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59 Download: 0

아동과 정신분열증 환자의 그림 비교분석

Title
아동과 정신분열증 환자의 그림 비교분석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the children's drawings with schizophrenic patients' paintings
Authors
이은주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Keywords
아동정신분열증환자그림비교분석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신경정신과에 입원한 정신분열증 환자를 치료하기 위하여 정신과 병실 setting에서의 여러가지 요법들이 개발되고 있는데, 그 중 한가지가 미술요법 이다. 미술요법에서는 환자들 내면의 정신세계가 무의식 중에 투영된다는 전제 하에서 自由畵를 그리게 하는데, 자발적인 자유화가 정신의학적인 면에서는 정신분열증 환자들의 무의식을 투영할 뿐 아니라 그들의 기분을 환기시킬 수 있는 보조 자료가 될 수 있다. 또한, 그림은 자아상의 표현이므로 의사소통과 대인관계에 문제가 있는 정신분열증 환자들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수단이 된다. 환자들의 자유화를 조형적으로 분석하는 과정에서 아동의 그림과 상당히 유사한 점이 많다는 것을 발견했다. 정신적으로 퇴행되어 있는 정신분열증환자의 그림에서는 아동화의 기본적인 특징들이 일시적으로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자유로이 소재를 선택하고 표현할 수 있는 자유화 분석을 통하여, 아동과 정신분열증 환자의 그림 표현 특징을 비교하고자 한다. 아동화의 발달 단계에 따른 특징들을 정리하고, 이를 근거로 환자들의 퇴행정도를 알아보는 척도로서 이용할 뿐 아니라 질병치료에 따른 그림의 호전정도를 알아보는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아동 그림에 있어서는 구로동에 위치한 H유치원 원아 100명과 북가좌동에 위치한 M초등학교 1∼6학년 아동 150명의 자유화를 아동의 발달단계에 따라 분석하였고, 환자의 그림에 대하여는 서울 백병원 신경정신과 입원환자 중 미술요법에 참석한 정신분열증 환자 180명의 그림을 분석하였다. 각 그림들은 내용, 형식, 형태, 색채별로 나누어 분석 연구되었으며, 특히 정신분열증 환자의 그림과 가장 유사성이 많은 6-7세 아동의 그림이 집중적인 비교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내용에 있어서는 사람, 집, 나무(꽃) 등이 가장 빈번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두 집단의 그림 모두 동일하였다. 2. 형식에 있어서는 완성도, 화면이용도, 공간적 조화, 낙서 모두 유사한 특징을 가졌다. 3. 형태는 아동화와 환자의 그림 사이에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아동화는 선이 뚜렷하고 세부묘사가 적당한데 비하여, 환자의 그림은 선이 단편적이었고 세부묘사가 부족하였다. 4 색채에 있어서는 색채사용의 현실감은 환자의 그림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아동화에 있어서는 현실감 없음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그리고 색채 사용수를 보면 아동화에서는 다양한 색채가 사용된 반면 환자의 그림에서는 단색, 2-3색, 4-6색 등 비교적 한정된 색채 사용을 보였다. 정신분열증 환자의 그림은 전반적으로 아동화에서 보여지는 특징들을 찾을 순 있었지만, 정신분열증 환자의 그림과 아동화를 분석 요인별로 비교하면 많은 차이점이 발견되었다. 내용과 형식에 있어서는 두 집단이 유사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 반면, 형태와 색채에 있어서는 두 집단간에 큰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두 집단간의 형태와 색채에 있어서 큰 차이는 무엇보다도 아동화는 풍부하고 다양한 표현을 가지고 있고, 환자의 그림은 전반적으로 빈약함을 보인다. 참고적으로 순수한 아동화의 상태를 '열등하고 불완전하고 미숙한 표현'으로 보는 견해는 아니며, 단지 아동화와 정신분열증환자들이 표현한 그림 그 자체가 많은 유사성을 가진다는 측면에서 아동과 정신분열증 환자의 그림을 비교하였다는 것을 밝혀 둔다.;The modern society which is characterized by technical developments and mass-psychology has brought increasing numbers of mental diseases such as schizophrenia, mental weakness, and neurasthenia. Accordingly, various kinds of psychotherapy have been developed to cure the schizophrenic patients. Among them, art therapy, a method of psychotherapy, is coming up as an important one. Painting is a way of expressing the self-image which reflects person's attitude toward his surroundings. Therefore, painting can play an important role as a medium of understanding psychiatric patients who have problems in making communications and personal relationships with other people. Art therapy has the function of soothing the conflicting emotions of a patient caused from the crisis of mental structure, leading them to make spontaneous free drawings on the assumption that paintings reveal the patient's unconsciousness so that we may have an insight on it, and that at of painting itself helps to refresh the patient's emotions through its creativeness. While analyzing the free drawings of the patients, interestingly several similarities with children's drawings were found. In the paintings drawn by mentally retarded schizophrenic patients,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drawings appeared as temporary phenomena.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drawings according to their development stage so that we may not only use it as a measure of the state of retardation of the patients, but also see the gradual improvements in paintings in accordance with their disease processes. For children's paintings, 100 pieces of free drawings of the students in H kindergarten located at Ku-ro Dong and 150 pieces of free drawings of the students in M elementary school at Puk-ga-cha Dong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development stage. And 180 pieces of free drawings of the schizophrenic patients who took part in art therapy at the psychiatry department of Baek Hospital, Seoul were compared with them. Paintings were measured by such criteria as content, composition, form, and color. Intensive attention for comparison has given to the paintings of 6-7 aged children and those by patients, which share the most similarities with each other. The conclusions made by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content is concerned, 'person' appeared as the most frequent subject in both sides ; 'house' and 'tree(flower)' followed next. Second, similar points were noticed in terms of composition of the paintings such as the degree of completeness, capacity of using the space, space balance, graffiti. Third, the comparison of the form showed sharp difference between them: children's paintings can be characterized by distinct lines and moderate detail description, while the paintings of patients were lack of them. Fourth, in terms of color, the patients' paintings didn't show much difference whether the colors were used in the realistic way or not, and the number of used colors estimated one or two to six, rather small numbers. However, children's paintings were lack of the realistic usage of colors generally, and (comparatively) various colors were used in children's paintings. Generally speaking,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drawings were found similarly in the paintings of schizophrenic patients, but many differences also have been noticed in comparison. Two groups had similar characteristics in terms of content and composition, while they showed sharp distinction as form and colors were concerned. Most of all, children's drawings showed much more rich and diverse ways of expression. For better understanding, it should be reminded that children's drawings were not viewed in a way of "inferior and incomplete expression", rather those paintings were put to comparison on the grounds that paintings themselves showed external similarit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