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혜수-
dc.creator김혜수-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18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18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115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37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115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와 교사가 인식한 유아의 기질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어머니와 교사가 인식한 유아의 기질과 유아의 행동 그리고 유치원에서 적응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어머니와 교사가 인식한 유아의 기질에는 차이가 있는가? 2. 유아의 기질과 행동과는 관계가 있는가? 2-1. 어머니가 인식한 유아의 기질과 유아의 행동과는 관계가 있는가? 2-2. 교사가 인식한 유아의 기질과 유아의 행동과는 관계가 있는가? 3. 유아의 행동과 유치원에서의 적응과는 관계가 있는가? 4. 유아의 기질과 유치원에서의 적응과는 관계가 있는가? 4-1. 어머니가 인식한 유아의 기질과 유치원에서의 적응과는 관계가 있는가? 4-2. 교사가 인식한 유아의 기질과 유치원에서의 적응과는 관계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목동에 위치한 ㅅ유치원에 다니는 만 4, 5세 유아 88명과 어머니 그리고 그 유아의 담임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유아의 기질은 Lowe와 Plomin의 Colorado Childhood Temperament Inventory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유아의 행동은 Behar와 Stringfield(1974)의 The Preschool Behavior Questionaire를, 유치원에서의 적응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Jewsuwan, Luster 및 Kostelnik(1992)가 개발한 The Preschool Adjustment Questionaire를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증, pearson의 적률상관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어머니와 교사가 인식한 유아의 기질은 2가지 범주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어머니는 교사에 비해 유아에게 감정성과 집중력에서 높은 점수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밖의 다른 범주에서는 어머니와 교사의 인식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2. 유아의 기질과 유아의 행동과는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어머니가 인식한 유아의 기질 중 활동성이, 교사가 인식한 유아의 기질 중 감정성과 활동성, 집중성과 진정성이 유아의 행동과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었다. 3. 유아의 행동과 유치원에서의 적응과는 높은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유아의 전체 행동과 유치원에서의 적응 범주 중 친사회성, 하루일과의 적응, 또래간의 적응, 긍정적인 정서가 높은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유아의 행동 중 후에 문제 행동을 야기시킬 수 있는 행동은 부적응행동과 상관이 있었다. 즉 유치원에서 적응을 잘하는 유아일수록 문제 행동을 덜 나타내는 경향이 있었다. 한편, 적응의 범주 중 자아상태는 행동의 범주 중 공격성과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4. 유아의 기질과 유치원에서의 적응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가 인식한 유아의 기질 중 사회성이, 교사가 인식한 유아의 기질 중 사회성, 집중성, 진정성, 감정성이 유치원에서의 적응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어머니와 교사에 의해 사회성이 많아 사교적이고 친구들을 쉽게 사귄다고 인식되거나 교사에 의해 집중을 잘하고 말썽이 생겼을 때 이야기하거나 행동으로 제재하면 멈추고 유아가 울 때 진정시키기 쉽다고 인식되며, 감정적인 반응을 덜하는 유아일수록 유치원에서 더 잘 적응하는 경향이 있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children's temperament perceived by mother and teacher,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of children ' s temperament difference perceived by mother and teacher, children's behavior disorder and adjustment to kindergarten.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following questions are examined. 1.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children's temperament perceived by mother and teacher? 2. Are there any relations between the children's temperament and the behavior disorder? 2-1. Are there any relations between the children's behavior disorder and the children's temperament perceived by mother? 2-2. Are there any relations between the children's behavior disorder and the children's temperament perceived by teacher? 3. Are there any relations between the adjustment to kindergarten and the children's behavior disorder? 4. Are there any relations between the adjustment to kindergarten and the children's temperament? 4-1. Are there any relations between the adjustment to kindergarten and the children's temperament perceived by mother? 4-2. Are there any relations between the adjustment to kindergarten and the children's temperament perceived by teacher?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111 children of 4 to 5 years old, their mother and their teacher in a kindergarten located in Mokdong Seoul. The instruments of the study are the Colorado Childhood Temperament Inventory developed by Lowe and Plomin for the children's temperament, the Preschool Behavior questionnaire developed by Behar and Stringfield for children's behavior disorder, the Preschool Adjustment Questionnaire by Jewsuwan, Luster and Kostelink for adjustment to preschool. The analysis of the data is based on the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by using the SPSS program. The following is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1. There were tw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ildren's temperament perceived by mother and teacher. The mother gave higher score on the emotionality and the attention apan comparing with teacher.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negligible difference in the other perceptions. 2.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children's temperament and behavior disorder. The children's behavior disorder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activity perceived by mother and the emotionality, attention span and soothability perceived by teacher. 3. There was highly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children's behavior disorder and the adjustment to kindergarten. The children's behavior had highly negative correlation with prosocial behavior, adjustment to preschool routines, peer competence and positive affect. On the contrary, the ego strength in the adjustment domain did not had any correlation with the aggressiveness in the behavior disorder domain. 4.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children's temperament and the adjustment to kindergarten. The children's adjustment to kindergarten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sociality in the children's temperament perceived by mother and the socilaity, emotionality, attention span and soothability in the children's temperament perceived by teache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5 Ⅱ. 이론적 배경 = 7 A. 기질의 정의 및 구성요인 = 7 B. 유아의 기질과 행동 = 12 C. 유아의 기질과 적응 = 19 Ⅲ. 연구 방법 = 26 A. 연구 대상 = 26 B. 연구 도구 = 27 C. 연구 절차 = 28 D. 자료 분석 = 29 Ⅳ. 결과 및 해석 = 33 A. 어머니와 교사가 인식한 유아의 기질 차이 = 33 B. 유아의 기질과 행동과의 관계 = 34 C. 유아의 행동과 유치원에서 적응과의 관계 = 37 D. 유아의 기질과 유아교육기관 적응과의 관계 = 38 Ⅴ. 논의 및 결론 = 42 A. 논의 = 42 B. 결론 = 45 C.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 46 참고문헌 = 48 부록 = 54 ABSTRACT = 6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6059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어머니-
dc.subject교사-
dc.subject인식-
dc.subject유아-
dc.subject유치원-
dc.title어머니와 교사가 인식한 유아의 기질과 유치원에서의 행동 및 적응과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relations between the children's temperament perceived by mother and teacher and their adjustment and behavior in the kindergarten-
dc.format.pageviii, 67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dc.date.awarded1995.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