호묘와 5호묘 등이다. 무덤 주인공의 초상화, 생활도, 인물풍속도, 四神圖 등이 그려진 벽화 속에는 인동당초문, 화염문, 연화문, 비운문, 각종 동물 문양 등 다양한 문양이 나타나는데, 이들 문양은 호방하고 활기에 넘치는 고구려 문화의 특성과 자유분방함 속에서도 질서정연한 예술적인 조형성까지도 잘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구려 고분벽화의 다양한 문양인 세 발 까마귀, 인동당초문, 나뭇잎, 연화문, 화염문, 해의 신, 달의 신, 두꺼비, 나무, 용문을 현대적 이미지로 조형화하여 목걸이, 귀고리, 팬던트, 머리꽂이, 브로치로 제작하였다. 본 연구자의 작품디자인 과정은 고구려 고분벽화 문양의 다양한 예술적 조형성을 응용하여 사진과 그림에 의한 전개과정으로 작품의 이해가 쉽도록 하였고, 작품제작은 작품의 성격과 다양함을 위하여 개별적 조형물을 합쳐 하나의 장신구로 제작하였다. 태토는 청자토, 백자토를 사용하였고, 성형방법은 手作業으로 제작하였다. 작품의 표면처리는 다소 차이는 있으나 무광택유나 화장토에 고온안료를 첨가하여 분무법으로 시유하여 독특한 질감을 유도하고자 하였다. 소성방법은 0.04㎥ 전기가마에서 마침온도 800℃까지 5시간 1차 소성하였고, 2차 소성은 마침온도 1260℃까지 9시간 산화 소성하였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 상회용 Gold를 칠하여 마침온도 800℃에서 5시간 동안 3차 소성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고구려 고분벽화 문양을 도제 장신구라는 현대적 조형미로 형상화시킴으로써 우리의 전통문양이 예술적 모티브로서 많은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장신구 분야는 물론 현대도예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해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This study sought for a clue to solve the problems of modem ceramic art in its transmitting the tradition into a modem one, and for this purpose applied various traditional patterns revealed in the old tomb frescoes of Kokuryo(高句儷) dynasty around Gyp-an(集安) area to make ceramic accessories with modem images. The existing Kokuryo tombs are about eighty among which we are permitted to see are only twenty in Gyp-an area. Representative ones are No.1 tomb in Jangcheon(長川), Samsil-chong(三室塚), Kakgur-chong(角低塚), Muyong-chong(舞詠塚), Sasin-chong(四神塚) and Ohkue-bun(五塊墳) No.4 and No.5 tomb etc. Wall paintings are portraits of the dead, genre pictures about living and figures, and pictures of four deities in which we can find various patterns of arabesque, flame, Lotus, fleeting cloud and all sorts of animals. All of these patterns reveal not only thedaring and energetic cultural characteristics of Kokuryo dynasty, but also the artistic formativity in perfect order in spite of free atmosphere of society. In the early stage of man's history, accessories were made to decorate body or to cast of evil spirits. And then in accordance with the shaping of society and its development, they became a symbol representing the wearer's social status. In modem times, their concepts and functions have been diversified by the diverse modes of life. Manufacturers have continuously developed new ideas and forms, while wearers adopted them more individually as a means of self-expression. Diversification is occurring not only in the expression, techniques by the usage of clay but also in form, scale and wearing style. In our country, curved jade decorated crown and necklace made of animal bone have been founded from the pre-historic relics, and by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splendid gold, silver and gold-plated copper accessories were made through highly developed handicraft and used by people. But in the periods of Koryo(高麗) and Chosun(조선) dynasty, due to the political social limitations rather simple accessories appeared. And after the open-door policy, inflow of Western accessories brought a great change into our own. The author of this study tired to make works easily understood in applying the patterns of old frescoes through photos and pictures and then actually made several works which were combined after into one to enliven the character and diversity of a work. As a raw material, super-white clay, green clay, white porcelain clay were used, and casting was made by hand. The surface, though slightly differed from work to work, was generally painted with white mat oil or dressing soil at first and then added with high-temperature dyes and splayed by a tooth brush to form a unique texture. In cintering, the first cintering lasted five hour in an electric kiln of 0.04㎥ by 0.04㎥ until the temperature reached to 800℃, and the second lasted nine hours until the temperature reached to 1260℃. And in some cases, Gold was painted over and baked thirdly for five hours at 800℃. Throughout this process, this study tried to shape the traditional patterns of old tomb frescoes of Kokuryo dynasty into a modem formativity by making accessories following after those patterns. And as a result we can see that our traditional patterns have a lot of possibility of being an artistic motive, thus present a new direction for developing the field of accessories and modem ceramic ar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도자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