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1 Download: 0

유아에게 적합한 국악교육 방법

Title
유아에게 적합한 국악교육 방법
Authors
정유나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nd implement the Korean classical music education method appropriate to the infant children, in order to examine on the changes of infant children in the process.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issues of this study are set up. 1. What is the Korean classical music education activity and method appropriate to the infant children? 2. How do the infant children show the changes through such Korean classical music education? As the executable study, this research was conducted with 28 infant children less than 5 year-old going to Sweetheart class of Hangil Kindergarten located in Sungnam City. The period was from September 1 through September 27, 2006. Before this period, these children was involved with Korean classical music activities twice a month, and we planned, implemented and evaluated on the Korean classical music education method appropriate to the infant children according to the observed results. As the theme of study-conducted month was 'Korea', there are many occasions involved with the education contents of Korean classical music together with various circumstances at that time. After the preliminary research in the first semester, we conducted this research from the second semester, by performing the Korean classical music activities twice a week, modifying and complementing the education methods and contents according to the children's reaction shown in the first music class in order to reflect the results to the second class. We planned 9 music concepts and 6 activities based on the standards required for Korean classical music education.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mainly with on-site notes, the recorded video tape showing the Korean classical music activities and activity plans and son on. During the period of this study, the teachers wrote up the journal every day. The results acquir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9 basic concepts and 6 activities were selected as the Korean classical music activities appropriate to infant children. The traditional mask dancing("Talchum") was selected because it was considered to provide the Korean's own exciting beats with familarity and dynamic tunes, so that the children may learn the clear sense of Korean beats. In the meantime, we selected Pansori and Korean folk song to teach the 12 tunes, notes, tones, chromatic scales and formats. Pansori show the composition widely ranging from minor and major notes, while the folk song contains the Korea's own characteristics of singing and receiving format. To teach "Jungganbo", we selected the Janggu drum, which was considered as easy activity to introduce after the children's creating class from the note written in Janggu notes. To teach the cadence, we selected the children's song as the activity, because it may the children feel the subtle beauty of cadence that apparently seems not ended. To find the Korean classical music education method appropriate to the infant children, we tried to emerge from the fixed idea for Korean classical music through the preliminary research during the first semester. And the teacher-in-charge developed the activity programs in person as the researcher.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activities were selected, planned and implemented based on 9 related basic concepts that are necessary to under stand what it is. Each activities were reflec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class time in the different level of difficulty and contents. The contents of the second class time were planned by reflecting and modifying the analysis on those of the first class time. As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is not familiar to the children, the class format needed the teacher to deliver the contents and help the children understand it. Therefore, the education activity and teaching method are almost the same. After demonstrating or repeating the explanations, the teacher gave the interaction with the children and allowed them to sit around and to enjoy playing in the convenient atmosphere. Second, according to this Korean classical music education to be appropriate to the infant children, they showed the positive changes such as being interested in Korean classical music; being proud of Korea; increased self-identity; appreciating and expressing the taste of our traditional music; and being the singing counter-part to each other. The teacher felt the much changed self-mentality toward teaching through this class process, providing the free opportunities of creativity and welcomed the requirements raised by the infant children.;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에게 적합한 국악교육 방법을 모색하고 실행하며, 그 과정에서 보여지는 유아의 변화를 살펴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가 설정되었다. 1. 유아에게 적합한 국악교육의 활동 및 교수방법은 무엇인가? 2. 유아에게 적합한 국악교육을 통해 유아는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가? 본 연구는 실행연구로 성남시에 위치하고 있는 한길유치원 다정반에 재학 중인 만 5세 유아 2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기간은 2006년 9월 1일부터 9월 27일까지로 이에 앞서 다정반 유아들을 대상으로 국악 활동을 월 2회 정도 실시하고 그 관찰 결과에 따라 유아에게 적합한 국악교육 방법을 계획, 실행 및 평가 하였다. 본 연구가 실행된 9월의 생활주제는 ‘우리나라’여서 여러 실내외 환경과 더불어 국악 활동의 교육내용과 연결되는 내용이 많았다. 1학기 예비연구를 통한 2학기에 실행된 본 연구에서는 주 2회에 걸쳐 국악 활동을 실시하고 1차시의 국악교육 내용에서 보인 유아들의 반응에 따른 교육방법과 내용을 수정, 보완하여 2차시로 반영하였다. 국악 활동은 기준에 근거하여 9가지 국악적 개념과 6가지의 활동으로 계획하였다. 자료 수집은 현장노트, 국악 활동 녹화테이프를 통한 전사, 활동계획안 등을 정리한 자료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연구가 이루어지는 기간 동안 교사저널을 작성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에게 적합한 국악교육 활동으로는 9가지의 국악의 기본 개념과 6개의 국악 활동을 선정하였다. 유아들에게 친숙하면서 지루하지 않으며 우리나라 특유의 흥청대는 장단이 나와, 구분이 우리 장단 구분 짓기가 확연해 질 것이라 사료되어 장단의 기본개념 습득을 위한 활동으로 탈춤을 선정하였으며 12율, 음명 및 계명, 음계와 조, 반음사용, 형식에 대한 교육을 위한 활동으로는 판소리와 민요를 선정했다. 판소리에는 우리나라 단, 장음계를 넘나드는 곡의 구성을 보이며 더불어 민요를 통해 우리나라의 메기고 받는 형식을 만끽할 수 있기에 두 활동을 선정하였다. 정간보를 교육하기 위한 활동으로는 장구를 선정하였는데 이는 예비연구 때 유아들이 이미 장구 기호로 악보를 보고 창작하기가 선행되어 도입하기에 무리가 없는 활동이라고 판단된다. 종지법을 교육하기 위해 전래동요를 활동으로 선정하였는데 이는 우리나라 전래동요를 통해 끝나지 않은 듯한 끝남의 절묘한 종지의 묘미를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유아에게 적합한 국악교육의 교수방법에 대한 모색은 1학기 동안의 예비연구를 통해 국악에 대한 고정관념을 탈피하고 연구자인 담임교사가 직접 국악 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시하였다. 국악을 이해하기 위한 9가지의 기본적인 국악의 기본개념을 바탕으로 한 국악 활동을 선정, 계획하여 실행하였다. 매 활동을 1, 2차시로 구성하여 그 난이도와 내용을 달리하였으며 1차시의 내용을 전사하여 내용을 분석하고 이를 반영하거나 바꾸기도 하며 2차시의 내용을 계획하였다. 국악의 내용이 낯선 것이어서 교사가 내용을 전달하고 유아들로 하여금 이해를 돕는 형식이어서 교육활동 및 교수방법이 거의 동일하다. 교사가 시범을 보이거나 반복하였으며 유아와 더불어 주고 받거나하여 원 대형으로 앉아 편안한 분위기에서 놀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유아에게 적합한 국악교육에서 보인 유아의 변화로는 국악에 대한 흥미를 갖기, 국악의 멋을 알고 표현하기, 내 나라에 대한 자긍심 갖기, 자아 정체감 향상시키기, 서로의 비계가 되어주기이다. 교사는 이 실행과정을 통해 자세 면에서 많은 변화를 보였는데, 유아들에게 자유로운 창작의 기회를 주고 유아들의 요구를 수렴하는 자세의 교사가 되어가는 모습을 나타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