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2 Download: 0

장식과 실용을 겸한 도자접시 연구

Title
장식과 실용을 겸한 도자접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eramic Plate Design with Beauty and Function : Through Geometrical Forms
Authors
복은경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요업디자인전공
Keywords
장식실용도자접시기하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Most of people expect that they could meet with a lot of variety at the ceramicware with beauty and function together. This study is to pursue a ceramic plates, for the both demands of beauty and function, which presents a decoration and usefulness simultaniously. Have intended the ceramic plates with a good combination between the geometrical straight lines from the wall or ceiling space and ceramic plate's pure circle, oval or rectangle shape which is also geometrical shapes. Have made the works in the big plates for better decoration effect. This can also have multi-used function for space decoration and usefulness which can be high worth at the modern life. At the background of theory, have reserched the geometrical form's expression element and method through geometrical form's general consideration. Then, have reserched ceramic plate's construction, variety & characteristics. Next, have reserched the formatives through the existing geometrical plates and other ceramic plates with space decoration & usefulness. At the design process, have used a paper folding method which can be easily found from the geometrical form expression. Have started from the geometrical circle, triangle, rectangle and diamond shapes and added the simple straight lines or curved line. Have intended to express a naturalness by hand work for the curved lines in addition to the straight lines using the scale. At the work process, have tested with several kinds of clay such like white clay from "Whasan ceramicware" & Cheung-Ja Clay, Boon-Cheong Clay from "Sungjin ceramicware" in Ieechun under the concern of breakage problem. Have made the works using gypsum mold, at the consideration of cermic plate's difficulties of molding, drying & firing process, which can have possible mass production. After firing the dryed work at the 1.5m^(3) gas kiln upto 840 degrees centigrade during 10 hours, had 2nd firing upto 1,250 degrees centigrade for Cheung-Ja glaze and upto 1,230 degree centigrade for the other color glaze. The used glazes were transparent glaze, Cheung-Ja glaze with iron & pine tree's ashes and violet glaze with cobalt. As a result through work process, the following points were found. First, the ceramic plates give us useful satisfaction as one of firmative art in addition to asthestic pleasure, This decorative & useful plates can have the merit for efficiant space as the decorative space itself can be a keeping space. Especially, big plates can increase decorative effect with high satisfaction. Second, the ceramic plates with the geometrical simple lines give the comfortable mind. Third, could build up a lot of various shapes through paper folding method from one of geometical expression. Forth, there was a difficulty of splitted edge at the modling process from the gypsum. Had to separate the plates from the gypsum mold at the appropriate timing and had to push by hand not to split the plates. Fifth, had to control at the drying process in order to give the same drying condition between outside and inside. Sixth, had to pay attention on the foot attachment under the weight of big plates and on base balance not to move the plates without the foot. Based on these experiences, it needs to improve future works and try to study newly for giving vitality of life and satisfaction.;현대인들은 다양한 도자예술속에서 예술성과 기능성을 골고루 갖춘 기물에 대한 관심을 갖고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인간의 미적 욕구와 실제로 사용하고자 하는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장식과 실용을 겸한 도자접시를 연구해 보고자 하였다. 벽면과 천정에 내재되어 있는 직선과 기하학적 환경에 잘 조화되도록 도자접시를 단순한 원형, 타원형, 사각형 등 기하학적 외형으로 하였으며 또한 장식 효과를 높이기 위해 크기가 큰 대형 접시로 제작하였는데 다용도기능을 갖도록 하였다. 대형접시는 실용이외에 장식물을 겸하여 아름다움을 내포함으로써 더욱 높은 가치를 지닐 수 있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우선 기하학적 형태의 일반적 고찰을 통해 기하학적 형태의 표현요소와 표현 방법 등을 살펴보았고 도자접시의 형태 구조, 종류,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다음에는 기존의 기하학적인 도자접시들과 장식과 실용을 겸한 도자접시의 예를 통해 조형성을 연구해 보았다. 디자인 과정에 있어서는 기하학적 형태의 표현방식의 하나인 면접기를 부분적으로 사용하였는데 보다 쉬운 접근 방법으로 종이접기를 활용하였다. 기하학적 형태인 원형, 삼각형, 사각형, 마름모형에서 출발하여 단순한 직선과 곡선을 첨부하였는데 직선은 눈금자를 사용하기도 하였지만 곡선은 손을 사용하여 자연스러움이 깃들도록 하였다. 작품제작에 있어서는 파손을 우려하여 세가지 태토들 즉 이천 화산요업의 백자토, 이천 성진요업의 청자토와 분청토를 사용해 보았고, 반복생산이 가능하도록 하는 점과 도자접시의 구조상 성형과 건조 그리고 소성시 어려움을 감안하여 점토판을 볼록 석고틀에 찍어내는 방법으로 작업하였다. 건조된 작품은 1.5m^(3) 가스가마를 사용하여 840℃까지 10시간동안 1차소성 한 후 청자유로 된 것은 1250℃까지, 투명유나 백매트유, Violet유로 된 것들은 1230℃까지 온도를 서서히 높여 11시간 동안 2차소성을 하였는데 청자유를 사용한 것은 환원 소성으로 나머지는 산화소성으로 하였다. 유약은 장석, 카올린, 규석, 석회석이 혼합된 투명유, 백매트유, 철과 소나무 재가 함유된 청자유, 코발트가 함유된 Violet유를 사용하였다. 위와 같은 과정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자접시는 실용적 만족과 더불어 미적 쾌감을 주는 하나의 조형물이 될 수 있다. 그런데 장식과 실용을 겸한 접시는 장식되는 곳이 곧 보관 장소이기 때문에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특히 대형도자접시는 장식효과를 높여주며 만족감을 크게 해 준다. 둘째, 기하학적 형태의 단순함을 통해 표현된 도자접시는 공간을 정돈시켜 심리적 안정감을 갖도록 한다. 셋째, 기하학적 형태의 표현방식의 하나인 면접기의 부분적 활용은 장식과 실용을 접목시킨 간결하고 단순한 입체적 디자인 전개를 다양하게 해 준다. 넷째, 점토판이 석고틀에서 건조되면서 수축이 생기는데 이때 갈라짐이 발생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석고틀에 점토판을 누른 후 분리시킬 때 시간을 잘 조절하여야만 한다. 또한 외곽은 손으로 한 번씩 눌러주어 갈라지는 것을 방지해야만 한다. 다섯째, 도자접시의 외곽이 내부바닥보다 빨리 건조되면 균열이 발생하므로 외곽과 내부의 건조상태를 비슷하게 해 주어야한다. 여섯째, 큰접시의 하중으로 굽이 파손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굽부착시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고 굽이 없는 경우에 도자접시가 바닥에 놓였을 때 흔들리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본 연구과정에서 경험한 것들을 더욱 발전시켜 현대인들의 삶에 활력을 주며 만족을 줄 수 있는 새롭고 다양한 작업으로 연결해야 하는 앞으로의 중요한 과제가 남아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도자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