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4 Download: 0

東學思想에 內在한 儒敎的 要素의 分析的 考察

Title
東學思想에 內在한 儒敎的 要素의 分析的 考察
Authors
李承恩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대학원 한국학과
Keywords
동학사상유교동학한국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Recently there have been efforts to establish a new set of national values that will aid in overcoming Korean society's many dilemmas such as the wrenching division of North and South Korea., spreading environmental pollution, the gap between the wealthy and poor, unchecked materialism, the absence of moral values, and the loss of human respect. The research herein attempts to study Dong Hak Sasang(literally the ideology of Eastern Learning), a uniquely Korean philosophy, in order to determine the ideology's potential as a renewed national system of ethics for the future. In this study Dong Hak is examined in comparison with Confucianism, the reigning philosophy of the age. While the DongHak ideololgy was born in 1860 upon the enlightenment of su-Eun, and exerted its influence well past 1894, the time of the Dong Hak Revolution, this paper will focus on the early period of the first prophet, Su-Eun and. the second prophet, Hae-Wol, and not on the period of the Dong Hak Revolution. Although the later movement was carried out under the aegis of Dong Hak Revolution. Although the later movement was carried out under the aegis of Dong Hak from Jeob-Ju Je(its network of nationwide parishes), in actuality marry of the leaders were not Dong Hak believers : for this reason a distinction must be drawn between the Dong Hak Revolution and the Dong Hak Sasang For its research methodology, this study extracted and compared the usage of Confucian terminology in the Dong Hak scriptures : the Dong Kyung ,Due j m , Yong Dam yu Sa written by the first prophet Su-Eun, and the Hue Wol Shin Sa, a collection of teachings by the second1 prophet Hae-Wol The results of the comparison yielded the follwing conclusions. In sum, in Su-Eun's Dong Kyung Dae Jon and Yong Dam Y u Sa Confucian tenets of a Universal Order, Humanism, and Ethics, are almost wholly received. Distinctions between the two works, however, can be found. In the Dong Kyung Due Jon, one can trace Su Ehn's maintenance of belief in a Confucian "Utopia" and Secular Success in life. The Yong Dam Y u Sa, however, finds su-Eun pointing out the discrepancies of Confucian educational ideals and actuality. In Hae-Wol's Hae Wol Shin Sa, produced after the preceding scriptures, the usage of Confucian terminology has decreased somewhat. Yet, the Confucian ideas of Universal Order, Humanism, and Ethics, and the importance placed on these ideas, remains fairly intact. Aside from these Confucian elements, in Hae-Wol's work one perceives large steps in developing beyond Confucianism and existing Dong Hak. Through Hae-Wol's doctrine of SaIn Yeo Chun(trans. the people as equal to heaven) and his Three Respects-respect for Heaven, respect for Man, and respect for All Things(living and not) -- we find the essence of his post-Confucian contributions. Especially, in his teaching of "respect for all things, "lies the potential for Dong Hak's development into a new national ideology. Hae-wol believed that with the cultivation of respect or Heaven and nam alone, one could not achieve the highest levels of moral enlightenment, He believed that only when one honors All things, there is finally the chance "for heaven and earth to harmonize" (chungigihwa) and achieve virtue(duk). Hae-Wol's philosophy of Respect for All Things shone as a beacon for the bewildered people through the troubled late Chosun. Through a reexamination of its tenets., in my research I discovred that in Dong Hak Sasang lay the seeds of a new blossoming of national values for our confounding Modernity and the potential or a future global ideology.;본 연구는 우리 민족의 독특했던 東學思想이 당대에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었는지 그리고 당대의 민중들에게 어떠한 영향력을 지니고 있었는지를 찾아 내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주에서는 東學思想을 당시 사회에서 그 어떤 종교보다도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던 儒敎와의 연관 속에서 연구하였다. 東學思想연구의 범위는, 1860년 水雲의 得道로부터 1894년 東學農民運動으로 이어지는 동학의 방대 한 시간적 범위 속에서도 후기 農民運動의 시기를 제외한 초기의 1대 敎條 水雲과 2대 敎條 海月의 시기로 하였다. 후기의 東學農民運動은 비록 그 조직적 기반을 다름 아닌 동학의 접주제로 하여 지속되었지만 그 운동의 주도세력은 순수한 동학도 이외의 사람들이 많이 있었으므로, 東學農民運動의 정신이 바로 동학의 사상이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이에 초기 동학 사상을 보다 더 면밀히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동학의 경천인 1대 교조 수운의 「東經大典」, 「龍談遺詞」와 2대 교조 해월의 「해월신사법설」을 통해 그안에 사용된 유교적 용어를 모두 뽑아 그 용어들 간의 사용 빈도수에 의해 분석하는 것으로 택했다. 이러한 유교적 용어의 분석 결과 수운의 「동경대전」과 「용담유사」에서는 유교의 우주관, 인간관, 윤리관이 상당히 그대로 받아들여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동경대전」에서는 수운의 유교적인 이상향과 입신출세에 대한 미련이 나타나고, 또 용담유사에서는 유교공부의 모순점을 지적하는 등 두 경전간 약간의 차이는 발견되었다. 또한 수운의 뒤를 이은 해월의 「해월신사범설」에서도 수운의 「東經大全」이나 「龍談遺詞」에 비해 그 유교적 용어의 사용 빈도수가 적기는 하나, 유교의 우주관, 윤리관, 인간관이 거의 같은 용어간의 비율로 이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해월은 「해월신사법설」에서 이러한 유교사상과 개념을 뛰어 넘고 발전시키려는 노력을 보여 주고 있다. 이러한 그의 노력은 事人如天 사상과 三敬사상으로 그 결실을 보게 되는데, 敬天, 敬人, 敬物의 사상 중 특히 敬物은 동학사상이 한국의 민족사상으로서의 잠재 가능성을 지니는데 결정적인 것이라 생각된다. 이 敬物에 대해 해월은 敬天, 敬人만으로는 도덕의 최고 경지가 될 수 없으며 물건을 공경함에까지 이르러야 天地氣化의 德에 합할 수 있다고 하였다. 사람을 공경하는 데에서 나아가 사물까지도 공경하라는 그의 사상은 당시의 어지러웠던 조선사회에서 방황하는 민중에게 길잡이 역할을 하였으며, 분열의 질서를 和의 질서로 마무리하여 당시 민중들에게 큰 심리적 위안을 줄 수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