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조애귀-
dc.creator조애귀-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38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38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177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58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1771-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flict in terms of the object of conflict, the size of school and the generation in Kyong-Ki Province This study tried to solve the following questions. 1. what is the degree of conflict according to the object of 'conflict? 2. What is the difference of teacher's conflict in terms of the size of school? 3. Is there any correlation between the teacher's conflict and the genera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research problems, 5 types were firstly formed by the object of conflict, and 15 causes of conflict were secondly classified. Fibally, field survey was preformed through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30 items, and 475 teachers were randomly selected from elementary schools in Kyong-Ki Province. The statistical methods applied in this research was SPSS/PC+, and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he CONDESCRIPTIVE and FREQUENCIES. Overall trend of conflict was found by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Mean difference between both groups was compared by t - Test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conflict in the size of school. The difference in the generation was subjected to statistical analysis using appropriate value in the ANOVA analysis vari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1. The degree of confli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administrator was significantly high, and conflict in teachers themselves was comparatively high. There was the lowest conflict in teacher's relationship with parents, and conflict in relationship among teachers was generally low, and so was conflict in teacher - student relationship. In addition, detaild factors showed the substantial degree of confli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bureaucratic administrator. There were comparative high degrees of conflict in such as social condition, specialization, institution, the guidance of school life, work responsibility, teaching lesson, communication. The expectation of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parent was significantly low. 2. The extent of teacher's conflict in the size of school was not significant. There was, however, high conflict among teachers in work responsibility. That is probably the reason why teachers are in charge of the same amount of work ordered from the administration regardless of the size of school. It is, therefore, evident that the twachers of the small sized schools suffer from overwork responsibility. 3. There were all significant degre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conflict and the generation except low conflict in teacher's relationship with parents. Accordingly, it seems that the cause or extent of conflict was differently perceived according to each generation. As a rule, the thirties had the highest conflict but the fifties had the lowest. Above all, the thirties showed the most significant conflict in the relalionship between teachers and administrators. While conflict in teacher's relationship with students was comparatively high in the twenties, there was not conflict in teachers - parent relationship in the twenties. Such results show one feature, that is, conflict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twenties to the thirties but the degree of conflict towards the fifties gradually decreases. Such a trend can be explained that most teachers can be postive in many aspects and also adapt to several situations according to the growing career and age. The above results can be summed up in the following words. Internal conflict over social status and view brought about the significant conflict in the teachers themselves. There was also significant conflict in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administrator who should interdepend and cooperate with each other. Consequently, it results in the gloomy atmosphere of the teacher community. To revitalize the teacher community, therefore, social condition and administration system which can solve these problems should be improved for the bright and desirable circumstances.;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경기도 내의 초등학교 교사들이 갈등대상에 따라 어느 정도의 갈등을 느끼고 있는지를 알아보고, 학교규모나 세대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초등학교 교사들이 지각하는 갈등은 갈등 대상에 따라 어떠한가? 2. 초등학교 교사들이 지각하는 갈등은 학교 규모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3. 초등학교 교사들이 지각하는 갈등은 세대차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를 조사하기 위한 검사도구로서 5개의 갈등 대상을 유형으로 하였으며 15개의 갈등요인으로 2차 분류하고 이률 다시 30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질문지를 작성하여 경기도내 초등학교에 재직중인 교사 47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후 자료처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컴퓨터 통계처리 팩키지( SPSS / PC+ )를 이용하여 FREQUENCIES와 CONDESCRIPTIVE로 처리하고 빈도, %, 평균, 표준편차를 구하여 전체적 갈등 경향을 알아보았다. 학교 규모에 따른 갈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 - TEST를 통하여 두 집단의 평균차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세대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ANOVA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이 지각하는 갈등을 갈등 대상에 따라 어느 정도의 갈등인가를 알아본 결과 교사 - 행정가 유형의 갈등이 가장 높고 교사 자신 유형의 갈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 - 학부모 유형의 갈등이 가장 낮고 교사 -교사 유형과 교사 - 아동 유형의 갈등이 낮았다. 하위 요소별로 살펴보면 교사 - 행정가 유형의 관료주의가 가장 높은 갈등을 나타냈으며, 사회적 풍토, 전문화, 관료제, 생활지도, 업무분담, 학습지도, 의사소통의 갈등이 높았으며, 교사 - 학부형 유형의 역할기대가 가장 낮았다. 둘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갈등은 학교 규모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본 결과 유형에 따른 갈등은 대규모학교와 소규모학교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교사 - 교사 유형의 하위 요인인 업무분담에서 갈등이 높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 규모에 관계없이 상부에서 똑같이 하달되는 같은 양의 업무로 업무분담이 과중되는 소규모 학교의 문제점을 입증하는 것이라 하겠다. 셋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갈등은 세대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 본 결과 교사 -학부형 유형을 제외한 4가지 유형에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아 세대에 따라 갈등을 느끼는 요인과 갈등 정도가 다름을 알 수 있었다. 대체적으로 모든 영역에서 30대가 가장 높은 갈등을 보이고 있으며 50대가 가장 갈등을 적게 느꼈다. 특히 교사 - 행정가 유형에서는 30대가 모든 하위 요인에서 갈등이 가장 높으며, 교사 - 아동 유형에서는 20대가 갈등을 가장 많이 느끼는 반면에 교사 -학부모 유형에서는 20대가 가장 갈등을 적게 느꼈다. 이러한 결과는 하나의 특징을 나타내고 있는데 20대에서 30대까지 갈등이 높아지다가 50대로 오면서 갈등이 낮아지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경력과 연륜이 쌓여감에 따라 모든면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적응함으로써 갈등이 적어지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위의 결과를 살펴볼 때 초등학교 교사들의 갈등은 교사자신의 사회적 시각과 지위에 대한 내면적 갈등과 학교조직 사회에서 서로 협력하고 상호 의존이 절실히 필요한 행정가와의 갈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교직 사회의 분위기를 어둡게 하는 문제가 아닐 수 없다. 그러므로 교직사회의 활성화를 위해서 갈등이 해소될 수 있는 사회적 여건 조성과 행정제도의 개선 등 밝고 활기찬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한 방안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갈등의 정의 = 4 B. 갈등 요인 = 7 C. 갈등유형 = 13 Ⅲ. 연구의 방법 = 17 A. 연구 대상 = 17 B. 연구도구 = 17 C. 자료 처리방법 = 20 Ⅳ. 연구결과 및 해석 = 21 A. 유형별 갈등상태 = 21 B. 학교규모별 갈등정도 비교분석 = 40 C. 세대별 갈등정도 비교분석 = 44 Ⅴ. 결론 및 논의 = 49 A. 결론 및 논의 = 49 참고문헌 = 53 부록 = 58 ABSTRACT = 6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14597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초등학교교사-
dc.subject지각-
dc.subject갈등-
dc.subject학교규모-
dc.subject세대차-
dc.title초등학교 교사들이 지각하는 갈등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학교 규모와 세대차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Types of Conflict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dc.format.pageix, 65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초등교육전공-
dc.date.awarded1996.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