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9 Download: 0

유아의 자발적 질문과 교사의 반응간의 관계 분석

Title
유아의 자발적 질문과 교사의 반응간의 관계 분석
Authors
김윤희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유치원에 재학 중인 유아들과 그 유아를 가르치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유치원 등원부터 귀가까지의 일상생활에서 유아들이 교사에게 직접 와서 하는 자발적인 질문의 특징과 유아의 질문에 대해 교사들이 어떻게 반응하고, 상호작용의 과정이 몇 단계로 진행되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4,5세 유아의 자발적인 질문의 특성은 어떠한가? 1-1. 4,5세 유아의 질문 내용은 어떠한가? 1-2. 4,5세 유아의 질문 유형은 어떠한가? 2. 4,5세 유아의 자발적인 질문에 대한 교사의 반응은 어떠한가? 2-1. 4,5세 유아의 질문에 대한 교사의 반응은 어떠한가? 2-2. 4,5세 유아의 질문에 대한 유아와 교사의 상호작용 단위는 어떠한가? 3. 유아의 자발적인 질문과 교사의 반응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3-1. 유아의 질문 내용에 대한 교사의 반응유형과 유아와 교사의 상호작용 단위는 어떠한가? 3-2. 유아의 질문 유형에 대한 교사의 반응유형과 유아와 교사의 상호작용 단위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 지역에 소재한 유치원 중 사립유치원 2곳과 공립유치원1곳에 재원 중인 4, 5세 유아 중 질문을 한 유아 58명과 그들을 지도하는 정교사와 부교사를 포함한 교사 10명씩 총 20명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발적인 질문은 총 839개로, 교사 1인당 평균 41.95개의 질문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유아들의 질문에 나타난 내용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고 선(2006)이 사용한 연구도구를 일부 수정하여 사용하였고, 유아들의 질문에 나타난 유형을 분석하기 위해서 Good(1987)가 개발한 연구도구를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교사의 반응은 Kallery & Psillos(2004)가 제시한 교사 반응 유형과 Kenneth, George & Others(1985)가 제시한 교사의 반응 유형을 수정ㆍ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 단위는 Hogan(1999)의 상호작용 단위를 사용하여, 유아의 질문에 대한 교사의 반응을 한 단위로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과 백분율 및 평균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들은 사람과 활동과 관련된 내용에 대해 질문을 많이 하고 호기심형과 확인형의 질문 유형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라 살펴보면 4세 유아들은 활동, 사람, 사물의 순으로 질문을 많이 하고, 5세 유아들은 사람, 일과, 활동의 순으로 질문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들의 질문유형을 살펴보면 4세는 확인형, 호기심형의 유형을 많이 사용하고, 5세는 호기심형, 확인형의 질문유형을 많이 사용하였으며, 4세에서는 왜형과 확인형, 그리고 어떻게형이 5세에 비해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즉 연령이 증가할수록 왜형, 어떻게형, 확인형의 질문이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유아의 질문에 대한 교사의 반응을 살펴보면, 대체적으로 개념이 포함된 반응과 수용형의 반응을 많이 사용함을 알 수 있었다. 4세 유아들에 대해 교사들은 개념이 포함된 반응과 대안적 개념이 포함된 반응을 많이 보이고, 5세 유아들에 대해서는 개념이 포함된 반응과 수용형의 반응을 많이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유아와 교사간의 상호작용 단위는 평균 2.09로 유아의 질문에 대해 교사들이 바로 답을 하는 것보다는 재 질문을 하거나 유아의 생각을 이야기하도록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5세 유아들과 상호작용 하는 단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질문과 교사의 반응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동일한 질문 내용이나 질문 유형에 대해 동일한 반응유형이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대체적으로 사람과 기관, 어휘, 생물과 관련된 질문에 대해서는 교사들은 개념이 포함된 반응을 많이 보였으며, 일과와 활동과 관련된 질문에 대해서는 수용형의 반응을 많이 보였다. 그리고 왜형과 정보형, 호기심형의 질문유형에 대해서는 개념이 포함된 반응을 많이 보였으며, 어떻게형에 대해서는 증거요구의 반응을 많이 사용하였고, 확인형과 자기과시형의 질문에 대해서는 수용형의 반응이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This study is designed to show the characteristics of questions children ask their teachers at kindergarten, how the teachers respond to the questions, and how the interaction between the children and the teachers goes on during their preschool hours. The study includes the following details; 1. How are the questions characterized that children actively make to their teachers? 1-1. What kinds of questions do they ask? 1-2. Which types of questions do they ask? 2. How the teachers respond to the active questions of the preschoolers? 2-1. How do they make response to the questions? 2-2. What is the interaction units between kids and teachers like? 3. How are the response of teachers related to each kind of questions? 3-1. What are the response of teachers and the interaction units between children and teachers like according to the kinds of questions asked? 3-2. What are the response of teachers and the interaction units between children and teachers like according to the types of questions asked? This study has been assessed 58 preschoolers(aged 4 - 5) and 20 regular & assistant teachers in 3 kindergarten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of Seoul. Total of 839 questions were analyzed and it means average of 41.95 questions were collected per each teacher. In order to analyze the contents of the questions of the children, Ko Sun(2006)'s researching tool has been modified to the purpose and used. The types of the response of teachers each presented by M. Kallery & D. Psillos(2004) and Kenneth & George & Others(1985) are also modified and used for analyzing teachers' response. Interaction units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by Hogan(1999) was used assessing responses to the children's questions. Frequency , percentage, and average were calculated according to each research subject. Followings are the summarized results of data analysis; Children ask more questions about persons & activities, in types of curiosity & verifying. 4-year-old children ask more questions about activities, persons, objectives in sequence, and 5-year-olds ask more about persons, routine, activities and so on. 4-year-olds asks more verifying type, curiosity type questions and 5-year-olds asks more curiosity, verifying types. 5-year-olds ask more why-type, verifying and curiosity type qustions than 4-year-olds. It is found that Teachers make more responses with concepts & acceptance. Teachers respond to 4-year-olds with concepts and alternative concepts more often, while answer with concepts and acceptances to 5-year-olds. The interactions between child and teacher are assessed 2.09 units in average, and interactions with 5-year-olds showed more interaction units than with 4-year-olds. Children ask more questions about persons & activities, in types of curiosity & verifying. 4-year-old children ask more questions about activities, persons, objectives in sequence, and 5-year-olds ask more about persons, routine, activities and so on. 4-year-olds asks more verifying type, curiosity type questions and 5-year-olds asks more curiosity, verifying types. 5-year-olds ask more why-type, verifying and curiosity type questions than 4-year-olds. It is found that Teachers make more responses with concepts & acceptance. Teachers respond to 4-year-olds with concepts and alternative concepts more often, while answer with concepts and acceptances to 5-year-olds. The interactions between child and teacher are assessed 2.09 units in average, and interactions with 5-year-olds showed more interaction units than with 4-year-old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