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1 Download: 0

유치원 동료장학 실태와 효과에 대한 교사의 인식

Title
유치원 동료장학 실태와 효과에 대한 교사의 인식
Other Titles
A Research on Current Situation and Teacher's Understanding on Effect of Peer Supervision at kindergartens
Authors
김은영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의 동료장학 실태와 효과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동료장학의 효율성을 재고해보고 바람직한 동료장학을 위한 방향제시를 함에 있다. 이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치원의 동료장학 실태는 어떠한가? 1-1. 유치원의 동료장학 실태는 어떠한가? 1-2. 유치원의 동료장학 실태는 근무기관 유형에 따라 어떠한가? 2. 유치원의 동료장학 효과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2-1. 유치원의 동료장학 효과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2-2. 유치원의 동료장학 효과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배경변인(연령, 경력, 학력, 근무기관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원내 동료장학을 실시하고 있는 서울, 인천, 경기도 소재의 공ㆍ사립유치원 담임교사 266명이었다. 연구도구는 동료장학 실태와 관련된 내용은 관련 문헌 및 선행 연구를 기초로 하여 연구자가 수정ㆍ보완하였으며, 동료장학 효과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과 관련된 내용은 Cho와 Saracho(1997)의 ‘역할 수행 평정척도’에서 제시된 유아교사의 역할 유형에 기초하여 보충할 문항들을 추가하고 문항 배열과 용어를 수정한 후 유아교육 전문가로부터 타당도 검증을 거쳐서 작성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카이검증, 평균, 표준편차, t-검증,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유치원에서 1학기에 1회 정도 동료장학을 실시하고 있으며 교사와 관리자가 비슷한 비율로 원내 동료장학 계획에 참여하고 있었다. 또한 동료장학이 대체로 자율적인 풍토 속에서 협의ㆍ수업연구중심 형태로 적극적인 참여 속에 실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유치원 교사들은 동료장학 방법으로 협의ㆍ수업연구 중심 형태를 선호하였으며 동료장학의 문제점으로 시간 부족과 장학에 대한 전문성과 체계성의 부족을 많이 인식하였다. 이와 더불어 근무기관 유형에 따른 원내 동료장학 실태와 교사인식에서 계획ㆍ실시형태ㆍ풍토ㆍ문제점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실시횟수ㆍ참여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유치원 교사들이 인식한 교사 역할 수행 시 동료장학의 효과정도는 전반적으로 높으며 그 중에 ‘상담자 및 조언자’로서의 역할에 대한 인식 정도가 가장 높았고, ‘행정업무 및 관리자’로서의 역할에 대해서는 인식 정도가 비교적 가장 낮았다. 또한 유치원 교사들의 연령ㆍ경력ㆍ학력ㆍ근무기관 유형에 따른 동료장학 효과에 관한 인식 차이를 비교해 본 결과, 연령이나 경력, 학력 변인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근무기관 유형에 따라 역할유형의 하위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sider the efficiency of peer supervision and to show its desirable direction by investigating the actual condition of peer supervision at kindergartens and teacher's understanding.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following questions are established. 1. What are the actual conditions of peer supervision at kindergartens? 1-1. What are the actual conditions of peer supervision at kindergartens? 1-2. What are the differences in peer supervision in different kindergartens? 2. What is the teacher's understanding about the effect of peer supervision? 2-1. What is the teacher's understanding about the effect of peer supervision? 2-2.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eachers' understanding about the effect of peer supervision according to background factors (age, career, school, type of kindergarten). The subject of this study included 266 teachers who worked at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in Seoul, Incheon, and Keonggi Province where peer supervision is performed. Data on the actual condition of peer supervision was corrected and complemented based on the documents and the related researches. As for the data related to the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effect of peer supervision, questionnaire were employed, which was added with supplemental questions and corrected in question order and terms, were verified by experts. The data was analyzed by statistic methods such as frequency analysis, X^(2) test, average, standard deviation, t-verification,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In most of the kindergartens peer supervision are conducted once a semester and teachers participated in peer supervision at the same rate as supervisors. Peer supervision is also conducted with active participation in an atmosphere of freedom. The Teachers preferred the teaching form centered on discussion and lesson development as a method of peer supervision, and they listed time shortage, professionalism and systemicity for supervision as a controversial point. Along with this, the actual condition and the teachers' understanding has significant difference in plan and types, execution atmosphere, problems of peer supervision, but no difference in execution frequency and participation rate. Second, the kindergarten teachers show fair understanding about the effect of peer supervision, especially high understanding about the role of "a counselor or an advisor", and comparatively low understanding about the role of "a manager of administrator." Also comparing the understanding about the effect of peer supervision by various factor such as age, career, school history, and etc, career and school history factors have no significant difference, but low level areas have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ypes of kindergarten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