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1 Download: 0

텔레비젼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인형극 제시방법에 관한 연구

Title
텔레비젼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인형극 제시방법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Presenting Ways of Puppet Drama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V programs
Authors
고준희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Keywords
텔레비젼유아교육 프로그램인형극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and differences in childhood's comprehension of TV puppet drama. To this end, the research questions establish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ing : 1. In case of continuous presenting,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sex, age and children's comprehension? 2. In case of regular presenting,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sex, age and Children' s comprehension? 3, Is there any difference in children's comprehension between continuous presenting group and regular presenting group?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composed of 103 children attending two nursery schools placed at Seoul. 61 of them are male and 42 are female. 44 children are aged 3~4 and 59 children are aged 5~6. The procedure of this study was : 1. sampling 2. treatment of experiment 3. data analysis. The procedure of treatment of experiment was : 1. presenting the puppet drama continuously to 53 children of continous presenting group. 2. presenting the puppet drama regulary during 6 days to 50 children of regular presenting group. The experimental tool is 「Frog Princess」, a puppet drama from 「TV kindergarten - 1, 2, 3」 produced by KBS(Korean Broadcasting System), which were televised from 1993 April 12 to 1993 April 18. The Test tool of comprehension was made by this researcher based on the understanding index of the contents that Morrow(1985) suggested and it was validity tested. Based on this study, t test was done to examine children's comprehension depending on the different ways of presenting a puppet drama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V program.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 : 1. In case of continuous presenting, there was no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children's comprehension by sex. On the other hand, by age, children aged 5~6 showed higher comprehension than children aged 3~4. (p < .01) 2. In case of regular presenting, there was no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Children's comprehension by sex, but female children showed higher comprehension than male children in the aged 5~6 group.(p < .05) By age, children aged 5~6 showed higher comprehension than children aged 3~4. (p < .01) 3. Regarding to the result of different ways of presenting, children's comprehension was higher in case of continuous presenting than in case of regular presenting.(p < .05) Regarding to the two age group's comprehension, there was no statistically difference by different ways of presenting in the aged 3~4 group. On the other hand, in the aged 5~-6 group, the comprehension was higher in case of continuous presenting than in regular presenting. (p < .0l) Regarding to children's comprehension by sex, age and different ways of presenting, there was no statistically difference in the aged 3~4 male group, but in aged 5~6 male group, the comprehension was higher in case of continuous presenting than in regular presenting (p < .05). And in the aged 3~4, 5~6 female group, there was no statistically difference by different ways of presenting.;본 연구는 TV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인형극에 대한 유아의 이해도가 제시형태에 따라 어떠한지를 알아보는데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연결제시 형태의 인형극에 대한 유아의 연령 및 성별에 따른 이해도는 어떠한가? 2. 분절제시 형태의 인형극에 대한 유아의 연령 및 성별에 따른 이해도는 어떠한가? 3. 연결제시 형태와 분절제시 형태에 따라 유아의 인형극에 대한 이해도는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한 어린이 집 두 곳의 유아 103명으로 남아가 61명, 여아가 42명이었으며, 연령별로는 만 3∼4세가 44명, 만 5∼6세가 59명이었다. 연구 절차는 연구 대상의 선정, 실험 처치, 이해도 검사의 순서로 진행되었으며, 실험처치과정은 연결제시 집단 53명의 유아에게는 인형극을 연결하여 제시하였고, 분절제시 집단 50명의 유아에게는 동일한 인형극을 6일 동안 분절하여 제시하였다. 연구 도구로는 한국방송공사(KBS)에서 제작하여 93년 4월 12일부터 18일까지 'TV 유치원 - 하나, 둘, 셋' 프로그램에서 방영된 「개구리 공주」 인형극을 사용하였고, 이해도 측정 도구는 Morrow(1985)가 제시한 내용이해 지표에 따라 본 연구자가 작성하였다. 본 연구 문제에 준하여 TV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인형극 제시 형태에 따른 유아의 이해도를 알아보기 위해 t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결 제시형태의 인형극에 대한 유아의 이해도는 연령에 따라 5∼6세 유아가 3∼4세 유아보다 높게 나타났으나(p < .01), 성별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분절제시 형태의 인형극에 대한 유아의 이해도는 연령에 따라 5-6세 유아가 3-4세 유아보다 높게 나타났고(p < .01), 성별에 따라서는 전체 남아와 여아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5∼6세 유아들은 여아가 남아보다 높게 나타났다(p < .05). 3. 제시 형태에 따른 유아의 인형극에 대한 이해도는 연결 제시형태가 분절제시 형태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 < .05). 제시형태에 따른 유아의 연령별 이해도는 3∼4세 유아에서는 제시형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5∼6세 유아에서는 연결 제시형태가 분절제시 형태보다 높게 나타났다(p < .01). 성별과 연령에 따른 유아의 이해도는 3∼4세 남아는 제시 형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5∼6세 남아는 연결제시 형태가 분절제시 형태보다 높게 나타났다(p < .05). 그리고 3∼4세 여아와 5∼6세 여아는 모두 제시 형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