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현수-
dc.creator김현수-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05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05Z-
dc.date.issued1996-
dc.identifier.otherOAK-00000002192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26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1927-
dc.description.abstractQuite clearly human beings have been existing as a part of environment from the dawn of civilization and been living while being subjected to direct influence of environment. The modern urban environment is product of material civilization and human beings have been striving endlessly under different and complex motivation to improve artificial space which is a standardized functional space being created by himself. Human endeavor for improving and creating better environment which is his won creation to begin with offered an opportunity for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arts of our time. environmental ceramics or ceramic wall has an identical meaning of 'returning to nature' which is one of ultimate objective of humans desiring to improve environment in a sense that natural environment is introduced to artificial one. That is, by installing ceramic wall inside and outside the structures and buildings space is beautifully decorated and softly circulated. By the motivation of development of endless possibility as constructional materials ceramic wall should be developed as constructional materials possessing architectural functions along with emotional expressions appealing to human sensitivity. Accordingly this writer, reaffirming the recognition of importance of ceramic wall as environmental art, intends to build a ceramic wall with architectural function as an element of an architectural structure along with aesthetic function as formative article by choosing principle of rhythm through which rhythmic image with the focus on lines being basic and most important elements of all arts can be expressed. Element known as rhythm is an important one which can express sense of movement in connection with expression of formative structure and rhythm can be expressed in many diverse ways. With focus on element which generates such sense of rhythm this writer looked into the general meaning of line from the perspective of theoretical background and meaning of lines as expressive element of formative arts. Furthermore this wirter attempted to discover rhythmic effect of line and through general study of ceramic wall and the characteristic and roles of ceramic wall have been scrutinized briefly. In the part of main subject of this treatise is included study on formative structure and ceramic wall works in the United States and Japan with their linear rhythmic image presented expressly. The method of presentation of works was expression of rhythmic lines through repetition, gradual advance and flow of curve by classifying non-continuous curve and continuous curve which are basic elements of the work. Firstly, it is attempted to express lines rhythmically by means of repetition of disconnected curves as expression of rhythms(Works (l), (3), (4), (7)). Secondly, through repetitive expression of continuous curve it is intended to express rhythmic effect of lines by means of repetition and flow of softly linking curves.(Works (2), (5), (6), (8), (9), (10)). In connection with production of work to express rhythmic image of lines was attempted through combination of rhythmic lines upon cubic forms or repetition of units with volumes. For this purpose super white which is a product from Koryodo with high viscosity was used and the works are produced by application of slip casting for production of Work No. (10) weathered granites viscous earth suitable to forming plate in view of attributes of the works. As application glaze white mat glaze and transparent glaze are used hence for Works Nos. (4), (6) and (8) pigments are mixed to clay in proper amount to produce effects of diverse colors. Biscque firing was carried out for 8 hours at a finishing temperature of 800 degree C in an electric kiln and second firing was done for 9 hours by process of oxidation upto finishing temperature of 1240 degree C at 0.5m^(3) gas kiln. By the result of production of ceramic wall with the focus on expression of rhythmic image of lines it could be discovered that instead of simple impression of rhythm from ceramic wall with repetition of units through application of lines of diverse image expressions and rhythmic lines to ceramic wall rhythmic image of vitality can be created and it was found that through repetition of rhythmic lines expression in diverse attraction and another novel sensation is possible. In production of ceramic wall through application of diverse principles and techniques possibility of producing new ceramic wall was analysed and it offered an opportunity for coming to renewed realization of the possibility of creating ceramic wall which can improve the environments and breathe in the environment.;인간은 문명의 시작과 함께 환경의 일부분으로 존재해 왔으며 환경에 직접적 영향을 받으며 생활해오고 있다. 현대의 도시환경은 문화와 물질문명의 산물이며 인간은 복잡한 동기를 가지고 자신이 만든 획일화된 기능적 공간으로써의 인위적 환경을 개선하고자 부단히 노력해 오고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자신이 만든 환경을 개선하여 더 낳은 환경으로 발전시키고자 하는 인간의 노력은 현대의 환경미술의 중요성을 재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환경도자 혹은 도벽은, 인위적 환경에 자연환경을 도입시킨다는 점에서 환경을 개선시키고자 하는 인간의 궁극적 목표의 하나인 '자연으로의 귀화'와 뜻을 같이 한다. 즉, 건축물의 실내·외부에 도벽을 설치함으로써 공간을 아름답게 장식하고, 부드럽게 순환시키며, 건축재료로써의 무한한 가능성에 대한 개발이라는 동기에 의해 현대의 도벽은 인간의 감성에 호소하는 감성적 표현과 함께 건축적 기능을 가지는 건축재료로써 발전해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벽은 건축물의 특성과 목적에 부합되며, 실내와 외부공간에 장식되어, 인간이 만든 획일화된 도시환경에 자연적 요소를 도입시키고, 환경미술의 중요한 부분으로써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도벽으로 제작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자는 환경미술로써 도벽의 중요성을 재인식하고 모든 예술의 기본요소이며 가장 중요한 요소인 선(線)을 중심으로 율동적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는 율동의 원리를 택하여 공간을 아름답게 장식하는 미적 기능과 건축물을 구성하는 한 요소로써 건축적 기능을 가지는 실내 도벽으로 제작하고자 한다. 율동이라는 요소는 조형물을 표현함에 있어 운동감을 나타낼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며, 다양한 표현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율동감을 일으키는 요소를 중심으로 하여 이론적 배경에서는 선의 일반적 의미, 선의 종류, 조형예술에서 표현요소로써 선의 중요성, 그리고 선의 율동적 효과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본론에서는 선의 율동적 이미지가 효과적으로 표현된 도자 조형물과 도벽작품의 예를 들어 살펴 보았다. 작품의 전개방법으로는 작품 디자인에 기본이된 곡선을 비연속적 곡선과 연속적 곡선으로 구분하여 곡선의 반복, 점진적 변화, 흐름에 의해 율동적인 선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첫째, 비연속적 곡선의 반복에 의한 율동성의 표현으로 연결되지 않는 곡선의 반복에 의해 율동적 이미지를 표현하고자 하였으며, (작품. [1], [3], [4], [7]) 둘째, 연속적 곡선의 반복에 의한 표현으로 부드럽게 연결되는 곡선의 연속적 흐름에 의해 율동적 이미지를 표현하고자 하였다. (작품 [2], [5], [6], [8], [9], [10]) 작품 제작에 있어서는 율동적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기하학적입체 위에 또다른 입체형태를 결합하거나 형태를 변형하였으며, 입체형태위에 율동감있는 선을 응용하여 볼륨감 있는 단위체의 반복에 의해 율동적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태도로는 백색도와 점력이 높은 고려도토 생산품인 수퍼화이트를 사용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한 이장주입기법으로 작품을 제작하였으며 작품[10]에서는 작품의 성격상 판성형에 적합한 석기질 점토를 사용하였다. 시유는 주로 백매트유와 투명유를 분무시유하였으며 작품 [4], [6], [8]에서는 작품 특성에 알맞게 태토에 색안료를 혼합하여 다양한 색상의 효과를 나타내고자 하였다. 소성방법은 0.25m^(3) 전기가마에서 마침온도 800℃로 8시간 가량 1차소성하였으며, 2차 소성은 마침온도 1240℃로 0.5m^(3) 가스가마에서 9시간 동안 산화소성 하였다. 본 연구자는, 율동적 이미지의 표현을 중심으로 도벽을 제작한 결과 선의 율동적 효과에 의한 표현은 매우 다양하며 율동적인 선을 사용하여 도벽에 적용함으로써 단순한 단위체 반복의 도벽으로 부터 느낄 수 있는 단순한 율동감 대신 생명력있는 율동감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율동적 선의 반복에 의해 시각적인 다양한 흥미와 또다른 새로운 이미지로 표현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도벽을 제작함에 있어 다양한 원리와 기법을 적용시킴으로써 새로운 도벽 제작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나아가 환경을 개선하고 환경과 호흡할 수 있는 도벽으로써의 가능성에 대해 재인식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방법 = 3 Ⅱ. 이론적 배경 = 5 A. 선(線)의 의미 = 5 B. 선의 율동성 = 7 C. 도벽에 대한 일반적 고찰 = 14 Ⅲ. 선의 율동적 효과에 의한 조형성 연구 = 24 Ⅳ. 작품제작 및 해석 = 34 A. 디자인 과정 = 34 B. 작품제작 과정 = 41 C. 작품 해석 = 43 Ⅴ. 결론 = 63 참고문헌 = 66 ABSTRACT = 6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40700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율동-
dc.subject이미지-
dc.subject표현-
dc.subject실내-
dc.subject도벽-
dc.title율동적 이미지의 표현을 중심으로 한 실내 도벽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Ceramic Wall Focus on Expression of Rhythmical Image-
dc.format.pagex, 7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요업디자인전공-
dc.date.awarded1996.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도자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