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0 Download: 0

유아교사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Title
유아교사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Job Satisfaction of the Early-Childhood Education Teachers
Authors
신현주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Keywords
유아교사직무만족Maslow욕구단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동기부여 이론인 Maslow의 욕구단계이론에서 제시한 5가지 단계의 인간욕구와 관련하여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를 알아보는데 있다. 또한 인간욕구들중에서 어떤 단계의 욕구가 유아교사의 직무만족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논문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되었다. 1. 유아교사의 직무만족 정도는 어떠한가? 2.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는 Maslow의 욕구수준에 어느정도인가? 3.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와 Maslow의 욕구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4. 유아교사의 직무만족에는 Maslow의 욕구수준 중 어느단계가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도구는 Maslow가 제시한 욕구단계 이론의 각 단계와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의 설문을 각 단계별로 분류하여 유아교육 전문가 3인의 안면타당도 검증을 거쳐 작성하였으며, 유치원 교사 25인의 예비조사를 거쳐 확정하였다. 이 설문지를 연구대상인 서울시내 병설·사립 유치원 100개 기관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400명들에게 우편으로 배부하였으며, 이 설문에 응답한 교사는 총 153명으로 회수율은 38.2%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PC+통계방법을 활용하여 각 단계별 욕구들과 직무에 대한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이들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각각 5점 척도로 계산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술하여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Maslow의 욕구단계와 직무만족도간의 관계는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사의 직무만족정도를 조사한 결과를 보면, 유아교사들은 대체로 직무에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약 반수 이상의 교사들(57.6%)이 의욕적으로 근무에 임하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를 적극적으로 수행하려는 태도를 지닌 교사도 많았고(55.2%), 대부분의 교사들(74.2%)이 자신의 일에 보람을 느끼고 있었다. 2. 유아교사들이 Maslow의 5가지 욕구에 어느정도 만족하고 있는지 조사한 결과, 첫째, 생리적 욕구에 대해서는 다소 불만스러워 하고 있었다. 피로감과 스트레스, 많은 유아수로 인한 부담을 느끼는 교사들이 많았다. 둘째, 안전의 욕구에 대해서도 다소 불만스러워 하고 있었다. 타직종과의 보수수준의 비교에서 부정적 견해가 많았고(55.0%), 복지혜택 등에 대해 불만스러워한 교사들도(62.8%) 있었다. 세째, 사회적 욕구에 대해서는 대체로 만족하고 있었다. 특히 유아에 대한 애정에 매우 높은 만족감을 나타내며, 교직원 집단에 대한 소속감과 동료교사와의 동료애에 대해 비교적 만족스럽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네째, 존경의 욕구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만족하고 있었다. 자신의 직업에 강한 자부심을 느끼는 교사들이 많았고(79.1%), 학부모로부터도 존경을 받고 있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자아실현의 욕구에 대해서는 대체로 만족하고 있었다. 교사들은 소신껏 일할 수 있고 아이디어나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다는 점을 만족스럽게 생각하고 있었다. 3.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와 Maslow의 5가지 욕구간의 상관정도를 조사한 결과, 하위수준, 즉 생리적 욕구, 안전의 욕구에 대한 만족도보다는 상위수준, 즉 존경의 욕구, 자아실현의 욕구에 대한 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4. 유아교사의 직무만족에는 Maslow의 5가지 욕구 중 어느것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가를 조사한 결과, 특히 존경의 욕구가 46%의 설명력으로 직무만족도에 가장 중요한 예언변수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교사들이 다른 욕구보다도 존경의 욕구에 만족하면 할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아짐을 의미한다.;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job satisfaction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is study, the theory of human needs hierarchy which was suggested by Maslow was used. To complete this purpose, the researcher set the following substantial research issues. 1. How are the early-childhood teachers satisfy on their jobs or occupations? 2. How are the early-childhood teachers satisfied on their various needs related to the step of Maslow's Needs Hierarchy? 3. How ar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job satisfaction of the early-childhood teachers and Maslow's five need steps? 4. What Needs of Maslow's Need Hierarchy affect most effectively on the job satisfaction of the early-childhood teachers? For this study, 400 questionnairs were mailed to the early-childhood teachers who are occupied in 100 private and annex kindergartens in Seoul, those returned totaled 153, and finally the statistically analyzed questionnairs are 153. For the anlysis of the collected data, Frequency Test, Factor Analysi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s ; 1. In the 1st research issue, Frequency Test indicates that the early-childhood teachers generally satisfy on their jobs. 2. In the 2nd research issue, first, most of the early-childhood teachers didn't satisfy on their physiological needs. Second, most of the early-child-hood teachers didn't satisfy on their safety & security needs. Third, most of the early-child-hood teachers satisfied on their social needs. Fourth, most of the early-child-hood teachers satisfied on their esteem needs. Fifth, most of the early-childhood teachers satisfied on their self-actualization needs. 3. In the 3rd research issu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reveals that high levels of needs are more related to job satisfaction rather than low levels of needs. 4. In the 4th research issu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Esteem needs affect most powerfully to the job satisfaction of early-childhood teachers with 0.46%. This means that the more the early-childhood teachers are satisfied with Esteem Needs, the more the early-childhood teachers are satisfied with their job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