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9 Download: 0

초등사회과 범세계 교육내용 분석

Title
초등사회과 범세계 교육내용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F GLOBAL EDUCATION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 FOCUSING ON INTERNATIONAL-IZATION AND GLOBALZATION
Authors
서예원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대학원 초등교육학과
Keywords
초등사회과범세계교육내용초등교육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범세계 교육의 네 가지 내용 영역과 '국제화'와 '세계화'의 두 개념을 준거로 국민학교 사회교과서를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범세계 교육의 성격을 규명하고자 하는 내용분석연구이다. 오늘날 세계는 과거 그 어느 때보다도 국가간 상호의존 관계가 심화되고 있으며, 국경을 초월한 지구전체의 시민으로서 인류 공동의 복지와 번영을 이룩하는 능력에 교육적 강조점이 두어지고 있다. 따라서 타인을 이해하고 공존의 가치를 창출함으로써 범세계적 공존공영을 지향하는 범세계 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데, 이같은 범세계 교육의 내용은 시대상황적 영향을 받게 됨으로써 변화나 수정이 가능하며 지역이나 국가에 따라 다른 특성을 갖게 되기도 한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전제를 바탕으로 닢(W. M. Kneip)이 제시한 인간가치, 범세계적 체제, 범세계적 문제 및 논쟁점, 범세계적 역사의 네 가지 내용영역을 준거로 범세계 교육 내용을 분석하는 한편, 세계변화와 관련하여 국내에서 형성되고 있는 논의들 중 '국제화'와 '세계화' 개념을 분석준거로 설정하여 협력과 경쟁의 이중적 양상을 보이는 세계의 현실을 우리나라 범세계 교육에서는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지 밝혀내고자 하였다. 분석의 대상은 5차 교육과정기에 발행된 3∼6학년 국민학교 사회교과서이며, 분석방법으로는 영역별, 관점별 비중 분석과 질적 내용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범세계 교육 내용을 네 가지 영역별로 분석한 결과, 범세계적 역사와 범세계적 문제 및 논쟁점 영역이 인간가치나 범세계적 체제에 비해 비중있게 다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영역별로는 어느 영역에서나 고학년에 범세계 교육내용이 집중되어 있었다. 한편, 범세계 교육의 내용은 대체로 학년이 높아질수록 세분화되고 포괄성을 띠고 있었지만 인간가치 영역을 제외한 세 영역에서는 경제적 측면과 관련된 내용에 주안점이 두어지고 있어 균형있는 내용선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국제화와 세계화의 관점에서 분석한 결과, 내용면에 있어서 국제화의 맥락에서 쓰여진 내용은 국가간의 경쟁을 암시하는 경제적 영역에 치우쳐 있었으며 세계화의 맥락에서 다루어진 내용은 인류 공동체 의식을 자극할 수 있는 대다수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었다. 영역별로는 범세계적 문제 및 논쟁점 영역에 세계화의 관점을 반영하는 내용이 우세하게 수록되어 있는 반면, 인간가치 영역과 범세계적 역사 영역에는 거의 모든 내용이 국제화의 관점에서 기술되고 있어 각 영역별 관점 반영 내용의 비중 편차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국제화의 관점을 반영하는 내용이 52.9%, 세계화의 관점을 반영하는 내용이 47.1%의 비중을 차지함으로써 양관점이 비교적 균등하게 분배되어 있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통해 볼 때, 우리나라 범세계 교육 내용은 특정 학년이나 영역에만 강조점을 두고 있으며, 영역별로 다양한 사회 현상이나 관점을 반영하기 보다는 어떤 한 부분에 편중된 경향을 보임으로써 내용구성 측면에서 취약점을 드러내고 있다. 그러나 대체적으로 학년이 높아질수록 비중과 내용면에서 증가 추세를 보이며, 국제화와 세계화의 양관점을 균형있게 반영함으로써 각 관점의 핵심 개념인 경쟁과 공존을 모두 달성하고자 하는 절충적 성격을 보이고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결론은 오늘날 다양한 범세계적 문제들이 부각됨에 따라 국가간의 갈등과 투쟁을 제어하기 위한 세계화의 관점이 의미있는 기여를 할 수 있지만, 국제화적 시각에서 세계를 움직이는 힘을 무시하거나 거부하고서는 현실적으로 적응하고 생존하는데 무리가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오늘날, 국제화와 세계화의 관점은 세계의 변화추세 및 발전방향과 관련하여 각기 다른 중요성을 가지고 있으며 우리나라 범세계 교육의 기본 구조와 방향을 규정하는 시대적 배경이 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관점들을 교과서에 반영함에 있어, 국제화 논리의 지나친 강화는 미래의 세계에서 협동하고 평화롭게 살도록 하는 교육을 부정하는 결과를 낳게 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국제화와 세계화의 두 관점을 비슷한 수준에서 수용하고 있는 우리 나라의 범세계 교육은 아동들로 하여금 지구 전체의 번영을 위한 책임감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하는 세계화 관점의 비중을 차차 늘려나가도록 개선 방향을 정립해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global education in Korea by analysing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focusing on 'internationalization' and 'globalization' perspectives, as well as the four content areas of global education. Never has the world been so interdependant on each other as now and as citizens of a world where there are no barriers, the emphasis is on education that strives toward mutual welfare and progress. Therefore, needs for this kind of education is becoming prevalent by understanding other people and developing mutual value. The content of global education is liable to change because it is well affected by environmental situations of the period or it may have special charateristics depending on which area or nation it is. Based on these assumptions, this study has strived to throw some light on how Korea is reflecting the realities of the world in terms of global education which is showing double facets of co-operation and competition by establishing concepts of 'globalization' and 'internationalization' among the debates that are forming in Korea while at the same time analysing the four content areas which are human values, global systems, global issues and problems and global history suggested by W.M. Kniep. The subject of the analysis are the social studies textbook use among 3rd to 6th graders which were published in the 5th education period. The analytical methods that were used wer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metho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result of analysing the global eduacation in terms of four different area method was that global history and problems as well as debate matters were dealt with more importance than human values or global system. As for each different areas, it was found that as the grades got higher, they had a higher concentration of global education. Meanwhile, the content of the global education was distributed evenly covering most of everything as the grades got higher but the three areas except the human value area was found to be focused on matters that are related to economical sides which showed an unbalance in the selected contents. Secondly, by analysing in terms of internationalization and globalization, the content written for internationalization was heavily focused on economical areas which implied competition between countries and the content written for globalization dealt with most of the things that stimulated human community consciousness. As for each different areas, while there were superior contents that reflected points of view of the world in the global issues and problem area, the human value area and global history area had contents written exclusively in the internationalization point of view which showed there were big variances of where they put importance on in each of the areas. However, if you were to look at it as a whole, the ratio of internationalization and globalization was 52.9% and 47.1% each. This shows the content that reflected internationalization and globalization are relatively balanced. By looking at such results of the analysis, we are aware of the weak points in our country's global education because it's content puts emphasis on specific levels or departmental areas and as for each different areas, rather than reflecting various social phenomena it shows a tendency of focusing on one specific part which shows a weak point in terms of content formation. But, by showing increase in the content and importance as the grade gets higher it reflects a balance in both the internationalization and globalization point of view, thereby reaching to the conclusion that it shows that it is striving towards competition as well as co-habitation which is the core concept. A conclusion like this shows us that globalization point of view may contribute meanigfully to stop conflicts between nations when global issues and problems become more pronounced, it is quite impossible to adapt and survive if you were to reject or ignore the powers that move the world in the internationalization point of view. Meanwhile, this is especially true when reflecting internationalization and globalization the intensity of internationalization logic may lead to rejecting of education that craves co-operation and peace in the future world. Therefore, the present global education in Korea which adopts internationalization and globalization point of view in a similar way should establish implementations in the way of making globalization point of view more imporatant little by little which makes the children accept the responsibility of making the whole earth prospe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