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64 Download: 0

F.J.Haydn의 「현악 4중주 Op. 64, No. 5 "종달새"」와 「현악 4중주 Op. 76, No. 3 “황제”」비교 분석 연구

Title
F.J.Haydn의 「현악 4중주 Op. 64, No. 5 "종달새"」와 「현악 4중주 Op. 76, No. 3 “황제”」비교 분석 연구
Other Titles
A comparative Analysis on F. J. Haydn's 『String Quartet Op. 64, No. 5 "The Lark"』 and 『String Quartet Op. 76, No. 3 "Emperor"』
Authors
박영주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고전주의 기악곡 중 대표적인 것으로 평가되는 현악 4중주는 고전시대 음악양식의 발전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특히 하이든(F. J. Haydn)은 이전 작곡가들이 다져놓은 음악양식을 바탕으로 현악 4중주를 보다 성숙한 단계로 끌어올려 확고한 고전 양식을 확립하였다. 본 연구는 하이든 현악 4중주의 전반적인 발전과정을 살펴보고, 고등학교 음악시간의 감상곡으로 교과서에 제시된 『현악 4중주 Op. 64, No. 5 “종달새”』 와 『현악 4중주 Op. 76, No. 3 “황제”』를 분석하고 두 곡을 비교한 내용으로 구성되어있다. 두 곡은 각각 다른 시기에 작곡되었으며 분석을 통하여 얻은 하이든의 후기 작품의 특징과 발전된 작곡기법, 두 곡의 음악적 요소(형식, 선율, 화성, 대위)를 고등학교 음악시간의 감상영역을 위한 참고자료로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제 1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연구방법을 제시하였고, 제 2장에서는 하이든의 현악 4중주를 칼 가이링거(Karl Geiringer)의 견해에 따라 전체 5기로 나누어 각 시기의 음악적 특징과 발전과정을 알아보았다. 본론인 제 3장에서는 전체 5기 중 제 4기의 곡인 "종달새"와 제 5기의 곡인 "황제"를 악장구성과 형식, 선율, 화성, 대위적 구성으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다. 하이든의 현악 4중주는 칼 가이링거의 5기 중 대략 제 3기에서부터 악장구성, 형식, 조성, 화성, 주제선율의 처리, 대위, 각 악기의 역할 등의 고전주의적인 특징이 확립되기 시작했고, 제 4기에서는 모차르트(W. A. Mozart)와의 교류로 더욱 발전되었으며, 제 5기에서 절정에 이르렀다. 『현악 4중주 Op. 64, No. 5 “종달새”』 와 『현악 4중주 Op. 76, No. 3 “황제”』를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모두 4악장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두 곡은 각 악장 형식에 있어 “종달새”는 소나타 형식-복합 3부 형식-미뉴에트-복합 3부 형식으로, “황제”는 소나타 형식-주제와 변주-미뉴에트-소나타 형식으로 구성되었다. 소나타 형식의 운용에 있어 “종달새”는 제 1악장에서 사용된데 비해 “황제”는 1, 4악장 모두 소나타 형식을 채택하였다. 또한 “종달새”의 4악장 제 2부에서 푸가(Fuga)가, “황제”의 2악장에는 주제와 변주가 삽입되는 특이점이 나타난다. “종달새”의 선율들은 순차진행 또는 화음선 진행으로 제 1 바이올린에서 나타나서, 수평적으로 진행하는 하나의 주선율을 부각시키는 반면, “황제”의 선율들은 여러 가지 다양한 동기들이 수평적이면서도 수직적인 진행을 통해 다른 성부에서도 독립적으로 제시되고 있다. 또한 선율진행에 있어 “황제”에서는 “종달새”와 달리 순차진행, 화음선 진행뿐 아니라 큰 도약진행이나 쉼표의 빈번한 등장 등의 특징을 찾아볼 수 있었다. 화성에 있어서 “종달새”에서는 주요 3화음과 이차적 딸림음 및 이차적 이끔음 화음을 사용하였으며, “황제”에서는 이러한 화음 뿐 아니라 부 7화음 및 변화화음을 적극 사용하여 더 다양하고 진보적인 화음진행을 보여주었다. 대위적 구성에 있어 “종달새”는 주선율과 그 선율을 반주하는 호모포니적인 성격의 곡, 그리고 폴리포니적인 푸가를 포함하며, “황제”는 “종달새”에 비해 주제의 모방과 캐논이 부분적으로 나타나는 대위적 진행을 많이 보여준다. 또한 각 악기의 역할에 있어 “종달새”는 제 1바이올린이 주선율을 연주하고 나머지 성부는 주선율에 대한 반주 역할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황제”는 각 악기의 독자적인 진행이 두드러졌다. “종달새”와 “황제”를 악장구성과 형식, 선율, 화성, 대위적 구성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함으로써 하이든이 서로 다른 시기에 작곡한 두 곡에서 나타나는 변화과정과 후기 현악 4중주의 특징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로 얻은 두 곡의 음악적 요소(리듬, 선율, 화성, 형식, 셈여림, 빠르기, 음색)의 특징을 고등학교 감상영역의 참고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The string quartet that has been considered the representative Classical instrumental music was closely connected with the development of musical style in Classic era. In particular, F. J. Haydn established a Classic style by upgrading string quartet into the stage of maturity based on the musical styles established by his precedent composer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overall development process of Haydn's String Quartet and analyzed and compared 『String Quartet Op. 64, No. 5 "The Lark"』 and 『String Quartet Op. 76, No. 3 "Emperor"』 provided in high school textbooks as the appreciation pieces in high school Music class. First of all, in Chapter 1, this study suggested the necessity, objectives and methods of study and the study divided Haydn's String Quartet into 5 stages according to Karl Geiringer's opinion and looked closely into the musical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of each stage in Chapter 2. In Chapter 3 , the study analyzed and compared "The Lark" a piece belonging to the stage 4 and "Emperor" a piece belonging to the stage 5 in terms of constitution of movement, form, melody, harmony and contrapuntal technique. Haydn's String Quartet started to establish its Classical characteristics from the stage 3 out of Karl Geiringer's Five Stages in terms of constitution of movement, form, tonality, harmony, treatment of melodies, counterpoint, role of each instrument, etc; meanwhile, in stage 4, his String Quartet was more developed with the exchange of W. A. Mozart and it reached to its apex in the stage 5. The results of analyzing and comparing 『String Quartet Op. 64, No. 5 "The Lark"』 and 『String Quartet Op. 76, No. 3 "Emperor"』 were as below. In terms of form, the Sonata and Minuet had more varied and sophisticated tonality in "Emperor" than in "The Lark" but both of them demonstrated the late characteristics, in which the change of form was shown in the frame of Sonata form. In addition, a Fuga showed up in the fourth movement of "The Lark" which was a compound ternary form. The melodies of "The Lark" appeared in the first Violin with conjunct motion or arpeggiation and emphasized a primary melody that progressed horizontally, while those of "Emperor" were shown also in other voice parts through horizontal and vertical motion of various motives. Besides, in terms of melodic progression, unlike "The Lark," "Emperor" had the characteristics such as conjunct motion, arpeggiation of primary chord, large disjunct motion or frequent appearance of rests. In harmony, "The Lark" used primary triad, secondary dominant and secondary leading -tone triad, while "Emperor? demonstrated more diverse arpeggiation of chord by using secondary 7th Chords and altered chords as well as that mentioned above. In terms of contrapuntal technique, "The Lark" included homophonic pieces and polyphonic fuga that accompanied the primary melody and its melody, while "Emperor" demonstrated many contrapuntal technique with partial imitation of motives. In addition, each instrument has its unique role so that the first violin performed the primary melody and the remaining voice parts played a role as accompaniment for primary melody in "The Lark? in many cases, while the unique progression of each instrument was noticeable in "Emperor." By analyzing and comparing "The Lark" and "Emperor" in terms of constitution of movement , form, melody, harmony and contrapuntal technique, the study could investigate the changing process occurred in two musical pieces composed by Haydn in different time period and the study attempted to suggest the characteristics of musical elements of the two pieces (rhythm, melody, harmony, form, dynamic, tempo and timber) obtained from the said results as reference materials in the field of music appreciation at high school.
Description
☞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