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9 Download: 0

상세화가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듣기 이해에 미치는 영향

Title
상세화가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듣기 이해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Elaboration on Listening Comprehension of Beginning-Level Korean Learners
Authors
허지은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elaboration on listening comprehension of beginning-level Korean learners. Elaboration is a type of modification that promotes learners' comprehension while maintaining authenticity of texts and keeping grammar or vocabulary items to be learned. Eighty-five sophomores who learn Korean as a major at universities in China were classified into four different groups in accordance with types of elaboration, and the scores of the listening comprehension test by 85 Korean learner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 verify the effects of elaboration.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Chapter I demonstrates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is study and the definitions of related terms are included in this chapter. The purposes of the study are to verify that elaboration has effects on listening comprehension of beginning-level Korean learners and to find which type of modification is most effective in promoting listening comprehension on replication, synthesis and inference comprehension items. Based on thi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guidelines for effective teacher talk and to establish the standard of text modification method for Korean language classes when the text of the class needs to be evaluated and adjusted in accordance with a degree of difficulty. Some terms from the previous studies were revis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Chapter II infers and supports results of the effects of elaboration on listening comprehension through the review of literature on input modifications in second language reading and listening. The previous studies on listening elaboration, based on the experiments, have shown that the learner's comprehension is affected differentially according to the types of input modifications and learner's proficiency levels. It is, however, too premature to accept this hypothesis as a theory duo to a lack of experimental studies. Moreover, considering that most previous studies were from the field of English language education and that there exist differences on phonology and syntax between English and Korean, it is necessary to conduct an experiment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anguage. The research questions are whether 1) elaboration on listening affects learner's comprehension positively, 2) the degree of listening comprehension varies according to the types of elaboration, 3) the degree of listening comprehension varies according to the types of listening comprehension, and 4) the effects on listening comprehension vary according to the types of elaboration. Research hypotheses are provided to respective research questions. Chapter III describes the method of the study, which includes information on participants, listening test scripts, listening test items, grading guidelines, procedures, methods of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Appropriate listening test scripts and questions for the experiments were selected thorough an experts' review and a pilot study. Questions with extreme easiness or difficulty were removed to minimize factors decreasing internal validity. Chapter IV analyzes and discusse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The results are: (a) as a whole, elaboration affected listening comprehension positively and the total scores of the test were higher in the order of the slow rate + redundancy > redundancy > slow rate > non modification; (b) although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ypes of elaboration, it still needs to note that there are differences on the total scores; (c) differences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were found, meaning that the degree of difficulty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types of comprehension; (d) the slow rate type promoted the learner's comprehension by 4 to 5% regardless of the types of comprehension and the redundancy type was more effective on replication comprehension, while the slow rate + redundancy type improved the synthesis comprehension by a remarkable 25.35%; and (e) the most effective type is the redundancy in replication comprehension, and the slow rate + redundancy in synthesis and inference comprehension. This study verified the effects of elaboration through the experiment to provide more effective materials which can help listening comprehension of beginning-level Korean learne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more effective that contents are elaborated, and especially with a combination of multiple elaboration types, when teachers use the teacher talk in Korean language classes. Secondly, when it comes to adjusting the difficulty level of materials and test items, learners need to be made aware of the fact that the slower and more redundant the speech, the easier listening comprehension.;본 연구에서는 상세화가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듣기 이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상세화는 학습자가 배워야 할 문법이나 어휘를 삭제하지 않고, 진정성 있는 텍스트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학습자의 이해를 촉진시키는, 수정의 한 유형이다. 상세화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중국 천진외국어대학교와 북경어언대학교의 한국어학과 2학년 학습자 85명을 상세화의 유형별로 4집단으로 나누고, 듣기 이해의 문항에 답하게 한 후, 이들의 점수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서술하고, 연구에 쓰이는 주요 용어에 대한 정의를 내렸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상세화가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듣기 이해에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어떠한 유형의 수정이 사실적 이해, 종합적 이해, 추론적 이해 중 어떠한 이해를 촉진시키는 데 더 효과적인지 밝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한국어 교실에서 발화되는 교사의 학습자 대상어의 효과적인 방안을 제시하고, 교재와 평가의 난이도를 조정할 때, 자료 수정의 기준을 세우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용어는 기존 연구의 이론을 정리하고,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일부 수정하였다. Ⅱ장에서는 입력 수정에 관한 읽기, 듣기에서의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는데, 읽기에서 밝힌 연구 결과를 참고하여 듣기에서 상세화가 미치는 영향의 결과를 추론하고 뒷받침할 수 있었다. 듣기의 연구에서는 실험을 통해, 입력 수정의 유형, 학습자의 숙달도에 따라 이해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다는 결론을 도출했다. 그러나 아직 실험 연구가 많이 진행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를 이론으로 정립하기는 이르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선행 연구 대부분이 영어 교육에서 실시된 것인데, 영어와 한국어는 음운 및 통사적으로 차이가 있다는 점을 감안해 볼 때, 한국어의 특성에 맞게 적용한 실험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살펴본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제기하였다. 첫째, 듣기에서 상세화는 이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 둘째, 상세화의 유형별로 듣기 이해도가 다른가? 셋째, 듣기 이해의 유형별로 듣기 이해도가 다른가? 넷째, 상세화의 유형에 따라 듣기 이해의 유형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가? 이러한 연구 문제에 따른 연구 가설을 세웠다. Ⅲ장에서는 실험 참여자, 듣기 지문, 듣기 문항, 채점 기준, 실험 절차, 분석 방법, 유의 수준 등을 포함한 실험 방법을 서술하였다. 검토와 예비 실험을 통해 본 실험에 적합한 지문 및 문제를 선택하고, 너무 쉽거나 어려운 어휘 및 문법 사항을 수정, 삭제하고, 내적 타당도를 저해하는 요인을 최소화함으로써, 타당한 실험 결과가 나올 수 있도록 하였다. Ⅳ장에서는 실험의 결과를 분석하고, 결과에 대해 논의하였다. 실험 결과, 첫째, 상세화의 유형별 본 실험 총점은 무수정< 느린 속도< 잉여 정보< 느린 속도 + 잉여 정보 순으로, 전체적으로 상세화가 듣기 이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상세화의 유형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총점에서는 차이가 있었음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셋째, 이해의 유형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는데, 이는 이해 유형별로 난이도가 달랐음을 의미한다. 넷째, 느린 속도는 이해 유형에 상관없이 4-5%로 비슷하게 향상시켰고, 잉여 정보는 사실적 이해의 향상도가 조금 높았다. 느린 속도 + 잉여 정보는 종합적 이해를 크게 향상시켰는데, 25.35%라는 높은 향상도가 특히 주목할 만하다. 또한 사실적 이해에서는 잉여 정보가, 종합적 이해와 추론적 이해에서는 느린 속도 + 잉여 정보가 가장 큰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듣기에서 초급 한국어 학습자가 이해하는 데 좀 더 효과적인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상세화의 효과를 실험을 통해 검증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한국어 교실에서 교사가 학습자 대상어를 사용할 때, 말할 내용을 상세화하는 것이 학습자의 이해를 촉진시킨다고 할 수 있는데, 특히 여러 가지 상세화의 유형을 통합시켜 사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는 점과 둘째, 교재와 평가의 난이도를 조정할 때, 느린 속도로 발화할수록, 잉여 정보를 제공할수록 난이도가 낮아짐을 고려하되, 이러한 상세화가 새로운 정보가 아닌 앞에 언급한 내용을 재구성하여 다시 제공한 것임을 학습자가 인식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