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89 Download: 0

부모들의 유치원 선택과정에 관한 연구

Title
부모들의 유치원 선택과정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Study on How Parents Select Kindergartens
Authors
박경희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Keywords
부모유치원Kindergartens유아교육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유아교육의 중요성은 보편적으로 인식하고 있지만 유아교육기관과 유아들을 처음으로 연결시켜주는 출발점으로서 부모들의 유아교육기관 선택과정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부모들의 이러한 유치원 선택 과정의 특징을 탐색하여 기술하고 분석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부모들은 유치원에 관한 정보를 어디서 얻으며 어떤 내용의 정보를 얻는가? 2. 부모들은 어떤 과정을 거쳐 유치원을 선택하는가? 3. 부모들이 유치원을 선택할 때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인들은 무엇인가? 4. 부모들은 유치원을 선택한 결과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는가? 5. 부모들의 유치원 선택 활동은 연령과 학력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가? 연구의 대상은 서울을 비롯한 지방 대도시의 유치원 학부모 569명이었다. 연구도구는 Fuqua와 Labensohn(1986)의 부모의 탁아 서비스 선택 기술에 관한 연구와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학부모의 기대, 그리고 질적으로 우수한 유아교육기관의 평가 기준에 관련된 문헌들을 참고로 하여 연구자가 작성하였다. 내용의 타당성은 유아교육전문가 7인으로부터 검토받았다. 그리고 유치원 선택시 고려 사항과 유치원에 대한 만족도 측정 문항의 신뢰도는 Cronbach의 α를 구하였다. 그 결과, 각각 .80과 .84로 나타났다. 자료분석은 SPSS/PC+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등을 구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라서 x^(2)검증과 변량분석을 하였다.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은 것을 발견하였다. 첫째, 부모들은 유치원에 관한 정보를 해당 유치원에 자녀를 보내고 있는 사람으로부터 가장 많이 얻었으며, 그 다음으로 이웃사람, 친구의 순으로 정보를 많이 얻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신문·광고지와 잡지의 기사내용으로부터는 정보를 적게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로부터 얻는 정보의 내용은 교육내용과 방법에 관한 정보가 가장 많았고 학부모의 참여 정도에 관한 정보는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들은 유치원을 선택할 때 가까운 곳에 적당한 유치원을 찾을 수 없었다는 것과 정보가 부족했다는 것을 가장 큰 어려움으로 보고하였다. 둘째, 유치원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한 번도 유치원을 방문하지 않고 결정하는 부모들이 38.6%로 상당수에 달했다. 가장 중요한 이유로는 주위에 평판이 좋은 유치원이 있어 이것을 신뢰하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다수의 학부모들은 유치원 방문시 30분 이내 체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류하는 동안 학부모들이 한 일은 유치원 시설과 설비를 둘러보는 일과 교실 환경과 교재·교구를 둘러보는 일을 주로 하였고, 수업참관의 기회는 가장 적게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들이 유치원 선택시에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인의 우선 순위는 교육내용과 방법, 교재와 교구, 교사의 자질, 시설·설비의 안정성, 학급당 아동수의 순으로 나타났다. 부모교육 프로그램과 같은 부모들에 관한 요소들은 가장 고려하지 않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들이 생각하는 유치원에서 강조되어야 할 교육내용으로는 탐구심과 창의적인 사고력에 관한 내용이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상식과는 달리 읽기, 쓰기, 셈하기에 관한 내용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넷째, 부모들은 전반적으로 현재 자녀들이 다니는 유치원에 대해 만족하고 있으며, 대다수의 부모들은 유치원 선택을 잘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선택을 잘못했다고 인식하는 부모들은 정보의 부족과 주위의 평판에 많은 의존을 한 것을 원인으로 지적하였다. 유치원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부모들 간에도 보유하고 있던 지식과 정보의 양이 많을수록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부모들은 유치원을 선택하는 과정에 있어 정보의 중요성을 크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부모들의 유치원 선택 활동은 전반적으로는 연령과 학력에 따라 특징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몇 가지 차이점이 발견되었다. 유치원에 대한 지식과 정보의 양은 어머니의 연령이 높아질수록 많이 보유하고 있었다. 유치원 선택시 고려하는 사항에 있어서는 어머니의 연령이 높을수록 원장의 능력과 평판을 중요시하였다. 학부모 프로그램은 연령이 낮은 어머니들일수록 더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학력이 낮을수록 하루 교육시간과 현장 학습 및 견학 프로그램 등을 더 고려하였고, 학력이 높을수록 통원 방법과 시간, 거리를 더 고려하였으나 교육비는 중요하게 고려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들의 유치원 선택 결과에 대한 만족도에 있어서는 연령과 학력이 낮은 어머니들이 교육비 부담액에 대한 만족도가 좀 더 낮았다.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의 결과 학부모들의 유치원 선택과정에서 유치원에 대한 지식과 정보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반면, 비전문가, 주위 사람들의 평판에 많은 의존을 하는 학부모들의 유치원 선택 행동은 분석적이거나 체계적이 아니라 인상적이고 우연적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학부모들에게는 보다 체계적인 유치원 선택행동을 할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둘째, 학부모들이 유치원 선택시 고려하는 요인들로 교육의 본질적인 것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상당히 바람직한 것이다. 그러나 학부모들이 자녀를 위한 유치원을 찾는 과정에서 짧은 방문시간에 교육 프로그램의 특성, 교재와 교구, 교수-학습 방법 등을 질적인 면을 정확히 평가하고 판단하는 데 필요한 지식과 방법을 갖추고 있는가 하는 점에서는 긍정적으로 생각할 수 없다. 따라서 학부모들이 스스로 체크해 볼 수 있는 좋은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평가 기준을 구체적으로 설명해 놓은 학부모용 지침서의 개발과 보급이 필요하다. 셋째, 학부모들은 유치원에 대한 지식과 정보가 부족한 가운데 비전문가들의 인상적 평가에 많은 의존을 하여 유치원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녀가 다니는 유치원에 대해 일반적으로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학부모의 유치원 선택행위에 대한 스스로의 만족도는 개인적이고 심리적인 문제이기 때문에 질적인 연구방법을 통해 보다 심층적으로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전반적으로 학부모들의 유치원 선택행동이 학력, 연령과 같은 배경 변인들에 따라 분명하고 의의있는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것은 이러한 변인들에 상관 없이 학부모들의 유치원에 대한 기대와 요구는 비슷한 것을 시사할 수도 있지만, 학부모들의 교육적 요구가 상식적이고 추상적인 수준의 것임을 의미할 수도 있다. 따라서 학부모들로 하여금 유치원에 대해 유아의 특성 그리고 가정의 특성에 맞는 기대를 하고 이것을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유치원을 선택하도록 도와줄 수 있는 부모교육이 필요하다.;While the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widely recognized, little is known about the process in which parents select kindergartens that meet their need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and understand how parents selected kindergartens of their children. More specific problem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how did parents gather informations on kindergarten? (2) what process did parents go through in selecting kindergartens? (3) what did parents consider as important criteria of quality kindergartens? (4) to what degree they were satisfied with their selection of kindergartens? Subjects were five hundred sixty nine parents of kidergarten children from four big cities(Seoul, Pusan, Taejon, and Kwangju). They were surveyred to solve those problems. Survey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referring to Fuqua and Labensohn's study. Descriptive statistics including percentages,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were calculated. Pearson chi-square tests of significance were calculated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Findings indicated that parents had difficulty in finding both reliable resources of information and information itself regarding kindergartens. Parents reported problems in finding the kindergarten that met family needs. Parents thought that they did not have the skills or assistance available to them to select appropriate kindergartens. As important criteria for quality kindergarten, parents chose such curricular matters as content, instructional methods, materials and equipments, quality of teachers. This result indicated that parents were more informed than expected in terms of selection criteria of kindergarten. Findings also indicated that paren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ir selection of kindergartens. However, parents who had more information were more likely to be satisfied with their selection than those who had less information. This result proved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Generally findings from this study implies that it is necessary for parents to have more systematic and objective skills and knowledge base regard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as well as kindergarten in order to function as good consume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