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7 Download: 0

비장애아동의 환경언어중재전략 사용이 장애아동의 사회적 언어에 미치는 영향

Title
비장애아동의 환경언어중재전략 사용이 장애아동의 사회적 언어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A) Study of the effect of nonhandicapped peers using milieu language strategies on the handicapped children's social language
Authors
장선아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Keywords
비장애아동환경언어중재전략장애아동사회적언어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장애아동들의 의사소통적 상호작용 기술의 부족은 장애아동의 성장과 발달뿐 아니라, 일반 환경으로의 통합과 또래들의 수용을 어렵게 한다는 인식이 확대되어 오면서, 장애아동 교육 프로그램에서 언어 및 의사소통적 중재가 중요한 영역이 되었다. 특히 아동의 일상 환경에서 자연적인 방법으로 실시되는 언어중재와 효과적인 사회적 상호작용을 위한 또래의 참여는 특수교육의 궁극적 지향점인 장애아동의 사회적 통합을 위한 보다 효과적인 방안으로 인정 받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애아동과 비장애또래아동의 의사소통적 상호작용의 양적·질적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비장애또래아동에게 환경언어중재전략을 사용하도록 훈련을 제공하고 이러한 전략 사용이 장애아동의 사회적 언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는 생활연령 4세 ~ 6세인 세 명의 장애아동과 같은 또래의 비장애아동 세 명이 참여하였다. 중다기초선 설계를 이용하여, 장애아동들과 비장애아동들을 일대일로 짝지은 쌍을 대상으로, 비장애아동들의 환경언어중재전략 사용의 효과를 측정하였다. 비장애아동들은 환경언어중재전략을 사용하도록 훈련받았으며, 훈련과 훈련 후의 중재기간 동안 훈련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관찰을 하였다. 관찰은 비장애아동들의 환경언어중재전략의 사용빈도와 대상장애아동들의 사회적 언어 산출에 대해 이루어졌다. 중재효과의 유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한달 후 훈련이 시작되기 전의 상황에서 아동들의 행동이 관찰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언어중재전략의 훈련은 비장애또래아동의 전략 사용의 빈도를 증가시켰으며, 이러한 증가는 교사촉진과 강화가 주어지는 실험처치기간 동안 유지되었다. 둘째, 비장애또래아동의 환경 언어중재전략 사용은 대상장애아동의 사회적 언어 사용을 증가시켰다. 이때 자발어와 반응어가 모두 증가되었으며 증가 경향은 아동의 특성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증가의 경향성과 의사소통적 상호작용은 비장애또래아동과 장애아동의 특성이 상호 영향을 미치는 가운데 각 대상 쌍별로 의사소통적 적응을 보였다. 셋째, 비장애또래아동의 환경 언어중재전략은 대상장애아동이 사용한 사회적 언어의 화용적 기능을 다양화시켰으며, 이 때 장애아동의 언어 활용적 특성과 비장애또래아동의 전략 사용의 특성이 증가의 양상에 영향을 끼쳤다. 넷째, 비장애또래아동에 대한 환경언어중재전략은 한 아동을 제외하고는 시간이 흐른 후에 유지되지 않았으며, 대상장애아동들의 경우 한 장애아동의 사회적 언어는 실험처치기간에 비해 낮은 수준이나 기초선보다 높게 유지되었으며 다른 두 아동의 유지 결과는 일관적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본 연구의 중재 방법인 비장애또래아동의 환경언어중재전략 사용은 적어도 본 연구에 참여한 장애아동 세 명과 비장애또래아동들의 의사소통적 상호작용을 증가시키는 데에 효과적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한달 후의 유지기간 동안 교사촉진과 강화가 제거되었을 때, 비장애또래아동의 환경언어중재전략 사용은 감소 경향을 보였고 한 명의 장애아동을 제외하고는 사회적 언어 사용에 일관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아 중재의 효과는 제한적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기초로 하여, 장애아동과 비장애또래의 의사소통적 상호작용을 증가시키기 위한 중재에서 비장애또래의 훈련이 중요함을 인식할 수 있다. 보다 원활한 의사소통적 상호작용을 위해 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 모두에 대한 의사소통 및 사회적 기술 훈련이 필요하며, 교사촉진과 강화가 주어지지 않을 때에도 중재의 효과가 유지되며 다른 상황으로도 일반화될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을 모색한다면, 장애아동과 비장애또래의 의사소통 상호작용을 보다 긍정적으로 발달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의 사회적 통합을 위한 하나의 기초자료와 방법론을 제시하는 의미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nonhandicapped peers' milieu language strategies effect on the social language of handicapped children in structured play setting. For this purpose, three pairs of handicapped - nonhandicapped child were selected from an integrated preschool. Using across subjects multiple-baseline design, the frequency of nonhandicapped peers using milieu language strategies and the frequency of the social language use and the pragmatic functions of the target children were measured. During training sessions Nonhandicapped peers were trained to use five milieu language strategies. Teacher prompts and reinforcements were provided to nonhandicapped peers and not to target children. Follow-up observation was implemented one month after withdrawing interventi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1. Milieu language strategies training to the nonhandicapped peers promoted the frequency of using the strategies by the peers, and maintained with teacher prompts and reinforcements.. 2. The nonhandicapped peers' strategies increased the frequency of social language of their target children. Both Initiations and responses were increased. Increasing tendency of the social language was differentiated by individual characteristics. 3. The nonhandicapped peers' strategies improved the pragmatic functions of the social language of the target children. Interactions in each dyad were influenced by each child characteristics. 4. Increasing rate of the strategies and social language were not maintained after withdrawal of intervention except one pair. These results from this investigation suggest that nonhandicapped peer naturalistic communicative interventions could positively influence on the social language of the handicapped children and pragmatic functions of the social languag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