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91 Download: 0

일본어권 한국어 고급학습자의 위로 화행 연구

Title
일본어권 한국어 고급학습자의 위로 화행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peech Act of Consolation of Japanese Learners of high advanced Korean
Authors
김선지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is a middle language pragmatic research study into consolation language in order to understand the difficulties in realizing the act of speech even for a speaker who undertakes the act of speech as a mother tongue and who may undertake the act of easily in daily life. The study conducted research into the pattern of the realization of speaking consolation language in a speaker group whose mother tongue is Korean and another speaker group whose mother tongue is Japanese in order to compare them with advanced learners of Korean in Japan. This thesis comprises the following. In Chapter Ⅰ, the study described the need and objective of the research, and proposed a research project for this thesis based on the related results of existing research. There was a previous study on the act of speaking consolation language from the perspective of middle language pragmatics, but related research has been into the field of Japanese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addressed the need for research that has a different objective and method from existing research in the field of the Korean language. In Chapter Ⅱ, the study developed a new framework for analyzing strategies for consolation usable for this study by complementing and modifying the existing strategies for expressing consolation while depicting the concept of the speech-act and strategies for expressing consolation against the theoretical background. In Chapter Ⅲ, the study designated advanced learners of Korean language in Japan as the target of the research, and introduced DCT as a test tool as the way of mentioning research methods. Ahead of this research, the study conducted a preliminary test on two small groups comprising Korean speakers (KNS) and advanced learners of Korean language in Japan (JKL) by using DCT, which is to be used for this test. The study collected the data of JNS by applying the preliminary test results, and decided to increase the number of members in each group. There were nine DCT situations in this test, and the set variables were subject type, interpersonal relation, and level of obligation. The study used the framework of analysis used in the preliminary test for analysis, after modification and complementation, for conducting this test. In Chapter Ⅵ, the study mentioned the analysis results from data obtained through the test, and the results include the following. First, in terms of the number of strategies used, JKL were shown to use fewer strategies than KNS but more strategies than JNS regardless of variables; therefore, JKL are found to use an intermediate level of strategies compared with the two other groups. For variable by subject type, JKL were shown to be close to KNS; however, for variable by interpersonal relation, JKL produced a sensitive response unlike the other two other groups, for which interpersonal relations are made within the mother tongue, since JKL is not a group that uses its mother tongue, but is in a relationship with speakers who have the target language that it is learning. The three groups used a smaller number of strategies in situations where they felt a comparatively heavier obligation, and they were likely to use a larger number of strategies in situations where they felt a comparatively lighter obligation. Second, the type of strategies used can be explained with results shown through multiple response analysis. For the rate of using strategies directly or indirectly, all the three groups preferred an indirect strategy except for partial differences, and this means they express consideration for others by valuing interpersonal relations. Given the overall type of strategies used, in general, they did not show any big difference in preferred strategies for all variables. They consistently used strategies mainly for highlighting a positive aspect, such as implanting a positive perception in the current situation, proposal of positive outlook for future, and comforting or persuading listeners by changing their preference level according to variables. JKL used strategies that KNS and JNS used according to variables or used them almost like KNS; however, whereas the two speaker groups who commended a mother tongue preferred several strategies intensively according to variables, JKL were shown to use multiple strategies evenly. This appears to be because it was difficult for JKL to realize strategies after clearly deciding and determining which consolation strategy should be used in a certain situation, unlike the two other groups. Therefore, this may be interpreted that JKL still revealed the tendency of a middle language group that is still under the influence of the mother tongue, but is closer to the target language. In Chapter Ⅴ, the study summarized the contents of this research as a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first, it focused on the research of consolation that may cause difficulties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but at the same time give chance to approach easily to the situation of the Korean language. Second, the study conducted research into consolation aimed at advanced learners in Japan not from the perspective of simple comparative analysis but from middle language pragmatics; therefore, the research results may function as useful data that offer pragmatic knowledge to foreign learners. Finally, given that the realization of the act of speaking consolation language, which even speakers whose mother tongue is Korean feel difficulty with, will double the difficulties of realizing the act of speaking consolation language for learners who study the Korean language, the study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offer practical consolation language education in the field of Korean education so that speakers may realize the appropriate Korean consolation expression for consolatory situations in Korea.;본 연구는 일상생활에서도 쉽게 접할 수 있는 상황이지만 모어 화자조차 화행 실현에 어려움을 느끼는 위로에 대한 중간언어 화용론적 연구이다. 일본어권 한국어 고급학습자와 비교 대상으로 한국어 모어 화자, 일본어 모어 화자 집단의 위로 화행 실현 양상을 연구하였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을 서술하고 이와 관련된 선행 연구 결과를 토대로 논문의 연구문제를 제시하였다. 중간언어 화용론의 입장인 화행 연구에서위로를 다룬 바가 있으나 해당 연구는 일본어 교육 분야에서 이루어진 것이므로 한국어 분야에 맞도록 목적과 방법을 달리한 연구가 있어야 할 필요성을 밝혔다. Ⅱ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으로 위로 화행의 개념과 위로 표현 전략에 대해 서술하면서 기존의 위로 표현 전략의 틀을 보완하고 수정하여 본 연구를 위한 새로운 위로 전략의 분석틀을 개발하였다. Ⅲ장에서는 연구방법을 다루었는데, 피험자는 일본어권 한국어 고급 학습자로 선정하고 실험 도구로는 DCT를 채택하였다. 본실험 이전에 먼저 한국어 모어화자(KNS)와 일본어권 한국어 고급 학습자(JKL) 2개 집단의 소집단으로 본실험에 쓸 DCT를 이용하여 예비 실험을 실시하였다. 예비 실험 결과를 적용하여 일본어 모어화자(JNS)집단의 자료를 수집하는 한편, 각 집단의 수를 늘리기로 하였다. 본실험 DCT의 상황은 9개로 주제 유형, 인간 관계, 부담도를 변인으로 설정하였다. 예비 실험 때 사용했던 분석의 틀은 다시 수정하고 보완한 후 본실험을 실시하여 자료 분석에 이용하였다. Ⅵ장에서는 본실험을 통하여 얻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서술하였는데 다음과 같다. 첫째, 전략 사용 개수 면에서 볼 때 변인에 관계없이 JKL은 KNS보다는 적고 JNS보다는 많은 수의 전략을 사용하는 것으로 보아 두 집단의 중간 정도의 전략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제 유형별 변인에서는 KNS에 가깝게 나타났으나 인간 관계별 변인에서는 모어 내에서의 인간 관계를 가지는 두 집단과 달리 JKL은 모어를 사용하는 집단이 아닌 목표어 화자들과의 관계이므로 민감한 반응을 나타내었다. 공통적으로 세 집단 모두 상대적으로 부담도가 높은 상황에서는 전략 사용 개수가 적었고 반대로 상대적으로 부담도가 낮은 상황에서는 전략 사용 개수가 많은 경향을 나타냈다. 둘째, 전략 사용 양상은 다중응답분석을 통해 드러난 결과로 설명할 수 있다. 직접, 간접 전략의 사용 비율은 세 집단 모두 부분적인 차이를 제외하고 간접적인 전략을 선호하였는데, 대인관계를 중시하여 상대에 대한 배려를 나타내기 위함으로 보인다. 전체 전략 사용 양상을 볼 때 전반적으로 모든 변인에서 세 집단이 선호하는 전략들이 큰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주로 긍정적인 면을 부각시키려는 전략인 현재 상황에 대한 긍정적 인식 심어주기, 미래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 제시하기와 청자를 안심시키거나 타이르는 전략을 변인에 따라 선호도를 바꾸어 가며 꾸준히 사용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JKL은 KNS와 JNS가 사용하는 전략들을 변인에 따라 JNS에 가깝거나 또는 KNS에 가깝게 사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두 모어 화자 집단이 몇 개의 전략을 변인에 따라 집중적으로 선호하는데 비해 다수의 전략을 고르게 사용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두 집단과 같이 어떠한 상황에서 어떠한 위로 전략을 실현해야 하는지 명확히 판단하고 결정한 후 전략을 실현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여전히 모국어의 영향을 받고 있으면서 목표어에 가까워지고 있는 중간언어 집단의 경향을 드러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Ⅴ장은 결론으로 본 연구의 내용을 요약하여 서술하였다. 본 연구는 먼저 한국어 학습자에게 어려움을 주면서도 한국어의 상황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위로에 주목, 이를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둘째, 일본어권 고급학습자를 대상으로 위로를 단순 대조 분석이 아닌 중간언어 화용론적 입장에서 연구하였으므로 이러한 결과물은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화용적 지식을 제공하는 유용한 자료로서 기능할 수 있게 한다. 마지막으로 한국어 모어 화자들조차 어려워하는 위로 화행의 실현이 외국인으로서 한국어를 학습하는 학습자들에게는 위로 화행 실현에 대한 어려움이 배가 될 것임을 감안하여 한국어의 위로 상황에서 상황 적절한 한국어 위로 표현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의 실제적인 위로 화행 교육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