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47 Download: 0

다과를 위한 용기 디자인 연구

Title
다과를 위한 용기 디자인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ablewares for Tea and Cookies
Authors
김상미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요업디자인전공
Keywords
다과용기디자인기하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It is expanded that when artistic crafts partake in life itself then their values will be multiplied. Recently, there are renewed movement toward bringing out beauties of what are useful to limelight again. And fast, complex and diverse life pattern of the moderns and thier improved cultural level left a great impact upon thier food life and roles of not only main foods but also teas and cookies have been expanded. While inner resources in life became more aesthetical desire expanded and people began to look for visual beauty of tablewares other than their functional aspect. In this study, in terms of forms to make them match to rational living environment of contemproary age and traditional and classical touch rectangles, pentagons, circle, ellipse, heart and triangular horns, rectangular horns, circular horns and balls among geometric forms are used. In terms of functional aspect it was intended to develop sturdy tablewares for teas and cookies which also can produce sense of visual pleasure. Accordingly, in this study it is intended to look into not only beauty of artistic crafts of tablewares as practical vessels but also to direct our focus again on the need of industrial arts and crafts demanded in this contemporary age and to design tablewares suitable to modem sense while concurrently consider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eas and cookies and tablewares. To this end, the features and types of teas and cookies of the West and East were studied and through available literature and pictorial data tablewares for teas and cookies were perused. With various application of geometric shapes matching to living environment of the moderns, these tablewares for teas and cookies were designed by harmonizing their functional and aesthetical aspects. As an manufacturing method, this set was made by "slip insertion molding" by means of gypsum frame which can easily be adapted for mass production or small orders. As clay, super white of Koryo ceramic earth was used and for visual effect new earth was used partially. Using transparent glaze, white mat glaze and chrome glaze of medium timber were used and works were dipped in these glazes. At electric kiln of 0.04 m^(3) the first cintering was carried out at a finishing temperature of 800 degree C for 5 hours and 2nd cintering work under oxidation was carried out at kiln at finishing temperature of 1260 degree C for 9 hours. On a case by case basis, the 3rd cintering was carried out at a finishing temperature of 800 degree C for 5 hours. Through the process of separation, combination, harmony and changes of simple geometric shapes and various formative elements of cubic forms endless possibilities of geometric shapes could be discovered. Through this study it was attempted to realize development into industrial artistic crafts incorporating industrial ceramics mainly with functions in tableware designs to industrial artistic crafts including formative beauty. It is desired through this study the field of design of industrial artistic crafts can be expanded with development of variety of tablewares depending on the types of teas and cookies.;공예가 생활과 함께 할 때 그 가치를 더할 수 있다는 생각의 확산으로 쓸모있는 것의 아름다움을 재조명해 보려는 움직임이 공예계에서 새롭게 발견되고 있다. 또한, 빠르고 복잡 다양한 현대인의 생활과 문화 수준의 향상은 식생활에도 많은 영향을 미쳐, 주식뿐만 아니라 다과의 역할을 확대시켰다. 그리고, 삶의 여유를 갖게 되면서 미적 욕구가 증가하여 식기에서도 기능적인면 이외에 시각적인 아름다움을 찾게 되었다. 더욱이 근래의 다과 문화는 전통적인 면이 부각되어 식혜, 수정과, 떡, 한과 등이 새롭게 발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대의 합리적인 생활 환경과 전통 다과의 고전적 감각에 어울리도록 기하학적 형태중 사각형, 오각형, 원, 타원, 하트, 입체화한 삼각뿔, 사각뿔, 원기둥, 원뿔, 구를 이용하여 사용하기 편리하고 시각적으로 즐거움을 줄 수 있는 다과용 식기를 개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용기로서의 공예의 아름다움과 현 시대가 요구하는 산업도예의 필요성을 재조명해보고, 다과의 일반적 특성과 식기로서의 기능성을 고려하면서 현대 감각에 맞는 용기를 디자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동서양의 다과의 특성과 다과용 식기의 종류에 대하여 살펴보고, 문헌과 사진자료를 통하여 기하학적 형태의 조형성을 연구하였다. 기하학적 형상은 직선이나 원을 사용하여 만들어지며 인위적으로 만든 어떤 복잡한 형태일지라도 기본적으로는 기하학적 요소로의 환원이 가능하다. 위의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현대인의 생활 환경과 어울리는 기하학적인 형태를 다양하게 응용하여 식기의 기능적인 면과 미적인 면을 조화시키면서 다과용기를 디자인하였다. 제작방법으로는 대량생산이 가능한 이장주입성형법을 선택하였고 태토는 백색도가 좋은 고려도토사의 슈퍼 화이트를 사용하였으며, 시각적 효과를 위해 부분적으로 색이장을 사용하였다. 작품에 따라 라텍스를 이용하여 색화장토로 붓칠하였으며, 일부는 색화장토를 스펀지에 묻혀 찍는 기법, 신문지의 찢겨진 결을 따라 색화장토를 칠하는 기법, 붓터치를 주는 기법 등 자유로운 방법을 사용하였다. 시유는 투명유와 백색 무광택유, 크롬유로 담금하였으며, 부분적으로는 여러 종류의 광택유로 붓칠하였다. 0.04m^(3) 전기가마에서 마침온도 800℃에 5시간 1차소정한 후, 2차소성은 같은 가마에서 마침온도 1260℃ 까지 9시간 산화소성하였다. 작품에 따라 2차소성후 상회 안료로 그림을 그려 800℃까지 5시간동안 3차소성하였다. 전통 다과를 위한 용기를 디자인함에 있어 대대로 내려오던 우리의 것을 현대적인 감각과 결합하여 새롭게 발전시켰으며, 이러한 작업을 통하여 전통적인 형태와 문양이 현대의 생활과 어울리도록 재 디자인하는 과정이 필요함을 느낄 수 있었다. 그리고 다과의 종류에 따른 다양한 용기의 개발로 산업도예의 디자인 영역이 더욱 확대되어야 함을 인식할 수 있었으며, 단순화된 도형과 입체화된 여러 조형 요소를 분리, 결합, 조화, 일탈시키는 과정을 통하여 기하학적 형태의 무한한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식기 디자인에 있어서 기능 위주의 산업 도자기에서 조형미까지 내포한 산업 도예로의 발전을 꾀 할 수 있는 시도가 있기를 기대해 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도자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