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8 Download: 0

꽃의 시각적 조형성에 관한 연구

Title
꽃의 시각적 조형성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Visual Reconstitution of Flowers
Authors
정은경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학과염색디자인전공
Keywords
시각적 조형성작품제작Flowers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Many believe that the art originated from the nature just as the history of all mankind have been developed in association with the nature. Since the nature provides boundless meanings to mankind, it has been an unchanging object of observation, description and love. Accordingly, a great number of artists, no matter who may be oriental or western, have tried to describe the nature in various ways from the beginning of our history. Although the Dyeing Craft originally stemmed from a practicality mainly composed of objective and function, it becomes to be regarded as an independent area of art in which we may pursue describing the beauties of natural shapes and colors in unique ways, far beyond a mere practicality, nowadays. It could be possible thanks to not only mankind's continuous endeavors verifying the aesthetic values as an art by diversifying styles and techniques according to the varying trends of art but innovative improvement in dyeing materials. From the same perspective for the nature as an object of art, my thesis placed a focus on a trial to reconstitute shapes and regularities of "Flowers" with an aesthetic technique of dyeing arts, as I believe it is the most representative and lovely theme of nature. For a theoretical base, I studied a relationship among the nature, the art and the people with closer observation and variation in description of the nature. For the work, on another hand, I researched subject matters, materials, styles and techniques of description in dyeing, upon which the design and analysis of my works were based. This study together with the works enable me to have the following conclusions ; First, "Flowers" must be an ideal subject with which we, all the human beings in this modem society, can recover our lost trust and love in one another. That is, "Flower" shows us such a beauty with profound order and harmony that we may be impressed as and purified with. Second, a rhythmical reconstitution of "Flowers" to be simplified and deformed gave us more unique aesthetic impressions than a precise description .of the object does. Third, trials to gradually and repetitively describe "Flowers" in various size and unified color or tint enabled us to obtain lyrical and mystical feelings and a kind of life likeness just as the painted flowers whisper to each other inside and to us outside as well. Fourth, a gradation depending on Batik Dyeing produced not only regularities of the nature, liveliness of flowers and sufficiency of space but also tender atmospheres for decoration. The study which were incorporated with the overall course of the works led me to have a conviction that it will be possible to search for even more unique styles and impressions in describing the "Flowers" through continuous research on the shape, color and other character of "Flowers" as well as challenging applications of the dyeing techniques. In short, it certainly deserves to be continued to create aesthetic values of the dyeing arts, especially from the subject of "Flower"(or the "Nature" in a larger sense), and my study and works may be one example of the trials.;인류의 역사가 자연과 더불어 발전하는 것 같이 예술 또한 자연의 미적 견지에서 출발되어진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자연은 인간에게 무한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인간의 끊임없는 관찰과 표현의 대상이 되어왔다. 따라서 동서고금을 통하여 많은 미술가들이 자연을 대상으로 하여 다양하게 표현하여 왔다. 인류의 생활과 더불어 시작된 공예활동은 조형적(造形的)인 심미성(審美性)과 실용성(實用性)의 두가지 목적을 위하여 형성되어 왔다. 염색(染色)은 천에 채색을 하면서 시작되어 직물이 갖는 본래의 실용성 위에 인간의 심미적 욕구를 충족시키면서 공예로서 그 위치를 확고히 하고 있다. 또한 조형성을 추구하는 창조의지는 다양하고 새로운 재료의 출현과 표현기법의 개발로 독특한 작품세계를 이루어 미술의 한 분야로서도 그 가치를 높이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천이 갖는 본래의 의미와 공예로서의 위치를 생각할 때 조형성의 추구와 더불어 실용의 가능성을 위한 모색도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이 점을 염두에 두고 삭막해져가는 현대 문명사회에 비추어 볼 때 그 자체가 가지고 있는 아름다움과 생명력으로 인해 우리에게 편안한 안식처를 주고 활력을 주는 자연 속의 꽃을 소재로 택하여 자연의 생명감과 아름다움을 화면에 표현함으로써 우리의 정신생활을 풍요롭게 해주는 조형적인 작품으로서뿐 아니라 생활에 널리 사용될 수 있는 길을 모색하려 한다. 이를 위한 이론적 배경에서는 자연과 예술, 인간과의 관계, 자연의 표현 및 변형에 관하여 고찰해 보았으며 작품제작을 위해 표현소재 및 양식, 재료와 방법, 제작과정을 연구하고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작품을 제작ㆍ분석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게 되었다. 첫째 꽃은 자연의 오묘한 질서와 조화를 지닌 아름다움으로 인해 현대사회에서 잃어가고 있는 우리의 신뢰(信賴)를 회복해 줄 수 있는 적절한 소재였으며 인간과의 친화력으로 해서 실용의 범위를 넓혀줄 수 있는 이상적인 소재였다. 둘째 본 연구자는 꽃을 변형시켜 율동적인 재구성을 함으로써 보다 새롭고 강한 이미지를 부각시킬 수 있었고, 이것은 새로운 미적 감동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작품제작 과정에서는 크고 작은 형태와 통일된 색조의 점진적인 반복으로 꽃을 조형적으로 표현한 결과 마치 꽃들이 무언(無言)의 대화를 속삭이는듯한 서정적이며 신비스러운 느낌과 생동감을 자아낼 수 있었다. 넷째 납방염에 의한 점이(Gralion)는 꽃의 부드러움과 생명감, 구체적이면서도 환상적인 분위기를 연출해주는 효과적인 표현법이었다. 작품제작 과정 상 꽃이 가지고 있는 형태·색채·질감에 대한 깊은 연구와 다양한 기법의 적용으로서 새로운 양식을 추구 할 수 있고, 염색의 실용화의 해결이 가능할 것 같다. 이와 같은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자연을 통한 염색공예의 표현에 무한한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염색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